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영상·카드뉴스
[보사연 1분통계] 연령표준화 사망률(자살)
- 작성일 2022-03-25
- 조회수 2,414
2019년 기준 OECD 국가의 자살에 의한 연령표준화 사망률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인구 10만 명당 사망자수가 24.6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자 수의 연도별 추이는
2009년 이후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나, 2018년부터 다시 소폭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납니다.
우리나라는 이렇게 자살 사망률이 높은 가운데
보건당국은 자살예방 핫라인(1577-0199), 자살예방 상담전화(국번없이 1393)를 운영하며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 등을 24시간 들으며 말못할 고민에 빠진 사람들의 마음을 살펴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연령표준화 사망률(자살) 얼마나 되죠?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인구구조가 다른 집단 간의 사망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서 연령구조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한 사망률 입니다. 자살에 의한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우리나라가 인구 10만 명 당 24.6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습니다. 또한, 우리나라의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36.5명, 여성은 14.6명으로 남성이 더 높게 나타나는데 OECD 모든 회원국에서 남자의 자살 사망률이 여자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인구 10만 명 당 자살 사망자 수의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2009년 이후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다가 2018년부터 다시 소폭 증가추세로 돌아섰습니다. 매년 남성이 여성보다 2배 이상 높은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흔히 '마음의 감기'라고 일컫는 우울증은 자살로 연결되기 쉬운 질환입니다. 보건당국은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나 힘든 마음을 24시간 들을 준비가 되었습니다. (자살예방 핫라인 1577-0199,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