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가족 기능 및 성 역할과 책임에 대한 인식

  • 저자

    김은정

  • 페이지

    22-38

  • 발행년월

    2021. 03.

이 글에서는 2020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저출산고령사회 대응 국민 인식 및 가치관 심층조사’의 가족 기능 및 가치관 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가족의 기능은 가족 구성원들 간의 소통을 통한 정서적 기능으로 조사되었다. 젊은 층, 미혼, 자녀가 없는 경우 정서적 기능을 가장 중요한 가족 기능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고, 재생산 기능을 주요 기능으로 인식하는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통적 성 역할과 책임이 더 이상 보편적인 사회적 관념으로 인식되지 않으며, 여성은 남성에 비해 가족 내 성평등 수준을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통적 가족 내 성 역할과 책임에 대한 인식 변화가 뚜렷함에도 인식 수준에 맞는 가정 내 역할 및 책임에 대한 성평등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향후 가족정책은 가족의 다양성을 기반으로 정서적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으며, 가족생활에서 육아 및 가사에 대하여 남성과 여성이 역할과 책임을 동등하게 나눌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

첨부파일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