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과제사업

빅데이터 기반 보건복지정책과 기술 간 융합체계 구축

발간
  • 구분 정보통계
  • 연구기간 20200101 ~ 20201231
  • 연구책임자 오미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이 연구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보건복지정책 중장기 미래전략 수립을 지원하고, 신기술과의 융합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데이터 증거기반의 지속가능한 정책대응을 목표로 함
  - 과기정통부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과학기술 기반 사회문제해결형 R&D 연구는 사회문제와 새롭게 발생하는 문제들을 주기적으로 분석하여 과학기술적 해결방안 및 범부처 추진방안 등을 도출하는 과제임에 반해, 이 연구에서는 보건복지정책과 과학기술의 간극을 줄일 수 있는 융합-연계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적임


【주요연구내용】
□ 보건복지정책과 신기술 융합 필요성 및 함의
□ 보건의료 및 복지분야 정책변화와 신기술 동향 파악
  - 빠르게 변화·발전하는 신기술은 정책영역의 확장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2019년도에 파악한 연구동향과 비교하여 제시할 예정임
  - 신기술이 보건복지정책과 연계·융합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법적 문제 사례 제시
  - 국내사례분석
  - 해외사례분석
□ 소셜 빅데이터 기반 보건복지정책과 신기술 미래사회변화 분석
  - 보건복지정책, 신기술 분석 주제 및 이슈(윤리적인 이슈 포함) 선정
  - 보건복지정책과 신기술에 따른 미래사회에 대한 기대 및 우려 감성분석
  - 분야별 이슈별 word cloud, network 분석, topic model 등을 이용한 동향 분석
□ 일반국민 및 전문가의 보건복지정책 및 신기술 적용 관련 문제점 및 고려사항 조사 실시
  - 보건정책과 신기술에 대한 이슈 및 문제점 관련 일반국민 및 전문가 평가 survey 분석
  - 복지정책과 신기술에 대한 이슈 및 문제점 관련 일반국민 및 전문가 평가 survey 분석
□ 보건복지정책 및 신기술 관련 이슈 및 문제점 진단 및 정책 수립 방향 제시
  - 보건복지정책 및 신기술 관련 이슈 및 문제점을 단계별로 진단하고, 신기술에 의한 보건복지정책의 영향을 검토
  - 보건복지정책에 신기술 융합·연계 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법적인 문제 검토 및 시사점 제시
  - 보건복지정책과 신기술 융합의 발전방향 제시

【기대효과】
□ 본 연구는 보건복지정책 중장기 미래전략 수립을 지원하고, 신기술과의 융합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사람 중심의 성장, 기술혁신 기반의 핵심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함
□ 향후 보건복지정책과 신기술 융합의 방향설정, 연구 성과 확산 보급 등에 연계 활용될 수 있고, 국가적·사회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AI 등의 신기술과 보건복지정책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수용성, 영향력 등과 이들의 변화과정을 관찰하여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할 것임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