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포럼
한국 아동의 행복 수준과 격차: 2023 아동종합실태조사의 주관적 웰빙 결과를 중심으로
- 저자
유민상
- 페이지
66-84
- 발행년월
2025. 05.
우리나라 아동의 평균적인 행복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보건복지부 아동종합실태조사에서 행복도를 측정한 결과에 따르면 캔트릴의 사다리로 측정한 우리나라 아동의 삶의 만족도는 지난 10년 동안 향상되었다. 전반적으로 우리나라 아동의 삶의 질이 개선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자료와 비교해 봤을 때 아직 우리나라 아동의 행복도 수준이 얼마나 향상된 것인지 확정하기 어렵다. 분명한 것은 전반적인 행복도 향상에도 불구하고 계층 간 행복 격차가 유지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행복도의 국제 비교와 우리나라 아동의 다양한 배경에 따른 행복도 비교를 통해 격차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고, 배경적 요인에 의해 나타나는 행복 격차를 확인하였다. 사회적 발전을 위해서는 평균적인 행복 수준을 증진하는 것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행복 격차를 줄이는 것 역시 중요하다.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행복 격차의 위험 요인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환경 변화가 삶의 질과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지속적으로 살피고 정책적으로 대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