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and policies in place for young caregivers in Japan and makes recommendations for policy in Korea. Some ten years ago, Japanese civic society and academia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issue of young carers. As a result, some Japanese cities established ordinances to support young carers. In recent years, the Japanese government has surveyed carers among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s strategy in this regard does not extend much beyond bringing young carers to public attention and identifying them early on, leaving the country unable to systematically address the problem of young carers resulting from the current family-oriented welfare system. The Japanese experience highlights the need for Korea, which has a welfare system akin to Japan’s, to analyze the root causes of the problems it has to address for its young carers.;
이 글에서는 일본의 영 케어러 현황과 대책을 살펴보고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한다. 일본에서는 10년 전부터 시민단체와 연구자가 영 케어러에 주목하기 시작해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조례 제정 등을 통해 대책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중앙정부가 전국의 중고생을 대상으로 영 케어러 현황을 조사하고 대책 수립에 나섰다. 그런데 일본 정부의 정책은 영 케어러를 홍보해 사회 인지도를 높이고 이들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제도를 확충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결국 기존의 가족 중심 복지 체제에서 비롯되는 영 케어러 문제에 구조적으로 접근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일본의 사례는 유사한 복지 체제를 가지고 있는 한국 역시 영 케어러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고찰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