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료검색

  1. 메인
  2. 자료검색
  3. 통합검색

통합검색

단행본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의 이론과 실태

서명/저자사항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의 이론과 실태/ 윤인진 엮음 ; 김경학, 라경수, 윤인진, 이윤경, 이창호, 임영언, 최영호, 최우길, Sheila V. Siar 편저
발행사항
성남 : 북코리아, 2017
형태사항
443 p. : 삽도 ; 24 cm
ISBN
9788963245843
주기사항
2018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참고문헌(각 장)과 색인(p. 433-443)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자료실EM04962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EM04962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자료실
책 소개
지금까지 국내에서 재외한인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어 왔지만 여전히 학제 간 종합적인 연구 성과를 도출하는 데 미흡했고, 연구자 및 연구 기관 간의 국제적 혹은 학제적 공동 연구가 활발하지 못했다. 또한 현재의 재외한인은 초국가적 연결망에 의해서 모국과 거주국 간에 긴밀한 상호 작용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재외한인 연구는 여전히 민족주의적 디아스포라 관점이 강하고 초국가적 네트워크에 기초한 연구가 부족하다. 아울러 우리에 앞서 오랜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갖고 모국과 거주국 간 강력한 초국가적 네트워크를 발전시켜 온 타 민족의 사례를 충분히 검토하지 못하고 우리 민족의 사례에 치중한 면이 있다. 이러한 점들을 보강하기 위해 이 책에서는 세계 주요 민족의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심도 있는 이론적 검토와 경험적 연구를 통해 재외한인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이 책은 크게 2부로 구성되어있다. 제1부에서 세계의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의 이론과 실태의 동향과 관점을 다루고, 제2부에서는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의 실태와 쟁점을 다룬다.
현재 재외한인의 생활과 의식에는 국가에 따라 여전히 디아스포적인 것이 남아 있는가하면 초국가적인 측면이 더욱 두드러지는 혼재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 책은 갈수록 초국가적 생활 세계를 살아가는 재외한인에 대해 창의적으로 연구하여 기존의 디아스포라 연구와 초국가주의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재외한인과 국제이주 연구를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편저자 소개


김경학 khkim@jnu.ac.kr
전남대학교 문화인류고고학과 교수. 인도 자와할랄 네루대학교 인류학 박사. 한국문화인류학회 부회장. 전남대 BK21플러스 글로벌 디아스포라 창의인재양성팀장. 주요 논저로는 󰡔터번의 문화정치: 시크의 초국가적 민족주의󰡕, 󰡔귀환의 신화: 해외 인도인의 이주와 정착󰡕(공저), 󰡔글로벌 시대의 인도인 디아스포라󰡕(공저), 󰡔경계를 넘나드는 사람들󰡕(공저) 등이 있다.

라경수 kyungsoo.rha@gakushuin.ac.jp
가쿠슈인여자대학 국제문화교류학부 준교수.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신문방송학과 졸업. 와세다대학 대학원 아시아태평양연구과 국제관계학 전공 석사 및 박사 학위 취득. 와세다대학 아시아연구소 조수, 하와이대학교 한국학센터 객원연구원,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HK연구교수, 가쿠슈인여자대학 국제학연구소 부소장 등 역임. 전공은 동아시아 지역연구. 주요 논저로는 「일본의 다문화주의와 재일코리언: ‘공생(共生)’과 ‘동포(同胞)’의 사이」(󰡔재외한인연구󰡕 제22호, 2010년 8월), 「일본의 ‘다문화공생’을 둘러싼 정책과 쟁점」(󰡔민족연구󰡕 제50호, 2012년 6월) 등 다수.

윤인진 yoonin@korea.ac.kr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미국 시카고대학교 사회학 박사.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바바라 캠퍼스 아시안 아메리칸학과 조교수. 재외한인학회, 북한이탈주민학회 회장, 한국 이민학회 부회장,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부소장. 주요 논저로는 On My Own: Korean Businesses and Race Relations, The Korean Diaspora: A Sourcebook (공편), 󰡔코리안 디아스포라󰡕, 󰡔북한이주민󰡕, 󰡔동북아시아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 󰡔세계의 한인이주사󰡕, 󰡔한국인의 정체성: 변화와 연속, 2005-2015󰡕(공편) 등이 있다.

이윤경 demianne@korea.ac.kr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연구교수, 한양대학교 사회학과 겸임교수. 고려대학교 사회학 박사. 미국 유엔본부 경제사회국 인구분과 이주정책과 방문연구, 독일 튀빙겐 대학교 한국학과 교환교수, 미국 뉴욕 사회과학연구원 이주프로그램 방문연구, 대만 중앙연구원 사회학연구소 방문학자. 주요 논저로는 󰡔재중한인의 초국가주의󰡕, National Heterogeneity and Transnational Linkage to Homeland , “거주국 사회통합과 초국가주의 활동: 중국 지역 사례에 대한 경험적 접근”, “초국가주의와 거주국 사회통합에 관한 이론적 접근” 등이 있다.

이창호 anthleech@paran.com
한양대학교 글로벌다문화연구원 연구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류학 박사.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와종교연구소 연구교수, 한국외대·한양대·고려대·홍익대·강원대 강사, 재외한인학회 총무이사, 역사문화학회 편집이사 역임. 주요 논저 및 번역서로는 󰡔20세기 동아시아화교의 지속과 변화󰡕(공저), 󰡔동아시아 관광의 상호시선󰡕(공저), 󰡔향수 속의 한국 사회󰡕(공저), 󰡔한국의 다문화 공간󰡕(공저), 󰡔러시아 사할린 지역의 북한 노동자󰡕(공저), 󰡔연해주 지역 북한 노동자의 실태와 인권󰡕(공저), 󰡔세계 신화의 이해󰡕(공저). 󰡔글로벌시대의 문화인류학󰡕(공역), 󰡔베트남 전쟁의 유령들󰡕(공역) 등이 있다.

임영언 yimye@hanmail.net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연구교수. 일본 조치대학교(上智大学校) 사회학박사. 한국일본문화학회부회장,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 편집위원장, 재외한인학회 총무이사. 주요 논저로는 󰡔韓国人企業家: ニューカマーの起業過程とエスニック資源󰡕, 󰡔재일코리안 기업가: 창업방법과 민족네트워크󰡕, 󰡔재일코리안 기업의 경영활동󰡕(공저), 󰡔글로벌디아스포라와 세계의 한민족󰡕(공저), 󰡔재일코리안 기업의 형성과 기업가정신󰡕, 󰡔일계인 디아스포라의 문화적응과 정착기제󰡕(공저) 등이 있다.

최영호 choiygho@ysu.ac.kr
영산대학교 교수. 일본 도쿄대학 국제관계학 박사, 일제강제동원진상규명위원회 미수금 분과위원장, 재외한인학회, 한일민족문제학회 회장, 영산대 국제학연구소장. 주요 논저로는 Institutionalizing Japan’s Relief System for Repatriates: Koreans and Japanese at Hakata Port in 1945, The Korean Diaspora : A Sourcebook (공편), 󰡔일본의 공적개발원조와 기업의 인프라수출󰡕, 󰡔한일관계의 흐름 2015-2016󰡕, 󰡔일본인세화회󰡕, 󰡔현대한일관계사󰡕, 󰡔재일한국인과 조국해방󰡕 등이 있다.

최우길 woogill@hanmail.net
선문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정치학박사. 주요논저로 󰡔중국조선족연구󰡕, The Korean Diaspora: A Sourcebook (공편), 󰡔시베리아개발은 한민족의 손으로󰡕(공저), 󰡔중국 한인의 역사󰡕(공저), 󰡔재외한인연구의 동향과 과제󰡕(공저) 등이 있다.

Sheila V. Siar sheila.siar@gmail.com
필리핀 개발학연구소 연구정보 디렉터(Director for Research Information, Philippine Institute for Development Studies). 오클랜드대학교 개발학 박사. De La Salle 대학교 부교수(파트타임). 전 오클랜드대학교 개발학센터 강의/연구조교. 주요 논저로 “Diaspora knowledge transfer as a development strategy for capturing the gains of skilled migration” (Asian and Pacific Migration Journal), “The diaspora as carrier to the home country of “soft knowledge” for development” (chapter in Global Diasporas and Development: Prospects and Implications for Nation-States, Springer), “Highly skilled migrants’ strong ties with their home country: evidence from Filipinos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Journal of International Migration and Integration), and “Skilled mobility, knowledge transfer and development: The case of the highly skilled Filipino migrants in New Zealand and Australia” (Journal of Current Southeast Asian Affairs).
목차

서문

제1부 세계의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의 동향과 관점
제1장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 연구의 동향과 미래 과제
1. 디아스포라 연구 동향
2. 초국가주의 연구 동향
3. 초국가주의 연구 동향
4. 나가며

제2장 신화교화인의 초국가적 정체성과 한국 사회
1. 들어가며
2. 화교 및 신화교화인의 정의와 특징
3. 신화교화인의 한국 유입과 적응
4. 신화교화인 이주의 새로운 방식: 제주특별자치도의 사례
5. 나가며

제3장 일본의 이민 정책과 일계인의 모국 귀환 정책
1. 들어가며
2. 일본의 외국인 정책과 일계인 귀환 정책의 검토
3. 이민 정책에 따른 일계인의 거주 지역별 특성, 네트워크 구조, 정착상의 과제
4. 나가며

제4장 초국가적 시대의 인도 정부의 디아스포라 정책과 전문직 디아스포라의 성격
1. 들어가며
2. 인도 정부의 디아스포라에 대한 정책
3. 초국가적 맥락에서의 전문직 디아스포라의 성격
4. 나가며

제5장 필리핀 디아스포라
1. 들어가며
2. 필리핀 해외 이주사
3. 디아스포라-모국 연계 형태
4. 나가며

제2부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의 실태와 쟁점
제6장 재미 한인 이민자의 한국과의 초국가적 사회문화 유대 관계
1. 들어가며
2. 초국가적 사회관계
3. 초국가적 가족: 기러기 가족
4. 한국 미디어를 통한 초국가적 정서와 문화의 유대
5. 조직 수준의 초국가적 문화 활동
6. 나가며

제7장 조선족 정체성 다시 읽기: 세 차원의 의식에 관한 시론
1. 들어가며
2. 조선족 정체성 연구
3. 조선족의 국민적 정체성:
‘중국공민’ 또는 ‘중화민족’으로서의 조선족
4. 종족성의 재인식: 에스닉 차원의 조선족
5. 글로벌 또는 동아시아 조선족
6. 나가며

제8장 재외한인의 연속적 이주와 다자적 동족 집단 관계의 형성: 왕징 코리아타운 사례연구
1. 들어가며
2. 다자적 동족 집단 모델의 배경과 개념
3. 분석 결과
4. 나가며

제9장 초국가주의의 시각에서 본 재일한인의 투표권
1. 들어가며
2. 재일한인의 한국 재외국민 투표권
3. 재일한인의 일본 국내 투표권
4. 나가며


제10장 트랜스내셔널리즘과 재일한인: 정체성 변화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사람의 월경/이동에 관한 이론적 검토
3. 재일한인의 정체성 변용에 관한 담론 분석
4. 재일한인 청년들에 대한 면담조사를 통해 본 정체성의 ‘중층성(重層性)’
5. 동아시아를 단위로 하는 재일한인 인식의 ‘월경성(越境性)’
6. 나가며

제11장 국내 고려인의 이주와 정착: 광주광역시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구소련권 고려인의 국제이주와 한국으로의 입국
3. 광주광역시 고려인 엔클레이브(enclave), ‘고려인마을’
4. 한국으로의 이주와 정착: 이주자 네트워크(migrant network)
5. 세대 간 호혜적 ‘돌봄’을 매개로 한 이주의 지속과 정착 생활
6. 나가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