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중고령자의 근로여건 변화와 노후소득보장제도의 과제

중고령자의 근로여건 변화와 노후소득보장제도의 과제

  • 연구책임자

    윤석명

  • 발행연도

    2019

  • 페이지

    401

  •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9-09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 론 1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9
제Ⅰ부 중고령자의 근로여건 및 국민연금의 소득재분배
제2장 중고령자 노동 실태 및 이행 경로 37
제1절 개관 39
제2절 중장년층의 노동 현황 40
제3절 중장년층 노동 이행의 현황과 특징 60
제4절 중장년기 노동 이행, 가구 총소득, 공적연금 납부예외율 관계 분석 66
제5절 요약 84
제3장 노동시장과 국민연금 87
제1절 개관 89
제2절 노동시장 내 불안정 노동의 변동과 국민연금 가입 90
제3절 국민연금 가입자 현황 분석 106
제4장 국민연금 소득재분배 현황: 소득계층별 비교 117
제1절 서론 119
제2절 소득계층 구분의 통계 모형 123
제3절 국민연금 수급 부담 모형의 구축 132
제4절 소득재분배의 미시모의실험 141
제5절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153
제Ⅱ부 주요 국가들의 관련 제도 운영 현황
제5장 일본의 중고령층 고용 및 연금 등의 적용 실태 157
제1절 개관 159
제2절 일본 중고령층의 고령 고용과 점진적 퇴직 실태 160
제6장 북유럽의 중?고령층 고용 및 연금 등의 적용 실태 201
제1절 개관 203
제2절 노동력 참여와 고용의 일반적 추이 204
제3절 핀란드 209
제4절 스웨덴 218
제5절 노르웨이 226
제7장 주요국의 점진적 퇴직제도 운영 현황과 시사점 239
제1절 서론 241
제2절 점진적 퇴직제도의 취지와 재정적 차원에서 본 유형 분류 242
제3절 점진적 퇴직제도의 국제 비교 258
제Ⅲ부 중고령자를 위한 국민연금 개선 방향
제8장 노후소득보장 강화 방향: 취약계층 국민연금 보험료 지원 및 점진적 퇴직 활성화 중심으로 287
제1절 개관 289
제2절 지역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 방안 291
제3절 노후소득보장 강화 방향: 2018년 정부안 평가와 기초연금 발전 방향 중심으로 306
제4절 우리나라에 점진적 퇴직제도를 도입하는 방안 312
제5절 요약 및 결론: 취약계층 보험료 지원 중심으로 319
제9장 결론: 정책 과제들에 대한 제언 중심으로 323
제1절 개관 325
제2절 외국의 유사한 제도 운영 사례 및 현황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334
제3절 정책 과제들에 대한 제언 340
제4절 정책 과제들에 대한 제언들을 종합한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 방향 350
참고문헌 359
부 록 369
1. 중장년기 가구 총소득에 따른 노동 이행의 로짓 모형 결과 369
2. 중장년기 노동 이행에 따른 공적연금 납부예외율의 로짓 모형 결과 371
3. 60~64세 남성의 노동 이행, 가구 총소득, 공적연금 가입 유지 372
4. 일본의 고령자 고용 관련 통계 383

첨부파일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