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oading

지역사회보장지표

보건복지와 관련된 지역 사회별 통계정보를 제공합니다.

지역사회보장지표 소개

  1. 1. 개요
    • 생산목적: 지방자치단체 등 지역사회보장 관련 정책에 대한 근거 기반 마련, 지역사회보장 수준에 대한 진단 및 성과지표 설정 등 활용
    • 생산주체: 지역사회보장균형발전지원센터(누리집을 통하여 원자료 공개)
    • 생산근거: 사회보장급여법 제36조
    제36조(지역사회보장계획의 내용)
    1. ① 시․군․구 지역사회보장계획은 다음 각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지역사회보장의 목표를 점검할 수 있는 지표(지역사회보장지표)의 설정 및 목표

    2. ② 제35조제3항에 따른 특별시ㆍ광역시ㆍ도ㆍ특별자치도 지역사회보장계획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지역사회보장지표의 설정 및 목표

  2. 2. 생산범위
    • 지표구성: 10대영역, 255개 지표
    • 생산 및 제공시점: 2016년~2022년(2024년 10월 기준)
    지역사회보장지표 소개 이미지1
  3. 3. 원자료 출처

    원자료 및 설명자료: 지역사회보장균형발전지원센터 홈페이지

지역사회보장지표 제공 및 활용

  1. 1. 제공 및 활용 개요
    • 제공목적: 지역사회보장 관련 지역 여건 분석 및 정책 정보 활용 촉진
    • 제공범위: 지역사회보장지표 중 시군구 단위로 매년 생산되는 세부지표(10대 영역 75개 지표)
  2. 2. 서비스 구성 및 활용
    지역사회보장지표 소개 이미지2
  3. 3. 이용안내 및 용어 설명
    1. 1) 종합분석 그래프 설명
      지역사회보장지표 소개 이미지3
    2. 2) 광역자치단체 내 지역 비교: 선택한 지역과 동일 광역시도 내 시군구(기초자치단체)의 평균을 비교

      예시) 서울 종로구 선택 서울시 내 25개 구의 평균과 비교

      경기 수원시 선택 경기도 내 31개 시군의 평균과 비교

    3. 3) 시 · 군 · 구 유형별 비교: 선택한 지역에 해당되는 유형(시/군/구) 내 평균 비교

      예시) 서울 종로구 선택 전국 69개 구(자치구) 지역 평균과 비교

      경기 수원시 선택 전국 75개 시 지역 평균과 비교

    4. 4) 유사 지역 비교:

      - 인구 특성(인구규모, 인구증감률, 고령인구비율, 조출생률)과 재정특성(재정력지수, 세출규모, 사회복지비비율, 자치단체면적) 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유사한 특성의 지역을 11개로 구분*, 동일 유형에 해당되는 지역의 평균과 비교

      * 자료: 행정안전부. (2023). FY2022 지방자치단체 재정분석 종합보고서

      - 동일 유형에 해당되는 지역의 평균과 비교

      유형 자치단체명
      시 (75개) Ⅰ (17개) 경기 수원시 경기 성남시 경기 고양시 경기 용인시 경기 부천시 경기 안산시 경기 안양시 경기 남양주시 경기 화성시 경기 평택시 경기 시흥시 충북 청주시 충남 천안시 전북 전주시 경북 포항시 경남 창원시 경남 김해시
      Ⅱ (20개) 경기 의정부시 경기 파주시 경기 광명시 경기 김포시 경기 군포시 경기 광주시 경기 이천시 경기 양주시 경기 오산시 경기 구리시 경기 의왕시 경기 하남시 경기 과천시 강원 원주시 충남 아산시 전남 여수시 경북 구미시 경북 경산시 경남 진주시 경남 양산시
      Ⅲ (19개) 경기 안성시 경기 포천시 경기 여주시 경기 동두천시 강원 춘천시 강원 강릉시 충북 충주시 충남 서산시 충남 계룡시 충남 당진시 전북 군산시 전북 익산시 전남 목포시 전남 순천시 전남 나주시 전남 광양시 경북 경주시 경북 김천시 경남 거제시
      Ⅳ (19개) 강원 동해시 강원 태백시 강원 속초시 강원 삼척시 충북 제천시 충남 공주시 충남 보령시 충남 논산시 전북 정읍시 전북 남원시 전북 김제시 경북 안동시 경북 영주시 경북 영천시 경북 상주시 경북 문경시 경남 통영시 경남 사천시 경남 밀양시
      군 (82개) Ⅰ (21개) 부산 기장군 대구 달성군 인천 강화군 울산 울주군 경기 양평군 경기 가평군 경기 연천군 충북 증평군 충북 진천군 충북 음성군 충남 홍성군 충남 예산군 충남 태안군 전북 완주군 전남 무안군 전남 영광군 경북 칠곡군 경북 예천군 경북 울릉군 경남 함안군 경남 고성군
      Ⅱ (20개) 인천 옹진군 강원 홍천군 강원 횡성군 강원 인제군 충북 옥천군 충남 금산군 충남 부여군 충남 서천군 전북 고창군 전북 부안군 전남 담양군 전남 화순군 전남 해남군 전남 영암군 전남 장성군 경북 성주군 경북 울진군 경남 창녕군 경남 남해군 경남 거창군
      Ⅲ (20개) 강원 영월군 강원 평창군 강원 정선군 강원 철원군 강원 양구군 강원 고성군 강원 양양군 충북 보은군 충북 영동군 충남 청양군 전북 임실군 전남 고흥군 전남 완도군 전남 신안군 경북 군위군 경북 고령군 경남 의령군 경남 하동군 경남 산청군 경남 함양군
      Ⅳ (21개) 강원 화천군 충북 괴산군 충북 단양군 전북 진안군 전북 무주군 전북 장수군 전북 순창군 전남 곡성군 전남 구례군 전남 보성군 전남 장흥군 전남 강진군 전남 함평군 전남 진도군 경북 의성군 경북 청송군 경북 영양군 경북 영덕군 경북 청도군 경북 봉화군 경남 합천군
      자치구 (69개) 서울 (25개) (25개) 서울 종로구 서울 중구 서울 용산구 서울 성동구 서울 광진구 서울 동대문구 서울 중랑구 서울 성북구 서울 강북구 서울 도봉구 서울 노원구 서울 은평구 서울 서대문구 서울 마포구 서울 양천구 서울 강서구 서울 구로구 서울 금천구 서울 영등포구 서울 동작구 서울 관악구 서울 서초구 서울 강남구 서울 송파구 서울 강동구
      광역 (44개) Ⅰ (22개) 부산 부산진구 부산 동래구 부산 해운대구 부산 강서구 대구 중구 대구 북구 대구 수성구 대구 달서구 인천 중구 인천 미추홀구 인천 연수구 인천 남동구 인천 부평구 인천 계양구 인천 서구 광주 서구 광주 북구 광주 광산구 대전 서구 대전 유성구 울산 남구 울산 북구
      Ⅱ (22개) 부산 중구 부산 서구 부산 동구 부산 영도구 부산 남구 부산 북구 부산 사하구 부산 금정구 부산 연제구 부산 수영구 부산 사상구 대구 동구 대구 서구 대구 남구 인천 동구 광주 동구 광주 남구 대전 동구 대전 중구 대전 대덕구 울산 중구 울산 동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