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영상·카드뉴스
[보사연 1분통계] 연령표준화 사망률(암)
- 작성일 2022-03-18
- 조회수 4,330
연령표준화 사망률이란 한 인구가 특정 인구(표준인구)의 연령별 구성과 같다고 가정합니다.
즉 OECD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OECD 회원 국가 간 또는 시기별 연령구조의 차이에 따라
생기는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OECD 표준 인구구조로 표준화하여 산출한 사망률 입니다.
우리나라의 암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151.8명으로 OECD 국가 중 5번째로 낮습니다.
한편, 우리나라의 남자와 여자의 암 사망률 차이는 남자가 여자의 2.3배로
터키와 함께 가장 큰 수준입니다.
연령표준화 사망률(암) 얼마나 되죠?
연령표준화 사망률이란 국가 간 또는 시기별 연령구조의 차이에 따라 생기는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OECD 표준 인구구조로 표준화하여 산출한 사망률을 의마합니다. 한 인구의 표준화 사망률은 이 인구가 특정인구(표준인구)의 연령별 구성과 같다고 가정합니다.
2019년 인구 10만 명당 암으로 인한 사망자 수를 보면 우리나라는 151.8명으로 OECD 국가 중 5번째로 낮습니다. 우리나라의 암사망률의 성별 비교를 보면 남자가 여자의 2.3배로 터키와 함께 가장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OECD 모든 회원국에서 암에 의한 남자의 사망률이 여자보다 높게 나타나도 있습니다.
일본 나고야의 암 환우 모임 '이주미회'의 암환자 생존율은 95%에 달하는데 암을 이기는 원칙은 심플했습니다.
1. 암은 낫는다고 생각한다.
2. 현미, 채식을 한다
3. 운동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