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과제사업
(2006)_표본추출 및 관리매뉴얼 개발
발간- 구분 정보통계
- 연구기간 20060703 ~ 20061130
- 연구책임자 손창균
▣ | 발주기관: 통계청 | ||||
▣ | 연구 필요성 | ||||
- | 표본추출 및 표본 관리는 표본조사(sample survey)를 통해 실시되는 통계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절차임. | ||||
- | 대표성 없는 표본에 의한 조사는 통계를 왜곡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합리적인 기준마련이 요구됨. | ||||
- | 통계청 외 여타 통계작성기관의 표본추출 및 관리에 대한 기준 부재로 문제점이 심각하게 대두됨 : 국가통계예비점검(2005년 9월)결과 조사통계의 모집단 및 표본추출 과정에 대해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제시함. | ||||
- | 표본추출 근거자료인 명확한 모집단 확보 및 정비가 필요함. | ||||
- | 특히 기업체(enterprise) 대상 통계의 경우 기업체의 특성상 조사설계 당시 명확한 모집단을 확보하기 어려워 사업체(establishment) 모집단 리스트를 사용함으로 해서 정보의 왜곡이 가중됨. | ||||
- | 조사대상으로 추출된 표본에 변동이 있을 때 표준화된 대체 지침(substitution manual)을 사전에 마련할 필요가 있음. | ||||
- | 특히 외주용역인 경우 손쉽게 조사표를 수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임의로 표본을 대체함에 따라 모집단의 특성 반영이 곤란하며, 표본의 왜곡으로 인하여 비표본 오차(non-sampling error)가 발생함. | ||||
- | 표본추출 과정과 주요 변수에 대한 표본오차(standard error)를 산출하여 통계발표 시 공개가 필요함. | ||||
- | 궁극적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표준적인 표본추출 및 관리 매뉴얼이 필요함. | ||||
▣ | 연구내용 | ||||
- | 표본조사에 있어서 표본추출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일반적인 표본추출방법과 관리방법을 제시 | ||||
- | 통계조사 특성별로 대표성 높은 표본 추출방법과 관리기준을 개발하여 표본추출 및 표본관리 매뉴얼 개발. | ||||
- | 이론적 배경과 함께 실무의 특성을 고려하여 매뉴얼 개발. | ||||
- | 특히 가구부문과 사업체부문 통계조사 특성에 따른 표본추출 및 관리 매뉴얼 개발. | ||||
- | 표본 추출 및 관리 매뉴얼 개발 또는 적용사례에 대한 외국의 성공 적용사례를 발굴. | ||||
▣ | 연구범위 | ||||
- | 가구 및 사업체 부문 조사로 구분하여 표본추출 및 관리 기준 마련 | ||||
- | 표본추출의 단계별 상세 매뉴얼 제시 | ||||
- | 이론적 배경과 함께 실무의 특성을 고려하여 매뉴얼 개발. | ||||
- | 특히 가구부문과 사업체부문 통계조사 특성에 따른 표본추출 및 관리 매뉴얼 개발. | ||||
- | 현 국가통계 표본추출ㆍ관리 현황 및 문제점 파악 | ||||
- | 일반적인 표본추출방법과 관리방법을 제시 | ||||
- | 통계청에서 현재 사용중인 가구표본관리지침서(2003.5.), 농수산표본 관리 지침서(2003.2) 등의 기존 자료들을 검토, 보완하여 통계청 외 작성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표본관리지침서를 마련하고자 함. | ||||
- | 표본 추출 및 관리 매뉴얼 개발 또는 적용사례에 대한 외국의 성공 적용사례를 발굴 | ||||
▣ | 연구방법 | ||||
- | 외부 전문가들과 통계를 생산하는 실무자들의 의견을 수렴 | ||||
▣ | 기대효과 | ||||
- | 표본조사에 대한 합리적 기준 마련으로 통계정보의 왜곡 감소에 기여 | ||||
▣ | 활용방안 | ||||
- | 표본추출에 대한 합리적 기준으로 활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