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목차
제1장 개항과 근대 국민국가
1. 서양의 도전,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2. 개항의 의미
3. 위정척사운동
4. 개화파와 갑신정변
5.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
6. 의병전쟁
7. 애국계몽운동
8. 고종과 대한제국
제2장 1894년
1. 동학농민혁명 1
2. 동학농민혁명 2
3. 녹두장군 전봉준과 농민군의 지향
4.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제3장 일제의 강점과 3·1 운동
1. 일제의 강제 병합
2. 독립군기지 건설운동
3. 복벽주의와 공화주의
4. 세계 속의 3·1 운동
5. 민족해방운동사에서 본 3·1 운동
6. 대한민국 임시정부
7. 봉오동·청산리 전투
제4장 수탈을 위한 정책과 식민지 근대성
1. 토지조사사업
2. 산미증식계획
3. 식민지 근대화, 시혜인가? 굴레인가?
4. 문화통치
5. 조선사편수회
6. 황국신민화정책과 내선일체
7. 친일파
8. 모던 걸과 모던 보이
제5장 민족운동의 발전
1. 실력양성론과 문화운동
2. 암태도 소작쟁의
3. 원산 총파업
4. 광주학생독립운동
제6장 민족운동의 새로운 모습
1. 김산과 아리랑
2. 사회주의운동
3. 신간회
4. 세계대공황과 노동·농민운동
5. 농촌계몽운동
6. 윤봉길 의사
제7장 해방과 분단
1. 8·15 해방과 38선
2. 건국준비위원회
3. 해방공간의 정치단체·대중단체
4. 신탁통치
5. 반민특위
6. 대구 10월 항쟁
7. 통일이냐 분단이냐
8. 이승만과 김구
제8장 격동의 현대사
1. 제1공화국
2. 6·25 전쟁
3.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
4. 4·19 혁명의 의의
5. 5·16 군사정변과 10월 유신, 그리고 산업화
6. 지배문화, 저항문화, 대중문화
7.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6월 항쟁
8. 포스트모더니즘의 대두와 일상성
9. IMF 사태와 신자유주의의 틈입
10. 문화산업과 한류
11. 현대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