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UK's policy on young carers and identifies its shortcomings. Even though UK law and academic discussion about young carers are seen as the most advanced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the number of young carers in the UK has been understated or incorrectly estimated. In response to the growing public awareness, a legal category for young caregivers was created, and allowances and other forms of financial support were instituted to help them. However, due to age, hours spent caring, and time spent in school eligibility regulations, young carers, in addition to suffering from poverty and socioeconomic disadvantage, are more likely than their peers of the same age to have problems with personal well-being and mental and physical development. The trouble that the British Young Carer Policy is having presents a point of consideration for Korean policymakers.;
이 글은 영국의 영 케어러 정책 내용을 검토한 뒤, 영국 사회에서 발견되는 정책적 맹점을 비판적 인식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영국의 영 케어러 관련 정책과 학술적 논의는 양적·질적으로 가장 선진적인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여전히 영 케어러의 규모는 부정확하고 과소 추정되고 있다. 사회적 인식이 확대됨에 따라 영 케어러를 법적으로 정의하고 이들을 위한 수당 등 지원 정책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연령이나 노동 및 교육 참여 시간을 규제함에 따라 사각지대에서 사회적·경제적 박탈과 빈곤뿐만 아니라 또래집단과 비교해 개인의 안녕, 정신·신체적 건강과 발달에 문제를 겪는 이들의 비율이 높다. 영국 영 케어러 정책의 맹점은 한국의 논의에서 고려해 야 할 쟁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