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보장리뷰
중국 농촌 극빈자 기초보장 정책의 역사 변천과 발전 방향 (China's Basic Social Security for Extremely Poor Rural Residents: Historical Development and Future Directions)
- 저자
왕유화
- 페이지
84-93
- 발행년월
2019. 03.
중국의 사회보장제도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농촌 극빈자 기초보장 정책은 농업합작사에서 시작해 향·진통합체제에 의한 기초보장, 국가에 의한 기초보장에 이르기까지 3단계를 거쳐 발전해 왔다. 재원 조달 방식은 농민 단체의 상호 부조에서 국고 지원으로 전환되었고, 중국 특색의 발전 경로를 보여 준다. 농촌 극빈자 기초보장 정책은 빈곤층의 의지를 존중하고,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강조하며, 기초보장 자원을 사회에 공개하고, 기초보장기관의 인프라 구축을 중요시해 왔다. 최근 중국의 농촌은 청년 인구가 도시로 유출되고,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날로 심화되며, 가족의 부양 기능이 약화되어 가족에 의한 부양 수준이 낮은 상황이다. 중앙정부 정책은 농촌 극빈자의 기대에 부응하는 기초보장체계를 운영하고, 제도 개혁을 통한 사회차여를 증진해 중국에서 날로 심각해지는 고령화에 직면해 농촌 극빈자의 기초생활을 보장하는 것이다.
- 1 독일 돌봄 인력의 현황과 정책 동향 (Current Status of Care Workers and Policy Trends in Germany)
박수지
통권 제8호
2019-03-01
5-15p
- 2 네덜란드 장기요양 개혁이 돌봄 노동에 미친 영향 (The Dutch Long-Term Care Workforce in Transition)
바바라 다 로잇
통권 제8호
2019-03-01
16-25p
- 3 일본의 개호인력 양성 및 확보 정책 추진 현황 (Policies for Training and Retaining Long-Term Care Workers in Japan)
유애정
통권 제8호
2019-03-01
26-35p
- 4 지속가능성과 노동의 관점에서 본 영국 사회서비스 정책의 최근 동향 (Current State of Social Care Policy in the UK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and Labour)
남궁준, 김근주
통권 제8호
2019-03-01
36-45p
- 6 영국의 난민 신청자를 위한 사회보장제도와 그 쟁점 (The UK's Social Security Scheme for Asylum Seekers and Its Issues)
김기태
통권 제8호
2019-03-01
61-71p
- 7 캐나다의 치매 유병률 산출 체계와 시사점 (Estimation Methods of Dementia Prevalence Used in Canada and Their Applications)
김세진
통권 제8호
2019-03-01
72-83p
- 9 독일의 최근 중증장애인 고용 동향과 시사점 (Current State of Employment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in Germany and its Implications)
남용현
통권 제8호
2019-03-01
94-104p
- 10 두 자녀 정책 이후 중국의 출생 및 사회정책 변화 (Changes in China's Birth Rate and Social Policy after the Two-Child Policy)
유멍, 최미향
통권 제8호
2019-03-01
107-113p
- 11 영국 통합 돌봄 체제의 현황과 과제 (Current State and Challanges of Integrated Care in the UK)
김경환
통권 제8호
2019-03-01
114-118p
- 12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과 WIC 프로그램의 재조명 (US Federal Government Shutdown and WIC)
김태근
통권 제8호
2019-03-01
119-125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