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초·중·고 아동의 학교생활 만족도 영향 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 저자

    이상정

  • 페이지

    33-43

  • 발행년월

    2025. 05.

가정 외에 아동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만족스러운 생활을 영위하는 것은 아동의 전체적인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학교생활에 만족하는 아동의 비율은 2019년 76.5%보다 감소하여 2024년 71.3%를 나타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아동의 학교생활 만족도 제고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기 위해 2023년 아동종합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아동의 학교생활 만족도 실태와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아동의 학교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초·중·고등학교 교급별로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이 다르므로 차별성이 있는 정책 목표와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했다. 학교생활 만족도 수준이 가장 낮은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아져야 전체 아동의 학교생활 만족 수준이 높아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업 스트레스를 낮추고, 선생님과의 긍정적 관계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첨부파일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