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뉴스레터

뉴스레터

2025-04-07

Discover Online(보건복지 디지털 정책자료) 2025. 4. 7.

2025-13호 2025. 4. 7.
KIHASA 발간자료
보건복지포럼 2025년 3월호 (통권 제341호) : 2025년 사회보장 예산분석
■ 기획의 글 / 신정우 사회보장재정데이터연구실 연구위원 ■ 이달의 초점 / 2025년 사회보장 예산분석 ○ OECD 사회지출 현황 비교 분석 - 신정우 사회보장재정데이터연구실 연구위원 ○ 2025년 노령 정책 예산 분석 - 송창길 사회보장재정데이터연구실 부연구위원 ○ 2025년 아동·가족 예산 분석 - 고제이 사회보장재정데이터연구실 연구위원 ○ 2025년 청년정책 예산 분석 - 나원희 사회보장재정데이터연구실 부연구위원 ○ 2025년 일자리 분야 예산 분석 - 고혜진 빈곤불평등연구실 부연구위원 ■ 정책분석과 동향 ○ 주관적 빈곤선의 측정과 활용 - 여유진 빈곤불평등연구실 선임연구위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5.03.01
국제사회보장리뷰 2025년 봄호 (통권 32호) : 장애인 지원체계와 대상 기준
■ 기획: 장애인 지원체계와 대상 기준 ○ 미국의 장애인 지원체계와 대상자 선정 방법 / 전지혜(인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김민(공무원연금공단 책임연구원) ○ 독일의 장애인 지원체계와 대상자 선정 방법 / 이주화(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연구교수) ○ 스웨덴의 장애인 지원체계와 대상자 선정 방법 / 홍세영(안양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조교수) ○ 일본의 장애인 지원체계와 대상자 선정 방법 / 공영종(붓쿄대학 사회복지학부 준교수) ■ 이슈분석 ○ 유럽연합 인공지능법이 한국 사회보장에 주는 함의 / 김기태(보사연 사회보장정책연구실 연구위원), 신영규(보사연 사회보장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 ○ 프랑스 초등교육 제도와 방과 후 돌봄 체계 / 임밝네(파리7대학 사회학 박사) ○ 최근 북유럽의 출산율 동향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 김우성(스톡홀름대학교 사회학과 인구학 유닛)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5.03.3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및 주요 개편방안 효과 분석
이 연구에서는 가계금융복지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였고,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주요 개편 방안의 효과를 시뮬레이션하였다. 이 연구의 시뮬레이션 모델은 첫째, 생계급여 부양의무자 기준을 반영하였고 둘째, 사회적 낙인, 정보 부족, 복잡한 신청절차, 자활사업 참여 기피 등으로 인한 수급미신청 가능성을 반영하였으며 셋째, 시뮬레이션 결과를 행정데이터 수급 실태와 비교·검토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데이터에 2022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규칙을 적용하여 2022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실태 및 소득분포를 산출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한 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요소의 일부를 변경하는 대안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4.12.31
수요자 중심의 보건의료정책 추진방향 연구
우리나라의 보건의료는 수요자와 사람 중심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는 수요자와 사람 중심 의료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보건의료 관련 주요 국제 기구의 공식 보고서에 제시된 수요자와 사람 중심 보건의료를 위한 프레임워크와 주요 전략을 고찰하였고, 의료서비스 수요자인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우리나라의 수요자와 사람 중심 보건의료와 보건의료 정책과 관련한 현황을 살펴보고 평가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수요자와 사람 중심의 보건의료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4.12.31
국내 보건복지 연구자료
2025년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시범사업 안내
제1편 시범사업 개요 Ⅰ. 시범사업 개요 3 1. 추진 배경 3 2. 2024년 주요 추진현황 4 3. 2025년 사업개요 5 4. 2025년 추진방향 및 계획 7 5. 2025년 시범사업 추진체계 11 Ⅱ. 시범사업 운영체계 조성 16 1. 계획 수립 16 2. 수행기관 16 3. 자립지원 전담인력 19 4. 시범사업 홍보 및 정보제공 23 5. 대상자 발굴 경로 조성 24 6. 지역 내 환경조성 및 안전체계 구축 25 7. 자립지원위원회 27 8. 단기체험 지원 28
보건복지부
2025
2025년 장애아동가족지원 사업안내
제1편 장애아가족 양육지원 사업 Ⅰ. 사업 개요 13 Ⅱ. 지원대상 및 지원내용 19 Ⅲ. 돌봄서비스 대상자 선정 25 Ⅳ. 돌봄서비스 본인부담금 35 Ⅴ. 장애아돌보미 양성 및 관리 39 Ⅵ. 장애아돌보미의 역할 53 Ⅶ. 사업시행기관 59 Ⅷ. 사업평가 및 환류 67 Ⅸ. 예산 집행 및 정산 71 ■ 서 식 79 제2편 발달재활서비스 사업 Ⅰ. 사업 개요 153 Ⅱ. 서비스 대상자 선정 161 Ⅲ. 서비스 내용 및 단가 173 Ⅳ. 바우처 지급 및 이용 181 Ⅴ. 서비스 실시 197
보건복지부
2025
노인기준연령 상향 논의와 향후 과제
최근 기대수명·건강수명 연장 등 고령자의 신체적·정신적 기능이 향상되고, 초고령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향후 사회보장제도의 지속가능성 제고와 건강한 노인인력 활용을 통한 경제활력 확보 등을 목적으로 노인기준연령을 상향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본격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연령은 정책 대상자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라는 점에서, 소득·복지 공백이 최소화되도록 정책 수요자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회를 비롯하여 범부처 차원에서 공적연금 제도를 통한 소득보장, 노동정책(고용 유지, 임금체계 개편, 세제·재정 지원 등), 기타 관련 제도들을 종합적으로 정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국회입법조사처
2025
필수의료 지원 강화를 위한 상시적 상대가치점수 조정체계 방안 연구
○ 현행 상대가치 개편의 한계 및 건강보험 수가운영 방식의 문제점 검토 ○ 상대가치 상시조정 체계 구축 방안 제시 ○ 상대가치 상시조정 및 관리 기전 정착을 위한 거버넌스 제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5
젠더관점의 사회적 돌봄 재편방안 연구 (Ⅲ): 고령화 시대, 노인돌봄 격차 해소 전략
□이 연구는 젠더관점의 사회적 돌봄 재편방안 연구?의 3차년도 연구임.○1차년도(2022년)에는 개인화 시대를 배경으로 한 돌봄정책 패러다임 전환의 방향을, 2차년도(2023년)는 아동 돌봄의 질 제고 전략을 모색했음.○마지막 연도인 3차년도 연구는 고령화 시대를 배경으로 한 노인 돌봄 정책의 재편에 초점을 맞춤.□매우 빠른 속도로 전개되고 있는 인구고령화로 인한 돌봄 수요의 급격한 증가가 예견되는 가운데 지속가능한 돌봄체계 구축을 위한 거시적 차원의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어 옴. ○그러나 미시적 차원에서 공적 노인돌봄서비스 제도 도입 이전 부터 오랫동안, 그리고 제도 도입 이후에도 여전히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가족의 성별화된 속성에 기초한 돌봄관계와 이로 인한 불평등 효과에 대한 관심은 부족함.□가족은 성중립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성불평등을 유지?재생산하는 핵심 기제인 성별분업과 성역할 규범이 수행되는 사회영역 중 하나임. ○노인돌봄과 관련하여 가족의 성별화된 속성은 수혜자인 노인의 돌봄 불평등과 가족돌봄자의 불평등한 사회경제적 지위에 영향을 미침. ○기대수명의 차이와 성역할 규범으로 인해 여성노인은 배우자를 더 많이 돌보지만, 자신이 돌봄이 필요할 때는 자녀나 공적돌봄에 더 많이 의존함.○노동시장 내 지위의 차이와 돌봄의 일차적 책임을 여성에게 할당하는 규범으로 인해 부모 돌봄의 주된 책임은 아들보다 딸에게 더 많이 주어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4
2024년 여성가족패널조사
○저출산고령화, 가족 형태의 다양화, 돌봄 수요의 변화, 그리고 양성평등 가치의 확산 등으로 인해 여성가족 분야의 정책 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음.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여성의 삶과 가족 변화를 생애사적 관점에서 추적할 수 있는 종단자료의 구축이 필요하며, 이 자료는 여성의 고유한 경험을 반영하고 삶의 다양한 영역 간 상호연계성을 고려해야 함. ○기존의 종단자료들은 여성의 사적 영역 특성을 충분히 드러내거나 삶의 다양한 영역 간 연계적 효과를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종단자료의 구축이 요구됨.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는 2007년부터 시작된 국내 유일의 여성가족 분야 패널조사로, 여성의 생애주기별 경험, 가족구조, 일자리 등의 변화를 추적하며, 2024년 현재 9차조사까지 완료되었고 10차조사가 진행 중임. ○이러한 종단자료의 구축과 분석은 여성가족 정책의 수립과 평가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에도 기여하여 한국 사회의 변화하는 젠더 관계와 가족 구조에 대한 정책지원이 가능함.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4
2024년도 더 편한일터 편의시설 자가진단지
개요 01 용어해설 02 도움말 04 대상시설 05 매개시설 자가진단지 09 내부시설 자가진단지 09 위생시설 자가진단지 39 안내시설 자가진단지 59 그 밖의 시설 자가진단지 67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25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혼인·출산·주거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983년에 인구 대체 수준인 2.1 밑으로 감소하여 2023년에는 사상 최저인 0.72를 기록하였다. 인구 대체 수준 이하의 합계출산율이 약 40년간 지속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출산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청년기를 중심으로」의 부문으로서 ‘혼인·출산·주거’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분석을 통해 정부의 저출산 대응 정책에 대한 통계적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코호트별 혼인·출산·주거에 대한 변화 양상을 파악해 본 결과, 첫째 현재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만혼화와 비혼의 증가는 대체로 1970년대생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1980년대생과 그 이후 출생 코호트에서 더욱 강화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코호트별 생애과정 이행의 차이는 교육 수준과 같은 사회경제학적 요인들에 의해 격차가 점차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예를 들어, 특히 남성들 사이에서 고졸 이하의 저학력층이 대졸 이상의 학력을 지닌 고학력층에 비해 최근 코호트로 들어올수록 미혼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
2024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양육·일가정 양립
제4차(2021-2025)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서는 우리 사회 저출산의 주요 원인으로 고용·교육·주거 문제와 함께, 일가정 양립이 어려운 문화 및 돌봄의 공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최근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실제 가사노동과 돌봄 수행에서 성별 격차는 여전히 상당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연구는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청년기를 중심으로」의 부문으로서 ‘양육·일가정 양립’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분석을 통해 정부의 저출산 대응 정책에 대한 통계적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
2024
기후변화대응 평가 지표에 관한 국제 동향: 국제기구 중심
기후변화의 경제·사회·정치·환경 등 여러 분야에 걸친 광범위한 영향으로 국가의 기후변화대응 수준은 새로운 글로벌 목표 수립의 이정표이자, 국가의 경제성장률 및 신인도 전망 등을 위한 분석에 사용되고 있고, 이와 관련된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통계·지표는 다양한 협력 주체에 의해 작성, 발표되고 있으며, 최근 유엔유럽경제위원회에서는 ‘국가 기후 목표 달성에 국가통계기관의 역할에 대한 지침’도 마련된 바 있다. 이에, 통계정책 차원에서 국가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한 국제적 이행점검 기준에 맞는 국가 기후변화 통계·지표의 전략적 운영안 마련에 필요한 다각적 측면의 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경험에 기반하여 산재한 기후변화 통계·지표의 통합구축·운영안을 제안하고, 관련된 기초자료 작성 과정에 필요한 실무적 고려 사항 제시와 함께 통계정책 차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통계청 국가통계연구원
2024
기후변화가 한국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1999년 6월부터 2024년 2월까지의 일별 기온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의 노동시장에 대한 이상기온(이상고온 및 이상저온)의 영향을 패널 국소투영법(panel local projection)을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계절별로 이상기온이 이질적 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중점을 두어 지역별 및 산업별 노동 시장에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상저온은 전반적으로 고용률과 실업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이상고온이 노동 시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은행
2025
국외 보건복지 연구자료
The Role of Public Employment Services in Promoting an Inclusive Nordic Common Labour Market
This report explores how reforms of Public Employment Services (PES) and active labour market policy (ALMP) systems in the Nordic countries (Denmark, Finland, Iceland, Norway and Sweden) contribute to the common Nordic labour market. The report examines recent, ongoing and planned PES reforms and modernisation processes, the increased deployment of digital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solutions, and co-operation practices between Nordic PES.
OECD
2025
Constructing Scenarios for the Future of Teaching in Wales
The New Professionalism and the Future of Teaching project has devised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allows stakeholders in education to construct a shared vision on what the teaching profession could look like in the future. This study in Wales seeks to anticipate and increase deeper, structured thinking about medium- and long-term scenarios for teacher professionalism and empowerment.
OECD
2025
The Care Dividend: Why and How Countries Should Invest in Long-Term Care
Long-term care often falls by the wayside in national policy dialogues. In some countries cultural norms compel families to look after older people at home. Some pundits may look at rising health care costs and argue that the public sector cannot shoulder more care responsibilities by expanding access to long-term care. Public long-term care systems are best placed to meet the needs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an families. Yet in most countries, chronic underinvestment has left formal long-term care systems bereft of the resources needed to meet existing needs, let alone those of the future.
European Observatory
2025
Key figures on the EU in the world – 2025 edition
This publication provides a statistical portrait of the European Union in relation to other parts of the world. It presents a broad range of indicators on the EU and on non-EU countries, and is structured into 3 chapters: - people and society - economy and trade -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Eurostat
2025
Statistical Yearbook for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2024
The Statistical Yearbook for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of ECLAC presents a set of basic statistics on the economic, sociodemographic and environmental situation of the region during a specific time period. This edition of the Yearbook includes information available up to mid-December 2024.
UN
2025
Global Flagship Programme on Building Social Protection Floors for All: 2024 Report
Launched in 2016, the ILO’s Global Flagship Programme on Building Social Protection Floors for All (SPF Flagship Programme) supports ILO member States in developing sustainable social protection systems, including floors, and contributing to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on social protection (in particular targets 1.3 and 3.8), through a coherent structure to mobilize resources and achieve impact.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2025
Qualitative Research in Medicine & Healthcare : Volume 8, Issue 3
1. Qualitative research is about listening and growing Warren Bareiss 2. “Constantly justifying my existence”: Lower-income, higher-weight Canadian adults’ stigma coping mechanisms Lee Turner, Andrea E. Bombak 3. “But when I come home…”: How patients with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account for their absent pain during naturally occurring clinical consultations Trine C.B. Andersen, Olaug S. Lian 4. Obstetric care under the military health system: An analysis of active-duty women’s and female spouses’ online discussions Amanda M. Rebhi
ScienceDirect
2025
The Journal of Aging Research & Lifestyle : Volume 14
1. Regular caffeine consumption & subjective sleep quality: A systematic review Duc Minh Phan, My Yen Lam, Minh Nguyet Trang 2. Adherence and aerobic exercise intensity in live online exercise sessions for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sights from the Japan-Multimodal Intervention Trial for the Prevention of Dementia Taiki Sugimoto, Kazuaki Uchida, Yoko Yokoyama, Ayaka Onoyama, ... Takashi Sakurai 3. Contribution of physical activity to intrinsic capacity differs in USA, UK, Europe and China Z Huang, ETC Lai, J Woo 4. Incremental predictive value of intrinsic capacit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risk prediction of incident disability Ruby Yu, Grace Leung, Derek Lai, Lok-yan Tam, ... Jean Woo
ScienceDirect
2025
통계자료
2024 교육통계연보
교육통계연보는 교육통계사업 산출물 중 가장 대표적인 성격을 띤 통계자료집으로서, 학교, 교원, 학생등에 대한 교육통계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통계정보는 우리 교육 현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교육정책 수립과 학술연구 활동 등 교육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024
2023 주요수술통계연보
안녕하세요.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사업실 통계관리부입니다. '2023 주요수술통계연보'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2023 주요수술통계연보'에서는 국민이 관심을 가질만한 주요수술*에 대한 성별, 연령별, 환자 거주지별, 의료기관소재지별, 진료월별, 의료기관시도별 환자주소지별 수술현황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OECD 통계제출 수술(일부 시술 포함) 등 34개 ○ 주요 수록내용 1. 연령별 성별 수술 현황 2. 시도별 의료기관종별 수술 현황 3. 수진월별 수술 현황 4. 의료기관시도별 수술 현황 5. 주요 수술통계 지표 6. 다빈도 수술질환별 순위 20위 7. 외래 수술 현황 8. 복강경 수술 현황 [부록] 주요수술통계연보 해설서
국민건강보험공단
2024
Revenue Statistics 2024: Health Taxes in OECD Countries
Data on government sector receipts, and on taxes in particular, are basic inputs to most structural economic descriptions and economic analyses, and they are increasingly used in economic comparisons. This annual publication gives a conceptual framework to define which government receipts should be regarded as taxes. It presents a unique set of detailed and internationally comparable tax data in a common format for all OECD countries from 1965 onwards. This year’s edition includes a special feature on health taxes in OECD countries.
OECD
2024
보도자료
2023년 「장애인기업실태조사」 결과 발표
2023년 「장애인기업실태조사」 결과 발표 - 장애인기업 수는 17.4만개, 전체 종사자 수는 57.8만명, 전년 대비 기업수 5.9% 증가, 종사자수 6.1% 증가 - 매출액은 69조 7천억원, 영업이익은 6조 5천억원, 전년 대비 매출액 7.3% 감소, 영업이익 14.3% 감소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기부)는 30일(일) 「2023년 기준 장애인기업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본 조사는 장애인기업촉진법 제7조(실태조사)에 따라 장애인의 창업 및 활동 현황을 조사 하여 장애인 정책을 효율적으로 수립 시행하기 위해서 실시된다. * 2007년 부터 2022년까지 격년 단위 조사, 2023년부터 매년 조사
중소벤처기업부
2025.03.31
지역필수의사제 시범사업 실시 4개 지방자치단체 선정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4월 1일(화) 올해 7월부터 시행하는 「지역필수의사제 운영지원 시범사업」을 수행할 4개 지방자치단체를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지역필수의사제 운영지원 시범사업」은 의료개혁 과제 중 하나로 의사가 종합병원급 이상 지역의료기관에서 필수과목*을 진료하며 장기간 근무할 수 있도록 지역근무수당과 정주여건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신경과, 신경외과 보건복지부는 지난 2월 11일부터 3월 7일까지 시범사업 참여 지방자치단체를 공모한 결과, 12개 지역에서 사업 참여를 신청하였다.
보건복지부
2025.04.01
식의약 공공데이터, 창업과 일자리 창출에 활용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고 식의약 데이터를 활용한 민간 창업 및 일자리 창출에 도움을 주고자 ‘2025년 식의약 공공데이터 분석·활용 경진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6회째를 맞는 이번 대회는 식의약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아이디어 기획과 제품‧서비스 개발 촉진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공모 분야는 아이디어 기획과 앱·웹 서비스 개발 2개 분야이다. * 건강기능식품 품목정보, 의약품 낱알식별 정보, 의료기기 품목정보 등
식품의약품안전처
2025.04.01
보건복지부-서울시, 병원-스타트업 연계하여 의료데이터 활용 촉진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는 4월 2일(수) 서울의 바이오 스타트업이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의료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동연구 프로젝트’를 공고한다. *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지원사업(진료 목적의 의료데이터를 의료 연구와 기술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기반, 전담인력, 거버넌스 등 조성)에 참여하는 43개 병원 지난해 처음으로 시작한 공동연구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은 연구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과제에 맞게 가공하여 참여기업에 제공한다. 참여 기업은 이러한 지원을 바탕으로 연구개발을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 프로젝트를 통해 고위험 환자의 악화를 미리 예측하고 관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보건복지부
2025.04.01
국립대병원, 보건의료 R&D 중추로 육성하여 의료의 지역완결성 높인다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은 4월 3일(목) “지역의료 연구역량 강화사업”에 참여할 지역 국립대병원을 선정하기 위한 사업 계획서를 공고하였다. 보건복지부는 ’23년 10월 「필수의료 혁신전략」을 통해 국립대병원을 지역의 필수의료 중추 기관으로 육성하는 정책 방향을 발표한 바 있다. 이후, 국립대병원의 교육·연구·임상 기능의 균형잡힌 발전을 위해 ▲거점 국립의대 전임교원 1천 명 증원 ▲권역 책임의료기관 최종치료 역량 강화(인프라 첨단화, ’25년. 812억 원) ▲필수의료 혁신적 R&D(한국형 ARPA-H 프로젝트) 등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지역 국립대병원의 우수인력 확보난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수도권 대형병원 대비 열악한 연구인프라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이에, 지역 국립대병원의 필수의료 교육·임상과 연구 기능의 선순환 발전 구조를 확립하고 국립대병원 중심의 지역 보건의료 연구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지역의료연구역량 강화사업’ 을 착수한다.
보건복지부
2025.04.03
도서관 신착자료
Contested welfare states: Welfare Attitudes in Europe and Beyond
The welfare state is a trademark of the European social model. An extensive set of social and institutional actors provides protection against common risks, offering economic support in periods of hardship and ensuring access to care and services. Welfare policies define a set of social rights and address common vulnerabilities to protect citizens from market uncertainties. But over recent decades, European welfare states have undergone profound restructuring and recalibr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2
수치해석과 시뮬레이션: stata 프로그래밍
1. Mata 제1장 시작하기 제2장 대화 방식 제3장 스칼라, 벡터, 행렬 제4장 연산자 제5장 일괄처리 방식 제6장 조건문과 순환문 제7장 함수 제8장 Stata와 연결하는 함수 2. 수치해석 제9장 오차 제10장 선형연립방정식의 해 구하기 제11장 보간법 제12장 근 찾기 제13장 최적화 제14장 수치 미분과 수치 적분 3. 시뮬레이션 제15장 난수 발생 제16장 몬테칼로 시뮬레이션 제17장 재표집 방법
그린
2024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사회정책동
전화 044-287-8004 팩스 044-287-8056
Copyright ©by 2024 KIHASA. All rights reserved.
메일 수신을 원하지 않으시면 메일 수신거부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