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다문화가족의 영양서비스 요구파악을 통한 모자영향관리 컨텐츠 및 제공방안 개발
- 연구책임자
김혜련
- 발행연도
2011
- 페이지
245
- 보고서 번호
2011-67
- 발주기관
한국건강증진재단
요약 3
Abstract 10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
제2절 연구방법 9
제2장 다문화가족의 영양과 식생활 선행연구 및 관련 사업 현황 15
제1절 다문화가족의 현황 17
제2절 다문화가족 결혼이주여성의 영양과 식생활 선행연구 20
제3절 다문화가족의 영양과 식생활 관련 사업 현황 26
제3장 다문화가족 결혼이주여성과 자녀의 영양, 식생활 현황 및 요구도 43
제1절 인구학적 특성 45
제2절 사회경제적 특성 51
제3절 식생활 양상 55
제4절 건강과 영양상태 72
제5절 식생활?영양 서비스 이용 경험 및 요구도 76
제6절 자녀의 이유식과 간식 제공 양상 및 요구도 84
제7절 건강 및 식생활?영양에 대한 정보원과 이용 경험 89
제4장 국내 이주자 코호트 연구를 통한 결혼이주 여성의 건강과 영양 문제 95
제1절 결혼이민 여성의 신체 측정 및 비만도 97
제2절 결혼이민 여성의 영양상태 102
제3절 다문화가족 자녀의 건강영양 상태 114
제5장 다문화가족 영양서비스 요구 및 자료개발 방향: 담당자 의견 117
제1절 조사 개요 119
제2절 다문화가족 이주여성과 자녀의 식생활 문제점 진단 120
제3절 다문화가족의 영양?식생활 교육 컨텐츠 우선순위 도출 127
제4절 다문화가족의 영양?식생활 교육 자료개발 방향 129
제6장 다문화가족 영양관리 지원을 위한 모자영양 컨텐츠 개발 135
제1절 다문화가족을 위한 모자영양관리 컨텐츠 개발 방향 137
제2절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식생활의 이해』 140
제3절 다문화가정을 위한 이유식 가이드 169
제4절 국제결혼 이민자 국가의 식생활 문화 185
제7장 다문화가족 영양관리 제공방안 199
제1절 다문화가족 영양서비스 제공 기본방향 201
제2절 관련 서비스 연계를 통한 다문화가족 영양서비스 제공 203
제8장 결 론 213
제1절 연구목표의 달성도 및 연구의 제한점 215
제2절 연구의 활용계획 217
참고문헌 218
Abstract 10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
제2절 연구방법 9
제2장 다문화가족의 영양과 식생활 선행연구 및 관련 사업 현황 15
제1절 다문화가족의 현황 17
제2절 다문화가족 결혼이주여성의 영양과 식생활 선행연구 20
제3절 다문화가족의 영양과 식생활 관련 사업 현황 26
제3장 다문화가족 결혼이주여성과 자녀의 영양, 식생활 현황 및 요구도 43
제1절 인구학적 특성 45
제2절 사회경제적 특성 51
제3절 식생활 양상 55
제4절 건강과 영양상태 72
제5절 식생활?영양 서비스 이용 경험 및 요구도 76
제6절 자녀의 이유식과 간식 제공 양상 및 요구도 84
제7절 건강 및 식생활?영양에 대한 정보원과 이용 경험 89
제4장 국내 이주자 코호트 연구를 통한 결혼이주 여성의 건강과 영양 문제 95
제1절 결혼이민 여성의 신체 측정 및 비만도 97
제2절 결혼이민 여성의 영양상태 102
제3절 다문화가족 자녀의 건강영양 상태 114
제5장 다문화가족 영양서비스 요구 및 자료개발 방향: 담당자 의견 117
제1절 조사 개요 119
제2절 다문화가족 이주여성과 자녀의 식생활 문제점 진단 120
제3절 다문화가족의 영양?식생활 교육 컨텐츠 우선순위 도출 127
제4절 다문화가족의 영양?식생활 교육 자료개발 방향 129
제6장 다문화가족 영양관리 지원을 위한 모자영양 컨텐츠 개발 135
제1절 다문화가족을 위한 모자영양관리 컨텐츠 개발 방향 137
제2절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식생활의 이해』 140
제3절 다문화가정을 위한 이유식 가이드 169
제4절 국제결혼 이민자 국가의 식생활 문화 185
제7장 다문화가족 영양관리 제공방안 199
제1절 다문화가족 영양서비스 제공 기본방향 201
제2절 관련 서비스 연계를 통한 다문화가족 영양서비스 제공 203
제8장 결 론 213
제1절 연구목표의 달성도 및 연구의 제한점 215
제2절 연구의 활용계획 217
참고문헌 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