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활정책 아카이브

  1. 메인
  2. 자활정책 아카이브
  3. 정기간행물

정기간행물

정기간행물

우리나라 근로연계복지사업의 제도적 연계성 분석

카테고리
일반
제공처
KCI
부제목
자활사업과 사회적기업 육성정책을 중심으로
키워드
근로연계복지사업, 자활사업, 사회적기업, 제도적 연계성, 맥락성
저자
홍성우
출판사
경인행정학회
발행연도
2011.
페이지
413-439
URL
활용동의
동의
요약
분석결과, 사업의 기원측면에서 볼 때 자활사업(특히 자활공동체사업)이나 사회적기업 육성정책은 1990년대 초에 확대된 빈민운동, 구체적으로는 생산공동체 운동에 기원을 두고 있다. 둘째, 사업의 가치나 이념에 있어서도 자활사업이 표명하는 생산, 나눔, 협동의 가치는 사회적 기업이 추구하고 있는 연대와 협동, 호혜성 및 네트워크 등의 가치에서 유사성을 찾아 볼 수 있다. 셋째, 자활사업이나 사회적기업 정책은 사업의 성격상 정부와 시민사회, 특히 비영리기관 간의 협력에 기반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의 시행과정에서 사업주체인 비영리민간기관에 요구하는 정부의 규제나 지침, 구체적인 성과산출 등의 요구는 비영리민간기관의 자율성이나 창의성등을 제약하는 부정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제도 운영의 유사성도 지니고 있다. 끝으로 자활 공동체나 사회적기업이 취업취약계층을 고용해 지역 사회에 제공하는 사회 서비스 분야도 간병?가사, 복지, 재활용, 산림보전, 교육 등 상당한 부문에서 중복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