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도자료

인공지능 시대, 사회보장의 미래를 논하다

  • 작성일 2025-09-22
  • 조회수 213

인공지능 시대, 사회보장의 미래를 논하다


- 복지부·보사연, 9월 26일 「인공지능 시대의 사회보장」 포럼 개최

- AI 기술 발전에 따른 사회보장제도의 변화 방향과 정책과제 논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원장 신영석)과 보건복지부(장관 정은경)은 2025년 9월 26일(금) 오전 10시 30분, 프레지던트 호텔(서울 중구 소재) 19층 브람스 홀에서 「인공지능 시대의 사회보장」을 주제로 AI 복지·돌봄 혁신 포럼을 개최한다.


□ 이번 포럼은 AI(인공지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인공지능 기술이 사회체제 전반에 가져올 변화를 전망하고, 사회보장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 가능성과 정책적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 이날 행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유튜브 채널(www.youtube.com/@kihasa1970)을 통해 실시간 생중계될 예정이다. 현장 참석을 희망하는 경우 사전 등록이 필요하며, 사전 등록 신청자가 많을 경우 신청이 조기 마감될 수 있다.


* 현장 참석 사전 등록 및 자료집 다운로드 링크 (※ 자료집 완성 시 첨부 예정)

https://litt.ly/aiforum09026?ref=qr.litt.ly


□ 이번 포럼은 보건복지부 이스란 제1차관의 환영사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신영석 원장의 개회사로 시작되어, ▲세션1 인공지능 시대의 사회보장 ▲세션2 인공지능 기술 적용 현황 및 방향 ▲세션3 인공지능 기술 적용을 위한 지원과 규제의 세 주제별로 학계 전문가 발표가 이뤄질 예정이다.


□세부적으로, ▲세션1에서는 「인공지능 시대의 복지국가」(김종립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기획조정팀장), 「사회보장제도와 AI의 가능성」(노법래 국립부경대학교 교수), ▲세션2에서는 「사회보장 데이터 통합관리와 활용 방향」(한상필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사회보장정보연구소장), 「디지털 휴먼서비스의 동향과 과제」(김용득 성공회대학교 교수), ▲세션3에서는 「사회복지 분야 AI 도입과 법·제도적 과제」(김예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변호사), 「사회보장 분야 인공지능 기술 적용의 순기능, 위험성 및 정책 방향」(김기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의 주제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 이어서 분야별 전문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한국사회보장정보원·중앙사회서비스원·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 주요 유관 기관 관계자, 현장 참석자가 참석하는 종합 토론이 진행된다.


□ AI 복지·돌봄 혁신 포럼은 이번 제1회 포럼을 시작으로 연말까지 다양한 주제로 개최될 예정이며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을 위한 돌봄 분야도 추후 논의할 계획이다.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신영석 원장은 “인공지능은 이미 우리 삶 속으로 깊숙이 들어와 있으며, 특히 사회보장 영역은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라며, “우리나라는 디지털 인프라와 행정데이터 체계를 잘 갖추고 있어 인공지능이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고 행정의 적시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인공지능 도입 과정에서 효율성과 위험성이 교차하는 만큼, 데이터 품질과 알고리즘의 투명성·공정성 문제를 면밀히 진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이어 신 원장은 “오늘의 논의가 우리 사회보장제도의 미래를 더욱 튼튼하게 하고, 인공지능 시대에도 인간 존엄과 사회적 권리가 보장되는 길을 여는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붙임 1] 제1회 「AI 복지·돌봄 혁신 포럼」 개요 1부.


□ 포럼 개요

○ (주제) 인공지능 시대의 사회보장

○ (일시/장소) 2025.9.26.(금) 10:30, 프레지던트 호텔(19층 브람스홀)

* 서울 중구 을지로 16(을지로 1가 188-3), 시청역 1호선 6번 출구 420m

○ (주최/주관) 주최보건복지부, 주관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세부 프로그램



[붙임 2] 제1회 「AI 복지·돌봄 혁신 포럼」 포스터 1부.




첨부파일  보도 자료 원문 1부.  끝.

첨부파일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