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과제사업
장래인구추계 방법론 개선 연구 - (I) 출산력과 사망력을 중심으로
진행- 구분
- 연구기간 20250101 ~ 20251231
- 연구책임자 송창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장래인구추계모형의 주요 모듈인 사망력과 출산력에 대한 방법론 개발
○ 기 구축된 코호트요인법에 정합한 사망력과 출산력 전망 방법론 개발
○ 보다 시의성있고 보건사회 정책 수요에 적합한 방법론 연구
○ 가구 추계 및 향후 국내외 인구 이동 모델 개발과의 연계성 고려
[주요 연구내용]
□ 사망력 전망 방법론 검토
○ 통계청 인구추계의 사망력 전망 방법론 개선 사항 검토
○ LC류의 사망력 전망 방법론 개선 사항 검토
○ 사회 경제적 영향을 고려한 사망력 전망 방법론 검토
□ 출산력 전망 방법론 검토
○ 통계청 인구추계의 출산력 전망 방법론 개선 사항 검토
○ 기 연구의 출산력 전망 방법론 검증 및 고도화
○ 사회 경제적 영향을 고려한 출산력 전망 방법론 검토
□ 기 구축된 코호트요인법 모듈과의 연계
○ 기 구축된 인구추계모형과 가구추계모형간 연계 고려
○ 주요 표, 그림 등의 결과 공유 대시보드 통합 방법 연구
[기대효과]
□ 인구 정책 수립 기반 마련
○ 인구 변동의 장기적 추세를 보다 정책 및 연구 목적에 맞게, 그리고 시의성 있게 예측함으로써,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인구 정책 및 계획 수립에 기여할 것임.
○ 특히, 보건사회 정책 개발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뿐 아니라 재정추계 등 다양한 분야의 분석 기초자료 활용될 수 있음.
□ KIHASA의 인구추계 전문성 강화
○ 사망력과 출산력 전망 방법론의 내부화로 구추계 및 분석 능력을 한층 강화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임.
○ 자체 시나리오 설정 및 추계 결과 산출 등을 통한 보다 탄력적인 정책 대응 전략 수입에 기여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