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2005년도 환자조사보고서
- 연구책임자
도세록
- 발행연도
2006
- 페이지
676
- 보고서 번호
2006-81
- 발주기관
보건복지부
* 본 보고서는 보건복지부 용역으로 수행된 과제로 전문을 게재하지 않습니다.
▣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
- | 국민의 의료이용 및 질병발생 양상에 대한 파악은 건강수준의 측정뿐만 아니라 국민 및 국가가 부담해야 할 의료비 및 의료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에 기초적인 자료가 되므로 지속적인 통계생산이 필요함. | ||||
- | 보건복지부는 3년마다 주기적으로 환자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의료이용 및 질병관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으며, 조사 결과는 국가의 보건의료 정책수립의 기초자료 및 일반 국민의 보건통계수요에 부응하고 있음. | ||||
- | 환자조사의 구체적인 목적은 | ||||
- | 국민의 질병 및 의료이용 실태 파악 | ||||
- | 의료기관의 주요 의료자원 파악 | ||||
- | 국가의 보건의료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 ||||
- | 국제기구에서 필요로 하는 질병관련 통계 제공 | ||||
▣ | 주요 조사결과 | ||||
- | 입원 및 외래환자수 | ||||
- | 2005년 11월 23~24일 2일중 하루동안 전국 의료기관을 이용한 환자는 총 2,607,494명으로 이들 중 입원환자는 278,957명이었고, 외래환자는 2,328,537명이 되어 89.3%가 외래환자임. | ||||
- | 외래환자의 상병양상 | ||||
- | 외래환자의 가장 흔한 질환은『호흡기계의 질환』으로서 전체 외래환자의 24.7%였고, 그 다음은『소화기계의 질환』14.6%,『근골격계 및 결합조직의 질환』17.1%순 이었으며, 이 3가지 질환이 전체 외래환자의 56.4%를 차지 함. | ||||
- | 외래환자의 진료비 지불방법 | ||||
- | 외래환자의 진료비 지불은 의료보험 86.5%, 의료보호 6.1%였으며 전액자비 환자는 4.4%로 나타나 2002년도의 3.7%에서 약간 증가하였음. | ||||
- | 환자 거주시도별 의료기관 이용 현황 | ||||
- | 종합병원이 많은 서울지역 주민은 13.5%가 종합병원을 이용하고, 그 다음으로 종합병원 이용이 높은 지역은 제주(13.4%), 광주(11.6%), 인천(11.1%)에 거주하는 주민임. | ||||
- | 병원 이용이 높은 지역은 울산(10.3%), 전남(7.4%), 경남(7.1%)이며 보건기관(보건의료원,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등) 환자가 많은 지역은 전남(9.1%), 경북(6.1%), 전북(5.9%) 지역으로 의료시설이 충분치 못한 이 지역 진료의 많은 부분을 보건기관이 담당하고 있음. | ||||
- | 상병별 퇴원환자수 | ||||
- | 2005년 9월 1개월간 퇴원환자 수는 523,145명이었고 그 중에서 여자 261,602명(50.0%) 남자 261,543명(50.0%) 으로 거의 동일함. | ||||
- | 퇴원환자 평균재원일수 | ||||
- | 퇴원환자의 평균재원일수는 13.6일로서 2002년도 조사의 13.8일 보다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남. 성별로는 남자의 경우 15.5일로 2002년의 16.2일에서 0.7일 증가하였고, 여자의 경우는 11.7일로 나타나 2002년의 11.4일 에서 0.3일 증가함. | ||||
- | 외래환자 수진실태 | ||||
- | 인구 10만명당 외래환자 수진율은 4,837명이며, 성별로는 남자 4,124명, 여자 5,558명으로 여자의 수진율이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2002년도의 4,414명보다 전체적으로는 9.6% 증가한 것임. 성별로는 2002년에 남자 3,773명, 여자 5,065명으로 나타난 바 있어, 남자의 경우는 9.3%, 여자의 경우는 9.7% 증가하여 여자의 수진율 증가가 높았음. | ||||
- | 일반적으로 외래환자 수진율은 영아기에서 가장 높게나타고 있으나 1999년 이후 조사에서는 영아기 보다 노령연령층의 수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 | ||||
- | 노령연령층의 수진율 및 재원일수 | ||||
- | 의료이용이 많은 70세 이상 노령연령층의 외래환자 수진율은 전체 외래환자 수진율의 2배 이상을 나타내고 있음. 연령별로 살펴보면, 2002년도 조사부터 75~79세 연령층은 가장 높은 수진율을 보이는데, 2005년의 경우 75~79세 연령층의 인구 10만명당 수진율은 11,382명으로 2002년도의 9,139명에서 2,243명이 증가함. | ||||
- | 65세 이상 노령인구의 연령층별 평균재원일수는 18.6일로 전체 평균재원일수 보다 약 5.1일 길며, 각 연령층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나 그 중에서도 가장 긴 80세 이상 연령층의 평균재원일수는 20.8일로 전체 평균재원일수 보다 7.3일 더 길게 나타남. | ||||
▣ | 활용성 및 기대효과 | ||||
- | 국가보건의료정책의 기초자료제공 | ||||
- | 지방화시대에 부응하는 지역별 의료이용 및 질병통계생산 | ||||
- | ICD-10 분류에 의한 질병통계의 정착 | ||||
- | 보건통계 정보화를 위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통계생산 | ||||
- | OECD 등 국제기구에서 요청하는 의료이용 통계에 대한 대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