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과제사업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고용상태와 근로조건에 따른 건강불평등

발간
  • 구분 보건정책
  • 연구기간 20200101 ~ 20201231
  • 연구책임자 정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본 연구는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5년차 연구로서, 고용과 근로조건에 따른 건강불평등에 초점을 두고자 함.
  - 고용상태와 근로조건에 따른 건강불평등 발생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건강수준, 건강행태, 의료이용 등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노동자 건강불평등 현황을 모니터링함.
   * 이를 위해 노동자 건강 측면에서의 취약계층을 정의 및 발굴하고, 이들의 건강문제를 잘 드러낼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함.
  - 노동자 건강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개입지점을 파악하고, 정책개선방향을 제시함.

 
【주요연구내용】
□ 노동자 건강불평등의 발생기전과 현황에 대한 문헌고찰
  - 고용상태 및 근로조건이 건강에 미치는 기전(노동에 따른 건강불평등 발생 기전)에 대한 이론적 탐색
  - 고용상태 및 근로조건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노동자 건강불평등 지표 선정과 측정
  - 건강불평등 측면에서의 노동 취약계층을 정의 및 발굴
  - 취약계층의 건강문제를 잘 드러내는 지표 선정
  - 선정된 지표를 이용한 건강불평등 측정
□ 노동자 건강불평등 개선을 위한 정책개입지점 파악과 정책 모니터링
  - 현장 인터뷰 혹은 이해당사자(노동자, 고용주, 정책담당자)별 FGI를 통해 건강불평등 발생 원인과 정책개입지점 파악
  - 노동자 건강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정책 정리 및 평가
  - 건강형평성 제고를 위한 정책 개선 방향 제언
□ 건강불평등 factbook 발간(3rd ver.)
  - 건강불평등 지표 모니터링 연구 결과 확산, 건강불평등 현황에 대한 사회적 관심 제고 및 건강불평등 관련 정책 의제화를 위해 건강불평등 factbook 발간

【기대효과】
□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노동자 건강불평등 현황에 대한 포괄적 분석과 발생원인 및 메커니즘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해 향후 건강형평성 제고를 위한 노동정책과 보건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임.
□ Factbook 발간을 통해 우리나라 건강불평등 현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제고하고 건강불평등에 대한 정책 의제화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함.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