기사
어머니와 자녀가 함께하는 놀이의 의미(Children’s play with mothers: Meaning from mothers’ perspectives)
- 개인저자
- 강명화
- 수록페이지
- 541-563 p.
- 발행일자
- 2017.11.30
- 출판사
- 한국아동권리학회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양질의 놀이 환경을 구축하여 유아의 놀이 권리를 확장하기 위해 유아놀이의 인적환경인 어머니의 놀이에 대한 생각을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6명과 개별 면담을 실시하고 질적연구방법에 근거하여 자료를 분석했다.
결과: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 어머니들은 자녀와의 놀이를 일상과 구분된 특별한 활동으로 생각했다. 둘째, 참여 어머니들은 자녀와 함께하는 놀이를 과거와 현재, 미래가 중첩되는 활동으로 의미화 했다. 셋째, 참여 어머니들은 자녀와의 놀이에서 다층적인 즐거움이 공존하는 활동으로 경험했다. 넷째, 참여 어머니들은 자녀와의 함께 놀이를 형식이 없는 자유로운 활동으로 보았으나 최소한의 규칙이 제시되어야 하는 활동으로 인식했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는 어머니가 자녀와의 놀이에서 신념과 실제의 차이를 보였다는 점과 그러한 차이를 다른 의미로 재구성했다는 점으로 논의됐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others’ thought about play with their young child.
Methods: We interviewed with six mothers and we analyzed data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Results: First, mothers thought that play with their children is a special activity occurring during separate times and places. Second, mothers overlapped both side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 play with their children and had expectations for their children’s future. Third, mothers had experienced various ways of pleasure during play with their children. Fourth, mothers allowed unlimited opportunities with whatever children like during play with their children, and the mothers demanded mother’s rules.
Conclusion: In conclusion, mothers showed that their beliefs and practices of play are different, and reconstructed that difference to a new mea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