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사연, ‘지역보건복지 인력의 미래’를 주제로 『2025년 보건사회연구 인사이트 포럼』 개최
- 작성일 2025-07-07
- 조회수 72
보사연, ‘지역보건복지 인력의 미래’를 주제로 『2025년 보건사회연구 인사이트 포럼』 개최 - 2016년부터 이어온 『보건사회연구 콜로키움』, 올해부터 『보건사회연구 인사이트 포럼』으로 명칭 바꿔 개최 - 보사연 신영석 원장, “보사연은 콜로키움의 성과를 이은 인사이트 포럼 개최를 통해 고령화와 인구감소, 지역소멸이라는 복합적 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실행 가능한 정책 대안을 모색해갈 것” - ‘지역 보건복지 인력의 미래’를 주제로 3개 발표 및 전문가 토론 진행…『보건사회연구』 우수논문 시상식도 함께 열려 |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원장 신영석, 이하 보사연)은 7월 8일(화) 오후 1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한국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2025년 보건사회연구 인사이트 포럼』을 개최한다.
□ 이번 포럼은 1981년 창간된 보사연의 대표 학술지 『보건사회연구』의 연례 행사로, 2016년부터 2024년까지는 『보건사회연구 콜로키움』이라는 이름으로 열려왔다. 올해부터는 『보건사회연구 인사이트 포럼』으로 명칭을 바꾸고, 보다 심화된 논의와 공론화를 통해 실질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지역 보건복지 인력의 미래’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는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한국 사회가 직면한 돌봄 인력 문제를 중심으로, 보건의료·복지 분야의 현황을 진단하고 정책 방향을 모색한다.
□ 행사 1부는 보사연 배재용 연구위원이 사회를 맡아 축하 행사와 우수논문 시상을 진행한다. 주은선 『보건사회연구』 편집위원장의 개회사와 보사연 신영석 원장의 축사 순으로 진행된다.
○ 축사 후에는 우수논문 시상이 이어진다. 보건 분야에서는 ▲공공병원 예비타당성조사의 편익 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울산의료원 응급사망감소 편익 산정 사례를 중심으로(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김진환, 경상국립대학교 정백근)이 우수 논문으로 선정됐다.
○ 사회 분야에서는 ▲청년의 확장실업이 소득, 사회자본, 우울을 매개하여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경희대학교 김건식)이 우수 논문으로 선정됐다.
□ 이어지는 2부에서는 연세대학교 최영준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총 3편의 주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된다.
○ 주제 발표는 ▲지역인구 감소 시대, 지역 보건의료 인력의 과제(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윤태호 교수) ▲초고령사회의 돌봄 안전망을 위한 복지 부문 인력 정책: 현안과 과제(보사연 강혜규 선임연구위원) ▲일본의 지역소멸과 보건복지 인재 확보 대책: 그 궤적과 전망(마쓰모토대학 종합경영학부 이성한 교수)을 발표한다.
○ 이어 지정토론에는 평창군보건의료원 박건희 원장, 보사연 어유경 부연구위원, 서울연구원 윤민석 연구위원, 국토연구원 차미숙 선임연구위원이 참여해 지정 토론을 이어가며, 이후 참석자 전체가 참여하는 자유토론이 진행된다.
□ 주은선 『보건사회연구』 편집위원장은 “초고령화와 지역 인구의 위기가 심화되는 가운데, ‘돌보는 사람’의 위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여전히 부족하다. 지역 돌봄 공백 문제를 해결하려면 돌봄 제공자들이 처한 구조적 문제에 대한 세심한 이해와 접근이 필요하다. 이번 포럼을 통해 초고령화 국면에서의 지역 보건복지 인력 문제를 살펴보고, 초고령화가 가져올 돌봄 제공자의 위기를 공론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 보사연 신영석 원장은 “『보건사회연구』는 그간 우리 사회의 보건복지 문제를 학술적으로 탐구하고 정책적으로 해석해온 학술지로, 2016년부터 9회에 걸쳐 콜로키움을 통해 학계와 정책 현장을 잇는 공론의 장을 마련해 왔다”며, “올해부터는 ‘인사이트 포럼’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출발해, 고령화와 인구감소, 지역소멸이라는 복합적 변화 속에서 보건복지 인력 문제를 심도 깊게 조명하고 실행 가능한 정책 대안을 함께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붙임]『2025년 보건사회연구 인사이트 포럼』 웹 초청장
첨부파일 1. 보도자료 원문 1부.
2. 행사 자료집 1부. 끝.
첨부파일
- 첨부파일
보도자료_ 2025년 보건사회연구 인사이트 포럼_20250706(최종).pdf
- 첨부파일
자료집_2025년 보건사회연구 인사이트 포럼.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