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목차
서장 역사 소비 시대의 역사 읽기
1. 역사란 무엇인가?
2. 진영논리를 넘어서
3. 한국사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들
4. 근대성의 경험
5. 역사 소비 시대의 역사 읽기
제1장 선사 시대 생활의 자취
1. 한국인의 기원
2. 원시와 첨단의 만남
3. 그림과 주술
4. 단군신화
5. 최초의 국가, 고조선
6. 고대인의 생활
제2장 삼국의 성립에서 통일까지
1. ‘한’ 민족과 삼한, 그리고 가야
2. 삼국의 성립과 사회 구성
3. 광개토대왕비와 칠지도
4. 밖으로 열린 문화, 백제
5. 고구려의 영웅, 고구려의 멸망
6. 삼국의 통일
제3장 신라, 천년의 역사
1. 골품제의 운명
2. 촌락문서에 나타난 신라 사회
3. 장보고와 해상왕국
4. 신라의 여왕, 신라의 문화
5. 금석문과 목간
6. 호족과 6두품의 대두
제4장 신라의 불교
1. 이차돈의 순교
2. 불교계의 새 바람, 원효
3. 의상과 화엄 종단
4. 신라의 불교미술
5. 선종 구산문의 성립
제5장 발해사의 주인 찾기
1. 발해의 건국과 대조
2. 발해의 대외 관계
3. 발해의 사회 구성과 문화
제6장 고려의 건국
1. 태조 왕건과 후삼국의 통일
2. 호족 연합 정권
3. 고려의 복잡한 지배이념
4. 고려의 다원적 대외 관계
제7장 고려의 사회와 경제
1. 고려 사회 성격 논쟁
2. 전시과와 고려 경제
3. 고려의 문화와 삶의 모습
4. 가족과 친족, 그리고 여성
5. 본관제와 향도
제8장 귀족 사회의 동요
1. 이자겸의 난과 의천
2. 묘청의 난과 풍수지리설
3. 무신 정권의 성립
4. 만적의 난
제9장 대몽 항쟁과 개혁
1. 대몽 항쟁과 강화도
2. 삼별초의 난
3. 지눌과 결사 운동
4. 원의 간섭과 부원(附元) 세력
5. 공민왕의 개혁정치
6. 성리학의 수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