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뉴스레터

뉴스레터

2025-03-24

Discover Online(보건복지 디지털 정책자료) 2025. 3. 24.

2025-11호 2025. 3. 24.
KIHASA 발간자료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XI): 이주민과 사회통합
이번 보고서는 한국인의 이주민에 대한 인식과 태도, 이민 관련 정책에 대한 태도, 그리고 이주민의 사회권과 복지 태도를 중점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한다. 첫째, 우리 사회의 사회 및 사회통합 수준을 파악한다. 둘째, 다양성과 이주민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태도를 알아본다. 셋째, 이민정책과 사회통합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를 살펴본다. 넷째, 이주민/외국인의 사회복지제도(사회복지 적용 및 수급 등)을 둘러싼 국민의 인식과 태도를 종합적으로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와 더불어, 사회통합 포럼을 통해 관련 전문가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슈를 공론화하여, 이 주제에 관한 정책적 함의점을 도출하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4.12.31
주거급여제도의 위상재정립 방안 연구: 국외 사례를 중심으로
주거는 인간의 기본 권리이자 안정적 삶의 필수 조건이다. 그러나 경제적 불평등과 주거 환경 격차로 인해 많은 이들이 적절한 주거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주거급여는 주거권 보장을 위한 중요한 제도로 자리 잡고 있다. 이 보고서는 주거급여가 우리 사회에서 실질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고 있으며, 주거권 보장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국외 주거급여 제도와의 비교를 통해 한국 주거급여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더 효과적이고 형평성 있는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단순한 제도 진단에 그치지 않고 한국형 주거급여 제도의 발전 방향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OECD 주요국의 정책 분석과 독일, 핀란드, 미국의 사례 연구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4.12.31
2024년 인구변동 모니터링 및 연보
본 정책자료는 한국사회의 특징적인 인구변동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돕고,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지속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목적하 추진된 내용을 담고 있음. 구체적으로, 통계청에서 생산하고 있는 인구변동의 기초 자료를 포함하여, 이를 가공 활용하여 추가 생산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인구변동 모니터링 지표를 지속 생산하고 해석함으로서, 유기적 정책 대응의 필요성을 시사하기 위한 목적에 기인하고 있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4.12.31
자활지원제도의 역사적 경험과 활용 방안 연구
본 연구는 자활지원제도의 역사자료를 수집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보존하기 위해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자활지원제도 역사자료 수집에서 수집할 자료의 시작 시기, 중요 자료, 아카이브 구축방법을 파악하기 위해, 자활지원제도의 역사적 배경에 관한 문헌 고찰, 국내외 아카이브 구축사례를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자활 관계자 인터뷰, 연구진 간의 논의, 민간과 정부 및 학계 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제도 형성과 변화에 직간적접으로 영향 준 자활사료를 수집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집된 사료는 총 966건이며 한국보건사회 전자도서관의 자활정책 아카이브 페이지에서 자료를 공개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이와 관련하여 이론적 배경으로 자활지원제도의 개념과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며, 국내외 아카이브 구축사례를 살펴보고, 본 연구에서 구축한 아카이브 자료 목록과 활용방안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4.12.31
국내 보건복지 연구자료
2025년 위기임신 및 보호출산 지원 사업 안내
Ⅰ. 시작하기에 앞서/1 1. 용어 2 2. 위기임산부 상담기관 목록 5 Ⅱ. 사업 개요/7 1. 추진 배경 및 연혁 8 1-1. 추진 배경 8 1-2. 주요 연혁 9 2. 사업 목적 10 3. 법적 근거 10 4. 사업 대상 10 5. 사업 추진체계 및 역할 11 5-1. 사업 운영 절차 11 5-2. 추진주체별 역할 12 5-3. 사업 예산 14
보건복지부
2025
2025년 치매정책 사업안내
Ⅰ. 치매관리사업의 현황 Ⅰ-1. 치매관리사업의 개요 2 Ⅰ-2. 치매관리전달체계 4 Ⅰ-3. 시설현황 6 Ⅰ-4. 지자체의 역할 7 Ⅰ-5. 중앙치매센터 설치.운영 10 Ⅱ. 광역치매센터 운영 Ⅱ-1. 광역치매센터 설치 및 운영 14 Ⅱ-2. 광역치매센터의 추진 사업 25 Ⅱ-3. 인사·복무 및 예산·회계 지침 31
보건복지부
2025
2025년 발달장애인 활동서비스 사업안내
Ⅰ. 사업 개요 1 1. 사업 개요 3 Ⅱ. 대상자 선정 9 1. 주간활동의 급여의 신청 11 2. 신ㄴ청의 조사 16 3. 주간활동 수급자격심의위원회 20 4. 수급자 선정 및 결정 통지 23 5. 변경신청 26 6. 이의신청 28 7. 수급자격 유효기간 및 관리 29
보건복지부
2025
청년 연령 기준의 상향 및 일원화 쟁점과 개선 방향
최근 인구 고령화와 청년인구 감소에 따른 정책 대상과 연령 기준 간 부정합성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청년 연령 기준의 상향 및 일원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아지고 있다. 현재 급변하는 청년 상황을 감안할 때, 청년 연령 기준의 상향은 긍정적으로 검토하되 다른 연령을 연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향후 청년정책에 대한 유연성은 유지하면서도 국가 차원에서 최소한의 연령 상한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설정할 필요가 있다.
국회입법조사처
2025
유아교육·보육(ECEC) 정책 성과와 과제(Ⅱ): 국정과제 이행 성과분석을 중심으로
요약 1 목차 Ⅰ. 서론 1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7 2. 연구내용 19 3. 연구방법 21 4. 선행연구 24 5. 윤석열 정부의 육아정책 관련 국정과제 29 6. 성과분석 대상 정책의 범주 32 Ⅱ. 유아교육・보육 정책(ECEC) 및 양육지원체계의 성과지표 33 1. 부처별 성과지표 35 2. 선행연구의 성과지표 40 3. 본 연구의 성과지표 48 Ⅲ. 국정과제 성과 평가 55 1. 국정과제 진행 모니터링 57 2. 전문가 조사 87 3. 소결 115 Ⅳ. 정책과제 부문별 성과 평가 119 1. 현금 및 의료비 지원 121 2. 교육・보육・돌봄 지원 140 3. 자녀돌봄 시간지원 169 4. 전체 육아정책 기준 평가 185 5. 소결 235 Ⅴ. 심층분석: 인구위기 및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유아교육・보육(ECEC) 정책 및 양육지원체계 성과분석(국제지표를 중심으로) 245 1. 심층분석의 필요성 247 2. 인구정책의 개념 및 구성요소 249 3. 저출산과 가족구성(family formation)에 관한 이론 254 4. 저출산 담론 분석 287 5. 심층분석의 성과지표 307 6. 정책 성과분석 310 Ⅵ. 해외 정책 사례 분석(독일 가족정책 동향을 중심으로) 321 1. 가족의 변화 323 2. 가족정책의 흐름 332 3. 독일 가족정책의 변화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 345 4. 결론 349 Ⅶ. 종합 평가 및 정책 제언 351 1. 일반 성과분석 종합 평가 및 정책 제언 353 2. 심층분석 종합 평가 및 정책 제언 364 참고문헌 373 Abstract 385 부록 387 부록 1. 부모 설문지 387 부록 2. 전문가 설문지 402 부록 3. 면담조사 질문지 420
육아정책연구소
2024
취약·위기가정 양육역량 지원 방안 연구(Ⅲ): 장애를 가진 부모의 양육역량 지원 방안
요약 1 Ⅰ. 서론 1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9 2. 연구 내용 20 3. 연구 방법 20 4. 연구 범위 26 Ⅱ. 연구의 배경 31 1. 장애인 관련 통계 33 2. 장애인 관련 지원 법률 41 3. 국내외 장애 부모 임신·출산·양육 지원 정책 현황 46 4. 장애 부모 출산 및 아동 양육 현황 66 Ⅲ. 장애 부모 임신·출산·양육 경험과 지원 요구 87 1. 사례조사 개요 89 2. 장애 부모의 임신·출산 경험 94 3. 장애 부모의 양육 경험 99 4. 장애 부모의 지원 경험 및 요구 120 Ⅳ. 장애 부모 양육 지원 제도의 시사점 127 1. 장애 부모 욕구 분석 129 2. 장애 부모 지원 정책 활용 분석 133 3. 시사점 141 Ⅴ. 장애 부모 양육역량 강화를 위한 육아 지침서 개발 145 1. 육아 지침서 개발의 필요성 147 2. 육아 지침서 구성 150 3. 육아 지침서 요약 151 Ⅵ. 정책 제언 155 1. 제도적 고찰 157 2. 정책적 접근 164 3. 정책 방안 및 추진 전략 174 참고문헌 179 Abstract 185 부록 189 1. 사례조사 면담지 189 2. 양육역량 및 양육 부담 척도 198
육아정책연구소
2024
서울시 청년 니트(NEET) 실태 분석과 일자리 지원 정책방향
‘청년도시’ 서울, 청년 니트의 규모와 특성 파악해 니트 지원 위한 정책 마련해야 교육기간 연장과 노동시장의 일자리 기회 감소로 청년층의 취업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코로나19 시기 악화되었던 청년 고용지표는 개선되고 있지만, 비경제활동 상태의 청년 쉼 인구는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하고 있다. 서울은 전국에서 청년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청년도시’이다. 보통 20대 초반 대학에 진학하고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전국의 많은 청년이 서울에 온다. 니트(NEET,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는 교육을 받지 않고, 일하지 않는 상태의 청년을 의미한다. 서울시 청년 니트의 규모와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한국 사회의 청년세대가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 이행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확인하게 해준다. 이 연구는 2010년부터 2022년까지 서울시 청년 니트의 규모와 특성을 파악하여, 서울시 청년이 니트가 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서울연구원
2024
기후위기 시대의 산업 정책 방향 연구
본 연구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내외 주요 정책 동향과 산업별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책 제언을 통해 산업계와 정책 입안자들에게 기후위기 대응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기후위기 대응 정책의 흐름을 살펴보고, 고탄소 산업의 저탄소 전환 측면과 기후위기에 주로 영향을 받는 5개 산업(건축, 교통, 농업, 관광, 금융)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고탄소 산업은 기후위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산업군으로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석탄발전이 이에 해당하는데, 최근 국제사회의 탄소 규제 강화로 인한 무역 및 투자환경의 급변으로 탈탄소화를 위한 기술 도입 및 산업 재편이 시급하다. 또한 기후위기의 영향을 받는 5개 부문의 주요 산업 부문에서도 각 산업의 여건을 고려한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한편, 이러한 전략들의 효율적인 실행을 위한 국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적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국가 차원의 정책 방향을 제안한다.
경기연구원
2025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제1장 서론 제2장 예비 조사 제3장 G그룹(완주군, 50세 미만 여성) 제4장 H그룹(완주군, 50세 이상 여성) 제5장 F그룹(평창군, 50세 이상 남성) 제6장 E그룹(평창군, 50세 미만 남성) 제7장 B그룹(거창군, 50세 이상 남성) 제8장 D그룹(거창군, 50세 이상 여성) 제9장 C그룹(홍성군, 50세 미만 여성) 제10장 A그룹(홍성군, 50세 미만 남성)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4
저출생 대응 가족패널조사 사전연구(Ⅰ)
○급격한 가족변동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낮은 출산율을 경험하고 있는 상황에서, 가족구성과 친밀한 관계맺음의 생애경로를 종단적으로 추적함으로써 변화지점을 규명할 수 있는 데이터의 구축은 우리 사회의 저출생 원인을 규명하고 적절한 정책적 대응을 위해 필수적임. ○저출생 위기의 해법은 우리사회가 가족과 일, 그리고 생애전망을 보다 성평등한 관계 속에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시작해야 함. ○저출생?가족패널조사는 우리사회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위기 대응을 목표로 가족변동과 일?가족에 대한 생애전망의 종단적 과정을 생애이력 속에 추적조사하는 패널조사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4
기후변화에 대한 글로벌 바이오헬스산업 대응 현황
◈ CONTENTS 01. 서론 02. 감축(Mitigation) 측면 03. 적응(Adaptation) 측면 04. 융·복합(Mitigation/Adaptation Convergence) 측면 05. 요약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4
국외 보건복지 연구자료
OECD Economic Outlook, Interim Report March 2025
The global economy remained resilient in 2024, expanding at a solid annualised pace of 3.2% through the second half of the year. However, recent activity indicators point to a softening of global growth prospects. Business and consumer sentiment have weakened in some countries. Inflationary pressures continue to linger in many economies. At the same time, policy uncertainty has been high and significant risks remain. Further fragmentation of the global economy is a key concern. Higher-than-expected inflation would prompt more restrictive monetary policy and could give rise to disruptive repricing in financial markets. On the upside, agreements that lower tariffs from current levels could result in stronger growth.
OECD
2025
Counterfactual impact evaluations of active labour market policies
Public employment services and active labour market policies (ALMPs) have an important role to play in providing adaptable and responsive support to connect people with jobs. This policy report synthesises findings from a joint OECD-EC project on using linked administrative data to evaluate the impact of ALMPs. The report brings insights across a range of dimensions.
OECD
2025
State of the Global Climate 2024
The publication provides a summary on the state of the climate indicators in 2024 with sections on key climate indicators, extreme events and impacts. The indicators include global temperatures, greenhouse gas concentration, ocean heat content, sea level rise, ocean acidification, Arctic and Antarctic Sea ice, Greenland ice sheet and glaciers and snow cover, precipitation and stratospheric ozone, with an analysis of major drivers of inter-annual climate variability during the year including the El Niño Southern Oscillation and other ocean and atmospheric indices. The highlighted extreme events include those related to tropical cyclones and windstorms, flooding, drought and extreme heat and cold events. The publication also provides most recent finding on climate related risks and impacts including on food security and population displacement.
UN
2025
Women’s Rights in Review 30 Years After Beijing
This summary report highlights findings from the United Nations Secretary-General’s report on the review and appraisal of the Beijing Declaration and Platform for Action, the most comprehensive stocktaking on gender equality and women’s rights available globally. In 2025, the world celebrates 30 years of achievement on the platform, a visionary 1995 plan agreed by 189 governments to achieve the equal rights of ALL women and girls. The review reflects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reviews of 159 countries, summarizing progress and priorities for further action.
UN
2025
How does population ageing affect health system financial sustainability and affordable access to health care in Europe?
This brief aims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how population ageing affects the financial sustainability of health systems, focusing on its likely impact on affordable access to health care (‎financial protection)‎. It uses the Population Ageing Financial Sustainability Gap for Health Systems (‎PASH)‎ Simulator to forecast the impact of population ageing on health system revenue and spending between now and 2060 to estimate the likely size of the ageing-related health financing gap in selected countries in Europe (‎Bulgaria, Italy, Slovakia, Slovenia and Spain)‎.
WHO Europe
2025
Regions for Health Network: catalogue of regions 2024, 2nd ed
This catalogue is a compilation of profiles of the regions participating in the Regions for Health Network (‎RHN)‎ in 2024. The purpose of the catalogue is multifaceted, namely to: present information related to each region in a clear, homogeneous and structured manner; illustrate the potential of the Network by showcasing its greatest asset – the diversity of its participating regions; enable useful comparison of the strengths, challenges and aspirations in the regions; act as a tool to foster bilateral and multilateral collaboration between the regions; and help WHO identify best practice in the regions, and challenges faced at the regional level.
WHO Europe
2025
[Article]Age-Based Trends in Suicidal Ideation Among Child Welfare System-Involved Youth
Youth involved with the child welfare system (CWS) exhibit elevated rates of suicidal ideation. This study explores age-, sex-, and race-specific trends of suicidal ideation among 7–18-year-olds within the CWS. Utilizing data from all three versions of the National Survey for Child and Adolescent Well-Being (N = 5783), which included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s of CWS-involved youth, we stratified the sample by age, sex, race, and ethnicity to observe subpopulation-specific trends.
SAGE Journals
2025
[Article]Competency of Large Language Models in Evaluating Appropriate Responses to Suicidal Ideation: Comparative Study
Background: With suicide rates in the United States at an all-time high, individuals experiencing suicidal ideation are increasingly turning to large language models (LLMs) for guidance and support.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ompetency of 3 widely used LLMs to distinguish appropriate versus inappropriate responses when engaging individuals who exhibit suicidal ideation.
JMIR Publications
2025
Modeling Physician Workforce Supply, Demand, and Need Using System Dynamics
In partnership with the Association of American Medical Colleges, RAND researchers developed a new system dynamics simulation model of the U.S. physician workforce, which includes clinical need, supply, and demand factors. Model structure, assumptions, and future directions are described. This report will be of interest to policymakers and others interested in learning how this model differs from other models used to generate such projections.
RAND
2025
보도자료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권역별 지자체 설명회 개최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3월 18일(화) 정부세종청사에서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본사업 시행 준비를 위한 권역별 지방자치단체 설명회를 시작하였다. 권역별 지자체 설명회는 2026년 3월 시행* 예정인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본사업 시행을 위한 지자체 준비사항 안내와 의견수렴을 위해 마련되었다. * 「의료ㆍ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돌봄통합지원법’)」 제정(‘24.3.26), 시행(’26.3.27) 보건복지부는 이날 대전세종충남경북제주 권역을 시작으로 3월 28일(금)까지 총 5차례*에 걸쳐 권역별 설명회를 실시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2025.03.18
국립재활원, 지역사회 재활·헬스케어 분야 연구개발 협력 및 산업육성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 체결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원장 강윤규)은 3월 18일(화) 경상북도, 경산시,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구대학교, (재)헬스케어스파산업진흥원, (재)경북IT융합산업기술원(이하‘협력기관’이라 함)과 재활·헬스케어 분야 연구개발 협력 및 산업육성 강화를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재)경북IT융합산업기술원이 보건복지부, 경상북도, 경산시의 지원을 받아 건립하는 ICT융복합 어린이 재활기기 실증센터 착공식에서 협약이 체결되며, 협력기관을 비롯해 정부, 유관기관 및 기업 등의 관계자 약 100명이 참여하였다. 업무협약의 주요 내용은 지역사회 재활·헬스케어 분야 ▲산업 통합 지원체계 구축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ICT, 인공지능, 로봇 기술을 활용한 연구개발 ▲산업 정보, 인력, 자원과 시설의 상호 공유 및 활용 ▲기타 상호 발전을 위해 필요한 업무 및 사업 협력 시스템 구축 등이다.
보건복지부
2025.03.18
건강 수준 및 노동 측면에서의 노인 연령 기준 논의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3월 18일(화) 15시 30분 서울역 스페이스쉐어 회의실(서울시 용산구)에서 정순둘 이화여대 교수 주재로 노인연령 논의를 위한 제3차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2차례(‘25.2.7.(금), 2.26.(수)) 간담회 이후 세 번째로 개최된 전문가 간담회로 노인 연령과 관련해 민·관 차원에서 사회적 논의를 확대해 나가기 위해 마련되었다. 간담회에는 이기일 제1차관을 비롯해, 학계 전문가, 대한노인회, 한국소비자연맹 관계자, 언론인 등 총 14명이 참석하였으며, 보건의학적 관점과노동시장의 관점에서 현재의 노인 연령 기준에 대해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보건복지부
2025.03.18
2025년도 ‘찾아가는 유아 흡연위해예방교실’ 신청하세요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김헌주)은 ‘2025년 찾아가는 유아 흡연위해예방교실’ 운영을 위하여 3월 19일(수)부터 28일(금)까지 금연두드림 누리집(nosmk.khealth.or.kr/nsk)을 통해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2015년부터 유아에게 담배의 해로움과 간접흡연의 위험성을 알려 건강한 생활습관을 형성하고, 보육 환경의 금연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유아 흡연위해예방사업*」을 추진해 왔다. * ▲찾아가는 유아 흡연위해예방교실(방문교육) ▲놀이형 체험관(전국 전시) ▲부모와 함께하는 가정연계 프로그램 운영 ▲교사 교육과정 및 교육자료 개발·보급 ▲우수사례 공모전 등
보건복지부
2025.03.18
일자리야 열려라! 2025 대한민국 채용박람회 개막
2025 대한민국 채용박람회는 3.19.(수)~3.20.(목) 이틀간 서울 aT센터 제1전시장(서울 서초구 강남대로 27)에서 열리며, 총 121개 기업과 수천 명의 청년 구직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막을 올렸다. 특히 3월 2일부터 공식 누리집(대한민국채용박람회.kr)을 통해 사전등록 한 청년들이 첫날에만 5천 명을 넘었고, 1:1 이력서 컨설팅, 채용설명회ㆍ현직자 특강 등 부대행사는 사전예약을 받았는데 모두 조기마감이 되는 등 청년들의 열띤 호응이 있었다. 이번 2025 대한민국 채용박람회는 올해 최초로 관계부처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것으로, 체감 일자리 상황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서 산업별 우수기업과 청년 구직자가 직접 만나는 ‘만남의 장’을 민관이 힘을 합쳐 마련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보건복지부
2025.03.19
메디컬코리아(Medical Korea) 2025, 인공지능(AI) 기반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이제 일상이 되다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가 주최하고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이 주관하는 「메디컬 코리아(Medical Korea) 2025」가 3월 20일(목)부터 23일(일)까지 4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2010년에 시작하여 올해 15회*를 맞은 「메디컬 코리아 2025」 글로벌 헬스케어 & 의료관광 콘퍼런스는 전 세계 헬스케어 전문가들의 강연과 토론을 통하여 글로벌 헬스케어의 최신 동향에 대한 ‘지식 공유의 장’이자, 환자 유치, 의료기관 해외진출 등 보건의료 산업 분야에서 국제적 협력을 도모하는 장소로 역할을 해왔다.
보건복지부
2025.03.19
국립정신건강센터,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정신건강 증진 위한 업무협약 체결
국립정신건강센터·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정신건강 증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내일채움공제 가입자의 정신건강 증진 위한 사업 공동 수행- 국립정신건강센터(센터장 곽영숙)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사장 강석진)은 3월 19일(수) 오전 11시 국립정신건강센터 9층 대회의실(서울 광진구)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번 업무협약은 내일채움공제 가입자 대상 정신건강 증진을 위하여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주요 협약 내용은 ▲정신건강 증진 사업을 위한 공동 교육 개발 및 교재 제작 ▲정신건강 증진 사업 홍보 및 운영 ▲지속가능한 교육 모델 구축을 위한 교류 등이다.
보건복지부
2025.03.19
대한민국, 루마니아와 보건산업 협력 강화
대한민국, 루마니아와 보건산업 협력 강화 - 「메디컬코리아 2025」 계기 ICT 기반 의료시스템, 의료인 연수 및 제약바이오ㆍ의료기기 분야 협력 강화 논의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메디컬코리아 2025」 참석 차 한국을 방문한 루마니아 보건부 장관과 3월 20일 롯데호텔(서울시 중구)에서 양자면담을 개최하였다. 조규홍 장관은 알렉산드루 라필라(Alexandru Rafila) 루마니아 보건부 장관과 만나 ▲ICT 기반 의료시스템 분야 협력 강화, ▲의료인 연수 활성화 및 ▲제약바이오ㆍ의료기기 분야 협력 강화 등 보건의료분야 관심 현안을 논의하였다. 알렉산드루 라필라 장관은 한국과 ▲병원 디지털화를 위한 성공 경험 공유, ▲제약·의료기기 투자 유치, ▲의료서비스 접근성 제고를 위한 원격의료 분야 협력, ▲의료진 교환·연수 프로그램 및 학술협력 등을 희망하며, 한국 방문기간 동안 용인세브란스 병원, 삼성메디슨 등도 찾을 계획임을 밝혔다.
보건복지부
2025.03.21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사회정책동
전화 044-287-8004 팩스 044-287-8056
Copyright ©by 2024 KIHASA. All rights reserved.
메일 수신을 원하지 않으시면 메일 수신거부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