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자활정책 아카이브

  1. 메인
  2. 자활정책 아카이브
  3. 정기간행물

정기간행물

정기간행물

주민자치회의 정책형성 과정과 입법화 방안 연구

카테고리
일반
제공처
KCI
부제목
정책흐름 모형(PSF)을 활용하여
다른언어제목
A Study on the Legislation to Policy Formulation Process of The Autonomous Citizen Association: Based on Kingdon’s Policy Streams Model
키워드
주민자치회, Kingdon, 정책변동, 정책흐름모형
저자
이광원
출판사
한국지방자치학회
발행연도
2022.
페이지
171-196
URL
활용동의
동의
요약
본 연구는 Kingdon의 정책흐름 모형을 활용하여 주민자치회 도입에 관한 정책형성 과정을 살펴보고 향후 주민자치회가 입법화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은 특정 사회문제가 정부의제로 채택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이면에 정부의 결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 즉 표류하는 과정을 면밀히 분석하여 정책의제로 채택될 수 있도록 제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정책문제의 흐름과 관련하여 주민자치회는 공론과 합의의 과정을 중시하고, 일상적인 생활속에서의 참여를 통한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주민자치 제도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또한 주민자치회 운영상 발생되는 대표성 문제, 전문성 문제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민자치회의 입법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논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주민자치회의 입법화라는 정책의 창을 열기 위해서는 정치의 흐름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주민자치위원회와 달리 주민자치회는 지역의 주체자로서 역할과 적극적인 주민참여를 통한 실천적 활동조직으로서 차별화된다는 인식을 재확인될 필요가 있다. 셋째, 정책 대안의 흐름과 관련하여 주민자치회의 조직 구성 및 운영적 측면에서 기존보다 차별화된 정책적 아이디어가 제시되어야 한다. 주민자치회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주민자치회 위원 구성, 주민자치회 기능 및 권한, 주민자치회 사무 배분, 주민자치회 조직 및 재원 마련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특정 엘리트 집단 소수가 아닌 많은 이해관계자가 정책선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