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포럼
정책동향 2 : 우리나라 공적연금 재정추계에 대하여
- 저자
신화연
- 페이지
-
- 발행년월
2007. 04.
우리나라에는 현재 4대 공적연금, 즉 국민연금·공무원연금·사립학교교직원연금·군인연금이 있는데, 향후 장기적인 재정전망을 예측하는 재정추계 특히,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의 재정추계를 비교 및 분석하고자 한다.
공적연금은 제도내용과 재정방식 등에서 제도별로 차별성은 있으나 가입기간 동안 일정수준의 보험료를 납부하여 은퇴 후 급여로 지출한다는 맥락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또한 공적연금의 특성상 젊었을 때 기여하는 보험료수준과 은퇴 후 급여수준 간의 재정구조가 다소 느슨하므로 재정건전성을 미리 진단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 때 적어도 개인의 근로생애기간보다 긴 장기간의 재정추계가 필수적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공적연금은 제도내용 및 전달체계, 관리감독기구 등이 모두 다르므로 각각의 감독기구에 따라 장기재정추계도 제각각의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본고에서는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의 재정추계를 모형접근방법론 측면에서 일반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특수성을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공적연금은 제도내용과 재정방식 등에서 제도별로 차별성은 있으나 가입기간 동안 일정수준의 보험료를 납부하여 은퇴 후 급여로 지출한다는 맥락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또한 공적연금의 특성상 젊었을 때 기여하는 보험료수준과 은퇴 후 급여수준 간의 재정구조가 다소 느슨하므로 재정건전성을 미리 진단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 때 적어도 개인의 근로생애기간보다 긴 장기간의 재정추계가 필수적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공적연금은 제도내용 및 전달체계, 관리감독기구 등이 모두 다르므로 각각의 감독기구에 따라 장기재정추계도 제각각의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본고에서는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의 재정추계를 모형접근방법론 측면에서 일반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특수성을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