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한국복지패널 연계 질적패널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저소득층 양적 & 질적 연계 패널조사-

한국복지패널 연계 질적패널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저소득층 양적 & 질적 연계 패널조사-

  • 연구책임자

    최현수

  • 발행연도

    2011

  • 페이지

    367

  • 보고서 번호

    2011-21

제1부 양적 & 질적 연구방법론 연계: 혼합 연구방법론

제1장 서론 2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1
제2절 주요 연구내용 구성 및 연구방법 26

제2장 양적 & 질적 연계 패널구축 관련 혼합 연구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검토 35
제1절 양적 & 질적 연계 혼합 연구방법론 관련 이론 및 동향 36
제2절 빈곤 역동성 측면에서 양적 & 질적 연계 패널 구축의
필요성과 의의 50


제2부 양적 패널조사 자료구축 및 기초분석

제3장 저소득층 양적 패널조사 표본추출 및 가구특성 69
제1절 저소득층 양적 패널가구 표본추출 69
제2절 저소득층 양적 패널가구의 특성 분석 71

제4장 저소득층 양적 패널가구의 심리 동향지수 분석
­경제상황 및 복지수준 인식과 전망­ 83
제1절 조사자료 및 분석방법 83
제2절 저소득층 양적 패널가구의 경제상황 및 복지수준 인식과
전망 분석결과 88


제3부 질적 패널조사 자료구축 및 기초분석

제5장 저소득층 질적 패널조사 표본추출 및 가구특성 103
제1절 저소득층 질적 패널가구 표본추출 103
제2절 저소득층 질적 패널가구의 특성 분석 104

제6장 저소득층 질적 패널조사 자료수집과정 분석 119
제1절 질적 패널자료 수집과정 120
제2절 질적 패널자료 수집방법 121
제3절 질적 패널자료 분석방법 134
제4절 질적 패널조사 수행 및 자료 활용 시 윤리적 고려 135

제7장 저소득층 질적 패널조사 결과 기초분석Ⅰ:
일과 빈곤, 탈수급 139
제1절 근로 139
제2절 빈곤, 탈수급 관련 역학적 특성 144

제8장 저소득층 질적 패널조사 결과 기초분석Ⅱ:
가족관계 및 정신건강 165
제1절 가족 165
제2절 생활습관, 가족관계 및 정신건강 169
제3절 생활실태 만족 및 의식 208



제9장 저소득층 질적 패널조사 결과 기초분석 Ⅲ:
가족구성원별 조사 229
제1절 여성 229
제2절 아동/청소년 238
제3절 청소년(중?고등학생) 246
제4절 노인 264
제5절 장애인 276

제4부 양적 & 질적 연계 패널구축 및 활용방안

제10장 양적 & 질적 연계 패널자료 구축계획 및 활용방안 299

부록 317

첨부파일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