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Ⅶ) - 사회통합과 사회이동(2)
- 연구책임자
김문길
- 발행연도
2020
- 페이지
309
-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0-55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9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17
제3절 이론적 논의 27
제2장 세대 간 사회이동의 경험과 불공정 인식 33
제1절 문제 제기 35
제2절 분석 방법 36
제3절 세대 간 이동의 실재 41
제4절 출생 코호트별 사회이동과 공정성 인식의 차이 50
제5절 소결 56
제3장 세대 간 주거자산 이전과 사회이동 인식 61
제1절 문제 제기 63
제2절 분석 방법 65
제3절 주거자산 이전과 주택의 점유형태 68
제4절 점유형태 및 자산 이전과 사회이동성 인식 77
제5절 소결 89
제4장 사회적 불안정과 사회이동 인식 93
제1절 문제 제기 95
제2절 분석 방법 96
제3절 코로나19의 영향과 정책 선호 99
제4절 불안정성 인식과 정책 선호 107
제5절 불안정성 인식과 사회이동 인식 114
제6절 소결 119
제5장 사회이동 인식과 요인 121
제1절 문제 제기 123
제2절 분석 방법 127
제3절 연령별 사회이동성 인식 130
제4절 사회이동성 인식 결정 요인 136
제5절 소결 144
제6장 사회이동과 사회통합 인식 변화 147
제1절 문제 제기 149
제2절 분석 방법 150
제3절 사회통합과 사회이동성 인식 변화 151
제4절 소결 165
제7장 결론 169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171
제2절 정책적 함의 173
참고문헌 177
부록 183
[부록 1] 사회이동과 사회통합 실태조사(Ⅱ) 설문지 183
[부록 2] 사회이동과 사회통합 실태조사(Ⅱ) 표본 설계 205
[부록 3] 사회이동과 사회통합 실태조사(Ⅱ) 기초분석표 214
[부록 4] 세계경제포럼 글로벌 사회이동인식 조사 292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9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17
제3절 이론적 논의 27
제2장 세대 간 사회이동의 경험과 불공정 인식 33
제1절 문제 제기 35
제2절 분석 방법 36
제3절 세대 간 이동의 실재 41
제4절 출생 코호트별 사회이동과 공정성 인식의 차이 50
제5절 소결 56
제3장 세대 간 주거자산 이전과 사회이동 인식 61
제1절 문제 제기 63
제2절 분석 방법 65
제3절 주거자산 이전과 주택의 점유형태 68
제4절 점유형태 및 자산 이전과 사회이동성 인식 77
제5절 소결 89
제4장 사회적 불안정과 사회이동 인식 93
제1절 문제 제기 95
제2절 분석 방법 96
제3절 코로나19의 영향과 정책 선호 99
제4절 불안정성 인식과 정책 선호 107
제5절 불안정성 인식과 사회이동 인식 114
제6절 소결 119
제5장 사회이동 인식과 요인 121
제1절 문제 제기 123
제2절 분석 방법 127
제3절 연령별 사회이동성 인식 130
제4절 사회이동성 인식 결정 요인 136
제5절 소결 144
제6장 사회이동과 사회통합 인식 변화 147
제1절 문제 제기 149
제2절 분석 방법 150
제3절 사회통합과 사회이동성 인식 변화 151
제4절 소결 165
제7장 결론 169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171
제2절 정책적 함의 173
참고문헌 177
부록 183
[부록 1] 사회이동과 사회통합 실태조사(Ⅱ) 설문지 183
[부록 2] 사회이동과 사회통합 실태조사(Ⅱ) 표본 설계 205
[부록 3] 사회이동과 사회통합 실태조사(Ⅱ) 기초분석표 214
[부록 4] 세계경제포럼 글로벌 사회이동인식 조사 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