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포럼
청년 은둔 양상의 변화와 정책 과제
- 저자
김성아
- 페이지
68-83
- 발행년월
2025. 09.
이 글의 목적은 2022년과 2024년 청년 삶 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하여 현대 한국 청년 은둔의 양상과 욕구를 살펴보고, 실효성 있는 지원을 위한 정책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청년 은둔은 사회활동을 위한 외출을 거의 하지 않고 사회적 관계가 단절된 상태로, 그 비율은 2022년 2.4%에서 2024년 5.2%로 증가했다. 실제 절대적인 규모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단정하기보다는 그동안 보이지 않게 은둔하던 청년이 목소리를 내고 회복과 자립을 위한 도움을 요청하는 양상이 나타난 것이라고 판단하는 게 적절해 보인다. 이 글에서는 새로운 취약 집단으로서 고립·은둔 청년의 삶과 욕구를 분석하고, 지원 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청년미래센터의 전국 확대와 지원 사업 체계화, 고립·은둔 청년의 회복과 사회경제적 자립을 위한 맞춤형 지원, 거점기관 등 사업 범위의 지역 확장, 전문인력 양성과 처우 개선, 인식 개선과 중장기 정책 로드맵 마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