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자도서관

정보서비스

  1. 메인
  2. 정보서비스
  3. 뉴스레터

뉴스레터

2025-05-12

Discover Online(보건복지 디지털 정책자료) 2025. 5. 12.

2025-17호 2025. 5. 12.
KIHASA 발간자료
2024년도 가족과 출산조사
전반적으로 임신과 출산 지표는 2021년보다 악화하였다. 평균 임신 횟수, 임신 결과로써의 평균 출생 횟수, 실제 평균 출생아수, 가치의 측면인 이상자녀수 모두 2021년에 비해 하락하였다. 인식의 수준에서 결혼 필요성에 동의하는 비율은 눈에 띄게 증가하였지만, 자녀 필요성에 동의하는 비율은 아주 미미하게 증가했을 뿐이다. 성 역할 인식이 과거보다 더 평등하게 개선되었지만, 사회 전반에서 남녀가 평등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성보다 여성이 크게 낮았다. 인구학적으로 출산 결정의 메커니즘을 고려하면, 어떤 정책이 출산 행동으로 이어지기까지는 매우 먼 인과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정부의 저출산 대응 정책은 주로 출산가구에 집중해왔다. 그 이유는 더 빠른 정책 성과를 기대했기 때문이다. 이제 정부는 시계를 넓혀 청년들이 성인으로 사회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경제적 기반을 강화하는 정책을 더 적극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4.12.31
초기 성인기의 부모-자녀 관계와 사회계층적 차이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자녀와 이들에 대한 부모의 지원, 지원에 대한 인식, 부모 자녀 관계에 대한 가치관 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부모의 역할 범위가 확장되고 자녀의 초기 성인기로까지 부모의 역할이 확장된 것을 확인하였다. 부모의 계층적 지위에 따라 지원 수준이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도 중요한 발견이다. 계층적 지위가 높은 가정일수록 부모와 자녀 간의 정서적 연대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기반으로 경제적 지원뿐만 아니라 정서적 지원과 조언 등의 지원 등으로 지원의 범위를 확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4.12.31
일본의 인구감소 대응 정책 사례 연구
이 연구는 인구감소를 먼저 경험한 일본의 인구감소 대응 정책 사례를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한국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일본은 육아지원정책과 지방창생정책을 중심으로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연계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외국인 고도 인재 유치, 지방 이주지원, 빈집 문제 대응, 쇼핑 난민 대책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정책은 고령화와 인구감소라는 공통된 문제를 겪는 한국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연구진은 고향사랑기부제도의 개선, 외국 인력에 대한 지역 인지도 향상 노력, 민관 협력과 통합적 접근, 쇼핑 난민 지원 체계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4.12.31
행복 및 삶의 질 측정과 정책 활용성 제고 방안 연구
이 연구는 국민의 행복과 다차원적인 영역을 포괄하는 삶의 질을 측정한 결과를 사회정책 현장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고 정책 활용성을 제안하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4.12.31
국내 보건복지 연구자료
2025년 사회보장급여 공통업무 안내
총괄 공통업무 안내 Ⅰ 사회보장급여 공통업무 안내 개요 Ⅱ 사회보장급여 업무처리 절차 Ⅲ 주요 사업별 제도 요약 Ⅳ 주요 사업별 급여·서비스 기준 Ⅴ 주요 사업별 제도 요약
보건복지부
2025
저출생 정책 효과성 분석 및 과제 발굴 연구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제2절 연구내용 5 제3절 연구방법 6 제2장 저출생의 원인 구조 진단 9 제1절 합계출산율 요인분해(Decomposition) 11 제2절 초저출현상의 원인 구조 16 제3장 보건복지 부문 저출생 대책 효과성 진단 31 제1절 보건복지부문 현황 분석 33 제2절 저출생 대책 효과성 진단(선행연구 고찰 기반) 59
보건복지부,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2025
2025년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 사업안내
Part1 공통 Ⅰ. 사업 개요 57 1. 추진 배경 58 2. 사업 목적 58 3. 사업 근거 58 4. 주요 용어 59 5. 운영 모형 60 6. 추진체계 및 역할 62 Ⅱ. 대상자 선정 65 1. 신청 및 선정절차 66 2. 신청의 조사 70 3. 서비스심의위원회 구성 77 4. 대상자 선정 및 결정통지 83 5. 이의 및 변경신청 85 6. 수급자격 유효기간 및 관리 89
보건복지부
2025
주택연금의 노후소득보장 역할 강화를 위한 제언
안정적 노후생활소득과 주거안정을 확보할 수 있는 주택연금의 가입을 확대하고, 지속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① 가입 대상 주택가격 요건의 완화, ② 주택가격 변동을 반영한 월수령액 옵션의 부여, ③ 한국주택금융공사와 가입자 간 정보 비대칭성 완화, ④ 매각뿐만 아니라 주택 임대소득을 통한 보증채무 이행 방식의 다양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회입법조사처
2025
홍콩의 경제·사회 변화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2019년 홍콩에서 「범죄인 인도 법안(일명 송환법)」을 둘러싸고 발생한 대규모 시위와 이에 대한 홍콩 및 중국 정부의 강경 대응은 국제사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한국의 경우 2017년 사드 배치 문제를 둘러싸고 발생한 외교적 마찰로 인해 한국인의 중국에 대한 인식이 크게 악화했는데, 2019년 홍콩 사태는 이러한 인식 악화를 한층 심화시켰다. 다른 나라 및 지역에서도 홍콩 사태가 해당 국가(지역)의 대중국 인식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 정황이 발견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5
저출생 시대의 여성노동시장 특징 및 정책과제
○인구 증가율을 뛰어넘는 노동시장 참가율로 인해 여성 취업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30대 여성의 증가가 고용률 변화를 추동하고 있음. -통상 우리나라 30대 여성은 경력단절을 겪는 주된 연령층으로 거론되며 여성노동시장의 전통적 이슈로 오랫동안 거론되어 왔음. 그러나 코로나19 이후인 2020년부터는 여성 고용률의 침체를 벗어나 기존 추세를 넘어서는 고용률 증가가 지속되고 있고, 다양한 산업으로 확대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이러한 증가에는 저출생 영향이 크게 작용하고 있어, 이러한 변화가 장기적 추세로 지속될 수 있을지 면밀한 검토와 검증이 필요함. ○최근 독일은 여성 고용률과 출산율이 동반 상승한 국가로 주목을 받고 있음. 이에 여성의 고용률 증가를 위한 노동시장 정책과 일?가정 양립이 가능하도록 한 원인을 검토하여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확인하고자 함.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5.01.31
입원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입원진료비 포괄적 개편방안
○ 현행 입원서비스 보상체계 검토 ○ 주요국 입원서비스 보상체계 검토 ○ 입원서비스 보상체계 기본현황 분석 ○ 입원서비스 행위분류체계 포괄모형 개발 - 입원서비스 포괄적 개편방안 도출 - 입원료 보상체계 개편 시뮬레이션 - 입원료 보상체계 개편 로드맵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5
2025 글로벌 바이오헬스산업 시장규모(2019~2030)
<목차> Ⅰ. 바이오헬스산업 총괄 1. 바이오헬스산업 시장규모 2. 바이오헬스산업 국가별 시장규모(상위 20개국) 3. 바이오헬스산업 대륙권별 시장규모 4. 바이오헬스산업 경제권별 시장규모 5. 바이오헬스제조산업 국가별 시장규모(상위 20개국) 6. 바이오헬스제조산업 대륙권별 시장규모 7. 바이오헬스제조산업 경제권별 시장규모 Ⅱ. 제약산업 1. 제약산업 국가별 시장규모(상위 20개국) 2. 제약산업 대륙권별 시장규모 3. 제약산업 경제권별 시장규모 Ⅲ. 의료기기산업 1. 의료기기산업 국가별 시장규모(상위 20개국) 2. 의료기기산업 대륙권별 시장규모 3. 의료기기산업 경제권별 시장규모 Ⅳ. 화장품산업 1. 화장품산업 국가별 시장규모(상위 20개국) 2. 화장품산업 대륙권별 시장규모 3. 화장품산업 경제권별 시장규모 Ⅴ. 의료서비스산업 1. 의료서비스산업 국가별 시장규모(상위 20개국) 2. 의료서비스산업 대륙권별 시장규모 3. 의료서비스산업 경제권별 시장규모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5
건강보험 지출 증가 요인과 시사점
보험료 인상 및 국고지원 확대를 통한 건강보험 재정 관리가 점차 한계에 직면하고 있어 지출 효율화가 필요하다. 건강보험 진료비 지출 증가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격 상승의 영향이 컸으며, 특히 의원급 의료기관(‘동네 병원’)을 중심으로 의료서비스 이용 빈도보다 가격 상승이 전체 의료비 지출 증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원급 의료기관이 일차의료 ‘주치의’ 역할을 보다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현행 행위별 수가제 중심의 지불제도를 보완하고 지출 평가체계를 공식화하여 건강보험 지출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KDI
2025
지역노동시장 양극화와 일자리 정책과제
2023년 발간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년간 주요 회원국의 대도시 인구 집중이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수도권 집중과 지방의 쇠퇴는 가장 중요한 현안 중 하나가 되었다. 수도권 인구 비중은 2023년 절반을 넘어섰는데, OECD 회원국 중 수도권 인구 비중이 2위인 일본이 약 35%라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월등히 많다. 수도권과 비수도권간 일자ㅑ리의 양적, 질적 격차도 점점 확대되어 아래 그림과 같이 청년 고용률 갭과 상대임금격차가 2010년대 중·후반 이루 두 자릿수로 벌어졌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를 비교하는 접근은 지역일자리 양극화 현상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각 지역이 지닌 특성을 지나치게 평균화한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이런 배경하에서 이 연구는 지역 간 일자리의 양적·질적 변화를 보다 세분화된 지역 수준에서 분석함으로써 지역일자리 정책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일자리 양극화가 심화하는 요인을 사람과 산업, 장소 등 세 가지로 구분하여 각 요인이 각각 상이한 지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경제학, 지리학, 지역과학 등 여러 분야의 이론 연구와 실증 연구를 검토하는 한편, 지역별고용조사와 한국노동패널조사, 고용보험DB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노동시장의 동태적 변화를 비교분석한다. 분석 방법론 측면에서도 지역일자리 불평등 수준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때 공간패널모형 등을 활용하여 지역 단위 간 공간적 상호의존성을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한국고용정보원
2025
국외 보건복지 연구자료
Promoting Active Ageing in Southeast Asia
Ageing will be very fast in Southeast Asia and most ASEAN countries have a very large share of informal employment. Promoting active ageing aims to ensure that older people can age healthily and independently and avoid feeling insecure, in particular in terms of income. This could be achieved by putting into action policies that foster the well-being of older people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the labour market and their engagement in various aspects of life, such as volunteering.
OECD
2025
OECD Survey on Social and Emotional Skills 2023 Technical Report
The OECD’s Survey on Social and Emotional Skills (SSES) 2023 represents the largest global initiative to gather comparable data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and emotional skills among 10- and 15-year-old students. In the 2023 cycle of SSES, 16 sites implemented an assessment of students’ social and emotional skills and collected contextual information from students, teachers, school principals, and, optionally, parents using standardised, uniform procedures that ensure the results are comparable and meaningful.
OECD
2025
Human Development Report 2025: A Matter of Choice: People and Possibilities in the Age of AI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broken into a dizzying gallop. While AI feats grab headlines, they privilege technology in a make-believe vacuum, obscuring what really matters: people’s choices. The choices that people have and can realize, within ever expanding freedoms, are essential to human development, whose goal is for people to live lives they value and have reason to value. A world with AI is flush with choices the exercise of which is both a matter of human development and a means to advance it. Going forward, development depends less on what AI can do—not on how human-like it is perceived to be—and more on mobilizing people’s imaginations to reshape economies and societies to make the most of it. Instead of trying vainly to predict what will happen, this year’s Human Development Report asks what choices can be made so that new development pathways for all countries dot the horizon, helping everyone have a shot at thriving in a world with AI.
UN
2025
Digitalisation in Europe – 2025 edition
This publication provides easy to understand statistics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way people and businesses use digital technologies. It combines short texts presenting the main findings with interactive visualisations that allow you to compare EU countries.
Eurostat
2025
Europe and Central Asia Economic Update, Spring 2025: Accelerating Growth through Entrepreneurship, Technology Adoption, and Innovation
Business dynamism and economic growth in Europe and Central Asia have weakened since the late 2000s, with productivity growth driven largely by resource reallocation between firms and sectors rather than innovation. To move up the value chain, countries need to facilitate technology adoption, stronger domestic competition, and firm-level innovation to build a more dynamic private sector. Governments should move beyond broad support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focus on enabling the most productive firms to expand and compete globally.
World Bank
2025
World report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equity
Unacceptable gaps persist in how long people can expect to live healthy lives depending on where they live, the communities they belong to, their education level, their race and ethnicity, their income and wealth, their gender and whether they have a disability.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equity - that is, the conditions in which people are born, grow, live, work, and age, and people’s access to power, money, and resources—have a powerful influence on these avoidable and unjust health gaps.
WHO
2025
Progression pathway for governance of mixed health systems
The Progression Pathway for Governance of Mixed Health Systems aims to guide countries in governing mixed health systems to achieve universal health coverage (UHC). While the private sector's role in health offers benefits, it also poses challenges to equity, access, and financial sustainability if not properly governed. WHA Resolution 63.27 urges governments to gather strategic intelligence to assess the private sector's impact, identify engagement strategies, and develop regulatory frameworks for universal access and people-centered primary care. A collaborative "steering" approach to governance is recommended.
WHO
2025
보도자료
어르신이 역량을 발휘하는 ‘고령자친화기업’ 2025년 1분기 14개 신규 선정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4월 30일(수) 2025년 1분기 고령자친화기업을 공모하여 14개 기업을 신규 선정했다고 밝혔다. 고령자친화기업이란 다수의 고령자(60세 이상)를 근로자로 고용하는 것을 장려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지정한 기업이다. 고령자친화기업은 기업의 공모 신청 및 보건복지부의 심사·선정 등의 과정을 거쳐 지정되며, 보건복지부는 2011년부터 2025년 1분기까지 총 440개소의 고령자친화기업을 지정하였다.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노인일자리법」)이 제정(24.11월)됨에 따라 고령자친화기업은 ①「노인 채용기업」과 ②「노인친화기업·기관」으로 구분된다.
보건복지부
2025.04.30
사회서비스산업 현황 파악 위한 사회서비스산업 특수분류 개정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통계청(청장 이형일)은 4월 30일(수), 사회서비스산업의 현황 파악을 위한 사회서비스산업 특수분류를 개정하였다고 밝혔다. 사회서비스산업 특수분류란 사회서비스에 속하는 산업을 한국표준산업분류에 연계하여 재구성한 산업별 특수분류 중 하나이다. 통계청과 각 정부 부처에서는 중요 산업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 해당하는 항목을 발췌 및 재분류하여 해당 산업에 따라 재구성한 산업별 특수분류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사회서비스산업, 로봇산업, 스포츠산업 등 총 26개의 산업별 특수분류가 있다. 사회서비스산업 특수분류는 2013년에 처음 만들어진 이후 그간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세부 분류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어 그간 사회서비스산업 특수분류를 활용하여 사회서비스 산업통계를 생산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보건복지부
2025.04.30
국립재활원, ‘4차 스마트돌봄스페이스’와 ‘목욕 스마트돌봄스페이스’ 개소식 개최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원장 강윤규)은 5월 2일(금) 국립재활원 누리관 2층에서 장애인과 노인의 일상생활 보조 및 돌봄부담 감소를 위한 ‘수요자 중심 돌봄로봇 및 서비스 실증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4차 스마트돌봄스페이스와 목욕 스마트돌봄스페이스의 개소식을 개최했다. 스마트돌봄스페이스는 돌봄로봇에 대한 현장실증을 수행하고 장애인과 노인, 돌봄자가 시범적으로 거주 체험을 할 수 있으며 돌봄로봇 전시체험장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공간이다. 이번에 개소된 4차 스마트돌봄스페이스는 돌봄로봇과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병실환경을 고려하여 구축됐다. * 사용자(장애인/노인) 데이터 수집을 자동화하여 혈압, 체온, 혈당, 수액 투여 현황 등을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는 서버/클라우드에 저장되도록 구축 병실환경과 유사하게 간호사 호출(너스콜) 시스템을 설치하였으며 사용자(장애인/노인)와 돌봄자에게 필요한 낙상 및 자세변환 감지가 가능한 모니터링 센서, 체중 모니터링이 가능한 전동침대, 별도의 슬링이나 레일 등의 제한 없이 자유로운
보건복지부
2025.05.02
저소득가정 아동·청소년 대상 안과질환 수술비 지원 업무협약(MOU)체결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삼성디스플레이(대표이사 이청), 한국실명예방재단(이사장 강윤구)은 5월 2일(금) 15시, 경기 용인시 소재 삼성디스플레이 기흥캠퍼스에서‘저소득가정 아동·청소년 대상 안과질환 수술비 지원사업(무지개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삼성디스플레이에서 아동·청소년들이 성장기에 겪을 수 있는 사시, 시력이상 등의 안과질환 수술비를 지원하여 실명예방 및 미래의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 이번 협약은 ㈜삼성디스플레이에서 1995년부터 30년간 수도권 안과전문병원을 통해 지원하였던 무지개(무료지원개안) 사업 30주년을 맞아 전국 안과병원으로 후원 확대를 제안하며 시작됐다. 무지개사업을 통해 저소득가정의 아동·청소년들에게 수술전 검사비, 수술비 등 의료비와 눈 상황에 따른 안경비 지원을 통해 눈질환을 적기에 치료 및 관리함으로써 시각장애를 예방하고 가계 경제적 부담 감소 등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건복지부
2025.05.02
100개 시군구가 함께,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기반을 구축한다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2025년 제1차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이하 시범사업)」공모를 통해 참여 지방자치단체 53개를 선정했다. 동 시범사업은「돌봄통합지원법」전국 시행(’26.3.27.)에 앞서, 통합지원 전담조직 운영, 종합판정 적용, 전문기관 및 서비스 제공기관과의 협업체계 구축 등을 우선 적용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체계를 선제적으로 경험하며 필요한 사항을 체계적으로 준비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보건복지부는 2025년 4월 11일부터 24일까지 공모를 진행해 시범사업에 참여할 지방자치단체를 모집하였으며, 사업추진 의지와 역량, 사업내용의 타당성, 지역 특성, 광역-기초 협업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53개 시군구를 시범사업 참여 지방자치단체로 최종 선정했다. 이에 따라, 기존 47개 시군구를 포함하여 총 100개 시군구가 시범사업에 참여하게 된다.
보건복지부
2025.05.02
정부, 의약품 분야 미 무역확장법 제232조 국가안보조사 의견서 제출
정부는 미국 무역확장법 제232조에 따른 수입 의약품 안보영향 조사에 대한 정부의견서를 5월 4일(미국 현지시간) 제출했다. 미국 상무부는 4월 1일(미국 현지시간) 美 무역확장법 제232조에 의거해 의약품 및 관련 성분 수입에 대한 국가안보조사에 착수한다고 발표했으며, 조사절차에 따라 4.16~5.7까지 서면의견서를 접수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의약품 분야 무역확장법 제232조 국가안보조사에 관한 정부 의견서를 마련하여 제출했다. 정부는 의견서를 통해 한국산 의약품 수입이 미국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공급망 안정과 환자 접근성 향상에 기여하는 만큼 관세조치는 불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미간 의약품 무역은 경제·보건 협력의 상징 한미간 의약품 무역은 상호 신뢰에 기반한 전략적 협력으로, 굳건한 한미동맹에 기여해 왔음. 한미간 제약산업·의료시장 규모 차이에도 불구 미국은 한국 내 주요 의약품 수입국으로, 이는 양국 간 긴밀한 경제·보건 협력을 보여줌.
보건복지부
2025.05.06
혁신과 협업,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 「바이오 코리아(BIO KOREA) 2025」 개최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은 5월 7일(수)부터 9일(금)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COEX) C홀에서 「바이오 코리아(BIO KOREA) 2025」가 개최된다고 밝혔다. 2006년 첫 행사에서 20여 개국 344개 기업, 참관객 1만 5천여 명으로 시작한 바이오코리아는 올해 20번째를 맞이하며 61개국 753개 기업 (4.30 사전등록 기준), 참관객 3만여 명으로 그 규모가 2배 이상 확대되었고, 우리나라 바이오헬스 산업의 기술 수준을 세계에 알리며, 국제거래와 교류 증진을 통해 우리 바이오헬스 산업의 위상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면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바이오헬스 국제 컨벤션으로서 입지를 다져가고 있다. 이와 함께 2006년 당시 우리나라 제약바이오기업의 기술수출액은 7건, 3,779만 달러에 불과했으나, 2024년에는 17건, 62억 달러로 160배 이상 증가하였고, 의약품 수출은 93억 달러로 역대 최대를 달성하는 등 우리나라 국가경제의 중추적 역할로 발돋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2025.05.07
혁신과 협업,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 「바이오 코리아(BIO KOREA) 2025」 개최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은 5월 7일(수)부터 9일(금)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COEX) C홀에서 「바이오 코리아(BIO KOREA) 2025」가 개최된다고 밝혔다. 2006년 첫 행사에서 20여 개국 344개 기업, 참관객 1만 5천여 명으로 시작한 바이오코리아는 올해 20번째를 맞이하며 61개국 753개 기업 (4.30 사전등록 기준), 참관객 3만여 명으로 그 규모가 2배 이상 확대되었고, 우리나라 바이오헬스 산업의 기술 수준을 세계에 알리며, 국제거래와 교류 증진을 통해 우리 바이오헬스 산업의 위상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면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바이오헬스 국제 컨벤션으로서 입지를 다져가고 있다. 이와 함께 2006년 당시 우리나라 제약바이오기업의 기술수출액은 7건, 3,779만 달러에 불과했으나, 2024년에는 17건, 62억 달러로 160배 이상 증가하였고, 의약품 수출은 93억 달러로 역대 최대를 달성하는 등 우리나라 국가경제의 중추적 역할로 발돋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2025.05.07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기관 전문성 높인다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5월 7일(수) 마약류 중독자 치료보호기관 종사자 역량 강화를 위해 「마약류 중독치료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정」개발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의사, 간호사, 정신건강전문요원 등 치료보호기관의 종사자에게 필요한 전문성과 실무역량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것으로, 공개모집 절차를 거쳐 중독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사)중독포럼*과 위탁계약을 체결하여 교육과정 개발을 추진하게 됐다. * 중독 분야 연구 및 실무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로 구성된 법인으로, 중독 예방 홍보·교육·출판사업, 중독 치료 재활 지원사업, 중독 폐해 조사 및 연구 사업 등 실시
보건복지부
2025.05.07
국립재활원, ‘2025 돌봄로봇 정책 심포지엄’ 개최
국립재활원(원장 강윤규)는 5월 29일(목)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코엑스 컨퍼런스룸(남) 307A호에서 돌봄로봇 정책 현황과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하기 위한 ‘돌봄로봇 정책 심포지엄(학술토론회)’를 개최한다. 우리나라는 이미 2024년에 전체 인구의 20%가 고령인구인 초고령사회로 진입하였다.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돌봄 서비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로봇기술을 활용한 돌봄 서비스의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돌봄로봇은 돌봄자와 돌봄 받는자 모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이번 학술토론회는 3개 세션과 패널 토의로 구성되었으며, 돌봄로봇 연구현황과 현장에서 해야 할 역할, 돌봄로봇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정책 방향을 연계하여 돌봄 정책을 포함한 돌봄로봇 관련 전문가들의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2025.05.08
지역 의료공백 최소화를 위한 현장 소통
보건복지부 정윤순 보건의료정책실장은 5월 8일(목) 오전 11시 충청남도 홍성의료원을 방문하여, 최근 준공된 시설*을 둘러보고,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 인공신장실 30병상, 호스피스 10병상, 정형외과 및 외과 등 외래진료 시설 개선 등 ** (충남도) 보건복지국장, (홍성의료원) 원장, 진료부장, 관리부장, 간호과장, (충남권역외상센터) 센터장, 외상중환자실장 등 홍성의료원(원장 김건식)은 1983년에 개원하여 지역응급의료센터 및 소아청소년과·산부인과 등 21개 진료과를 운영하며, 충남 홍성·청양·예산·보령 등 4개 지역주민의 공공의료를 담당해 오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작년 12월 지방의료원의 경영성과를 평가하고, 운영전반을 지원하기 위해‘2024년도 지역거점공공병원 운영평가’결과를 발표했다.
보건복지부
2025.05.09
도서관 신착자료
젠더와 모빌리티: 비판적 입문
젠더와 글로벌 모빌리티에 대한 이 책을 쓰기 시작할 때부터 우리는 항상 우리가 일차적으로 응답할 대상이 이동 중인 사람들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었다. 우리의 목표는 충분히 광범위한 페미니즘 연구의 이론적 시각들과 실천들을 제공하여 젠더와 글로벌, 그리고 모빌리티가 어떻게 서로 교차하며 서로를 공동-구성해가는지를 이해하고 그에 대한 통찰을 얻는 데 있었다. 이 책을 쓰기 위해 자료를 모으는 과정에서 우리는 여정에 오른 그 사람들을 어떻게 책 속에서, 그리고 (되도록 마음에 와 닿게) 독자들의 삶 속으로 재현해내고, 그야말로 재-창조해낼지가 저자로서의 우리 책임이라는 것을 여실히 의식해왔다.
부산대학교 출판문화원
2021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사회정책동
전화 044-287-8004 팩스 044-287-8056
Copyright ©by 2024 KIHASA. All rights reserved.
메일 수신을 원하지 않으시면 메일 수신거부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