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2005) - 활동제한 및 삶의 질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2005) - 활동제한 및 삶의 질 -

  • 연구책임자

    강은정

  • 발행연도

    2006

  • 페이지

    237

  • 보고서 번호

    정책 2006-30-3

  • 발주기관

    보건복지부



주요연구내용
- 활동제한 및 삶의 질의 조사를 통해서 각각의 수준을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국민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이 조사의 궁극적인 목적임.
- 조사항목으로는 침상와병일수, 결근결석일수 등의 활동제한일수, 보기, 듣기, 씹기, 걷기 등의 신체적 기능 문항, 그리고 활동제한 여부, 원인, 기간 등이 포함되었음. 또한 일상생활과 수단적 일상생활에서 장애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일상생활 및 수단적 일상생활에 도움이 필요한지 추가적으로 질문하였음.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서 EuroQol(EQ-5D)이 사용되었음.


보고서의 구성
제1장 조사의 개요
1. 배경 및 목적
2. 모집단
3. 표본 추출
4. 조사 내용
5. 조사 방법
6. 조사 기간 및 조사 참여율
제2장 통계 추정방법
1. 추정 절차
2. 무응답처리
3. 연령표준화
4. 소지역추정법을 사용한 시ㆍ도단위 통계
5. 분산추정
제3장 조사대상 가구와 인구의 특성
1. 조사대상 가구의 특성
2. 조사대상 인구의 특성
제4장 지표의 정의
1. 침상와병일수와 결근결석일수
2. 신체 기능
3. 활동제한(Activity limitation) 혹은 장애(Disability)
4. 건강관련 삶의 질
제5장 주요 지표별 조사결과
1. 침상와병일수와 결근결석일수
2. 신체적 기능의 문제
3. 활동제한 혹은 장애
4. 건강관련 삶의 질(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5. 건강관련 삶의 질로 측정한 다양한 계층별 건강수준
제6장 지역단위 통계
1. 시력문제 유병률
2. 청력문제 유병률
3. 씹기문제 유병률
4. 걷기 문제 유병률
5. 활동제한율
제7장 외국 조사 결과와의 비교
1. 활동제한율
2. 성인 연간 침상와병일수
3. 성인 연간 결근일수
4. 아동 및 청소년 연간 결석일수
5. 청력문제, 시력문제
6. 건강관련 삶의 질
제8장 결론 및 정책제언

첨부파일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