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기획영상·카드뉴스

인구다양성 지수를 알아보자 | 보건사회연구ON

  • 작성일 2025-07-25
  • 조회수 27

정책이슈를 1분안에 정리하는 쇼츠(shorts) 콘텐츠 입니다.


아래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를 소재로 제작하였습니다.

ㅇ연구보고서: 지역별 인구다양성 지수 산출과 활용: 이주배경 영유아의 보육서비스 접근성을 중심으로(최혜진)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663


(음성 자막)


인구다양성 지수라는 것을 들어보셨나요?

인구다양성 지수는 '특정 지역에 외국인이 몇퍼센트 산다'라고 하는 비율만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지역 안에 '얼마나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섞여 사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지표는 단순합니다.

0에 가까우면 동질적, 1에 가까우면 여러 국적이 섞여 살고 있음을 나타내죠.

그러면 최근 대한민국의 인구다양성 지수는 어떤 추이를 그리고 있을까요?

2018년에 전국 평균이 0.0527 정도였는데 2022년에는 0.0568로 상승했습니다.

이런 상승 추세는 수도권, 농어촌 모두에 해당하는 전국적인 흐름이기도 합니다.

한 가지 더 주목할 부분은 18세 미만 아동 인구만 떼어서 볼 때,

다양성의 증가세가 훨씬 더 가파르다는 것입니다.

앞으로 대한민국의 교실 풍경에서 국적 배경이 다른 아이들을

더욱 흔하게 볼 수 있겠네요!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