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저출산 고령사회 정책 모니터링 및 과제
1-1-1. 임신·출산 지원 정책 모니터링 및 과제
1-1-2.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 모니터링 및 과제
1-1-3. 광역지방자치단체 저출산 대응 정책 모니터링 및 과제
1-1-4. 고령자의 일과 사회활동 정책 모니터링과 과제
1-1-5. 존엄한 삶 마무리 지원 정책 모니터링 및 과제
1-1-6. 광역지방자치단체 고령사회정책 모니터링 및 과제
1-2. 2022년 전국 일-생활 균형 실태조사
1-3. 출산전후 휴가 및 육아휴직제도 개편방안 연구
1-4. 가족형성과 사회불평등: 계층-젠더의 교차성 관점에서
1-5. 국가치매관리체계 형평성 제고를 위한 기초 연구
1-6. 저출산 현상의 거시적 이해: 시계열분석의 관점에서
1-7. 코로나19 글로벌 팬데믹 진전 시대의 한국 인구 변동 요인에 관한 연구
1-9. 인구통계 모니터링을 위한 연보 작성 시범사업
1-10. 인구정책 모니터링-평가 연구방법 개발
1-11. 저출산고령사회 정책 개발을 위한 지자체 및 민간연구기관 협동연구
2. 사회정신건강연구센터 운영: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건강증진 및 복지서비스 지원 방안
3. 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45-64세 집단의 사회적 불안
4.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Ⅸ):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사회통합도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
5. 아시아 사회보장제도 비교연구: 중앙아시아 주요국 사회보장체계
6. 보건복지통계정보 통합관리 및 운영: 데이터관리플랫폼 도입방안 마련을 중심으로
7. 사회보장 분야 사각지대 축소와 부적정 지출 관리방안 연구
8. 한국의료시스템의 혁신 성과 평가(7년차): 2022 한국 보건 의료 질 보고서
9.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 위험사회에서의 건강불평등
10. 한반도 사회격차 완화를 위한 북한의 건강 및 보건의료 지표 분석
11. 사회보장 재정 위기 감지 및 대응을 위한 분석적 기반 연구
12. 주요 복지국가의 상병수당 제도 경험 및 운영 현황 연구
13. 보건복지 분야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출처 데이터 연계, 통합, 활용 방안 연구
14. 중앙 지방 간 유사 사회보장사업의 효과성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