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106개 논문이 있습니다.

11 이슈분석 일본의 지방소멸 대응 정책과 사례Japan’s Policy Responses to Municipalities at Risk of Extinction
조성호(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Cho, Sungho(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겨울호, 통권 31호, pp.101-113 https://doi.org/10.23063/2024.12.8
초록보기
Abstract

Japan’s policy efforts to prevent local depopulation date back to the 1960s, when, as migration to the capital region intensified, other parts of the country became increasingly under-inhabited. Later, with the emergence of ‘marginal villages,’ policy priorities shifted to instilling vitality into local communities, reanimating and renovating them, and helping them secure skilled human resources. Initially implemented by municipalities, these policies were later, following the publication of the “Masuda Report” in 2014, taken over by the national government. In this article, I trace the origins of Japan’s policies on local population decline and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these polici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policy of dispatching human resources to local areas.

초록

일본은 1960년대 수도권으로 인구 이동이 집중됨에 따라 지방의 과소지역 및 한계마을 대응 측면에서의 지방소멸 대응 정책이 추진되었다. 한계마을 발생 이후 일본의 지방소멸 대응 정책 방향은 지역 커뮤니티 재생 및 강화, 지역 인재 확보 등 지방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었고, 초기에는 지자체를 중심으로 정책이 추진되었으나 2014년 ‘마스다 레포트(지방소멸)’가 발표된 이후로 범국가 차원에서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정책이 추진되었다. 이 글에서는 일본의 지방소멸 대응 정책이 시작된 경위와 최근의 상황, 그리고 다양한 지방소멸 대응 정책 중에서 인재를 지방에 파견하는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초록보기
Abstract

I review the current state of Japan’s independence support policies for children in out-of-home care and consider their implications for Korea. Japan’s child protection system, once centered on facility-based residential care, has become more comprehensive in recent years, following changes in independent-living support policies and supplemented by enhanced family-based care. Through the 2016 amendment to the Child Welfare Act, independence support services, which had previously been delivered in a fragmented manner, were incorporated into an integrated system. The 2022 amendment eased age restrictions and introduced the support-hub project, making it possible to support young people transitioning out of out-of-home care more effectively and for a longer duration. One key implication of Japan’s system is that Korea should seek further integration of its independent-living support system and enhance the public aspects, such as administration and oversight.

초록

이 글에서는 일본의 보호아동 자립지원 정책의 현황과 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일본의 아동보호체계는 시설보호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나, 최근 자립지원 정책의 변화와 함께 가정보호와 연계한 통합적 지원체계가 강화되었다. 2016년 아동복지법 개정을 통해 자립지원사업이 통합되고, 2022년 법 개정을 통해 연령 요건 완화와 자립지원 거점 사업이 도입되었다. 이를 통해 보호종료 후에도 장기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이 가능해졌다. 한국도 자립지원 체계의 통합성과 공공성 강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13 국제사회보장동향 일본의 헬스케어 리츠(Health Care REITs) 시장 동향Healthcare REITs Market Trends in Japan
최희정(㈜웰에이징연구소 대표)
Choi, Hee-jeoung(WELL-AGING LAB Co., Ltd.)
2024년 가을호, 통권 30호, pp.138-144 https://doi.org/10.23063/2024.09.12
14 이슈분석 유럽과 일본의 온라인 의약품 처방 정보 활용과 시사점The Use of Online Prescription Information in Europe and Japan and Its Implications
박은자(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연구위원)
Park, Eunja(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가을호, 통권 30호, pp.115-124 https://doi.org/10.23063/2024.09.9
초록보기
Abstract

With the growing utilization of e-prescriptions, the use of online prescription information as part of personal health records has gained increasing attention. The EU has built an international system of e-prescription and e-dispensation that enables users to overcome geographic and linguistic barriers. Japan last year adopted the use of e-prescriptions and, by linking online prescription information with the patient’s “electronic medication notebooks,” allowed physicians and pharmacists to keep track of all the medication intakes. The EU and Japan exemplify how online prescription information can enhance the quality of health care services and make medication intake safer and more effective.

초록

온라인 의약품 처방 정보는 개인건강기록(PHR)의 한 종류로 전자처방전의 사용이 늘면서 정보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유럽연합(EU)에서는 국제 전자처방전 및 전자 조제시스템을 구축하여 EU 회원국 사이에 의약품 처방 및 조제에 관한 지리적 제약과 언어적 한계를 극복하였다. 일본은 지난해 전자처방전을 도입하였고 온라인 의약품 처방 정보와 환자의 전자 약 수첩을 연계하여 환자가 복용하는 모든 의약품을 의료진과 약사가 검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유럽과 일본의 사례는 온라인 의약품 처방 정보가 의료서비스의 질 제고와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약품 복용에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고 하겠다.

15 이슈분석 임신 전 건강관리 지원에 대한 국제 동향과 함의: 중국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International Trends in Preconception Care Support Policies: A Focus on China and Japan
이나경(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전문연구원) ; 정연(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연구위원) ; 이재은(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전문연구원)
Lee, Nagyeo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Jung, Youn(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Lee, Jae-eun(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가을호, 통권 30호, pp.102-114 https://doi.org/10.23063/2024.09.8
초록보기
Abstract

To ensure healthy pregnancies and childbirths, it is important that interventions are made early on, building on an understanding of risk factors that may start having effects on pregnancy even before conception. As the importance of preconceptual health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at the international level, many countries have developed guidelines and policies for preconception care. China and Japan are examples of countries where preconception care services are provided at both national and local levels in a comprehensive range, encompassing education, health checkups, and consultations. This article examines these preconception care services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s for policymaking in Korea.

초록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해서는 임신 전부터 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인지하고 개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제적으로 임신 전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여러 국가들에서 임신 전 건강관리를 위한 지침이나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중국과 일본은 국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제공하는 임신 전 건강관리 서비스를 통해 임신 전 건강관리에 대한 교육과 건강검진, 상담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중국과 일본의 임신 전 건강관리 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 동향을 살펴보고, 한국의 임신 전 건강관리 지원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16 이슈분석 일본 인구 과소지역의 의료 확보 대책 사례와 시사점How Japan Has Improved Healthcare Accessibility in Depopulated Areas
김동진(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연구위원)
Kim, Dongjin(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가을호, 통권 30호, pp.86-101 https://doi.org/10.23063/2024.09.7
초록보기
Abstract

For many subnational regions, population outflows and the declining number of health care establishments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in a vicious cycle. Securing health care provision and access at local levels is not only crucial for the protection of health for the populations that remain in these areas; it is also a significant part of the response to local depopulation. Japan’s health care support measures for sparsely populated regions differ in program and delivery method from their counterparts in Korea. Japan’s efforts on this front offer valuable lessons for Korea as it strives to: improve the role division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develop mechanisms to address localities’ specific needs while maintaining local governments’ autonomy; attain the needed health care workforce, facilities, and equipment; strengthen the governance of local health care; and secure financial resources for necessary projects and activities.

초록

지방의 인구 유출과 의료기관 감소는 악순환의 고리로 연결되어 있으며, 지방에서 의료서비스 제공 체계를 확보하고 의료접근성을 유지하는 것은 지역에 남아 있는 주민의 건강 보호뿐 아니라 지방 인구감소 대응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일본 과소지역2) 의료 지원 대책은 한국의 인구감소지역 관련 정책과 비교하여 사업 내용과 추진 과정에서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 분담, 지자체 특수성과 지역 자율성이 반영되는 통로 마련, 의료 인력 및 시설・장비 확보, 지역 의료 거너번스 확대, 사업 추진을 위한 다양한 재원 확보 등의 측면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17 이슈분석 일본의 취약 청년 지원 정책: 니트와 히키코모리 청년을 중심으로Support Policies for Vulnerable Young adults in Japan: A Focus on NEETs and Hikikomori
노현주(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서비스정책연구실 연구원) ; 김성아(한국보건사회연구원 빈곤불평등연구실 부연구위원)
Noh, HyunJu(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Kim, Seonga(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가을호, 통권 30호, pp.71-85 https://doi.org/10.23063/2024.09.6
초록보기
Abstract

This article surveys policy measures taken in Japan for socially vulnerable youth, with special reference to two key support projects that the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has embarked on targeting “hikikomori” and community youth. These projects shift away from transitional employment-focused approaches to the youth problem to customized support aimed at recovery and independent living, delivering a wide range of services through the network of responsible agencies,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sector organizations. However, they face challenges that stem from the absence of a connection between the support for hikikomori and that for NEET youth. We draw from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 comprehensive welfare policy scheme for socially vulnerable youth in Korea.

초록

이 글에서는 일본에서 추진되고 있는 취약 청년을 위한 지원 정책을 정리하고, 후생노동성의 주요 청년 지원 정책인 히키코모리 추진 사업과 지역 청년 서포트 스테이션 사업을 살펴보았다. 두 사업은 청년의 문제를 고용, 취업지원과 같은 대응 방식에서 벗어나 회복과 자립을 목표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며 지원기관, 지자체, 민간기관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다방면에서 지원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두 사업은 니트와 히키코모리 지원체계의 분절성으로 인한 문제점들도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결론에서 국내의 취약 청년을 위한 종합적인 청년복지 제도화에 대한 함의를 제시했다.

18 이슈분석 일본 치매기본법 내용과 제정 의의The Establishment of the Dementia Basic Act in Japan: Key Contents and Implications
임덕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빈곤불평등연구실 연구위원)
Lim, Deokyou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가을호, 통권 30호, pp.57-70 https://doi.org/10.23063/2024.09.5
초록보기
Abstract

As Japan has become a “super-aged society” earlier than the rest of the world, it has been ahead of the curve in addressing the problem of dementia at the national and societal levels. Japan’s Basic Act on Dementia to Promote an Inclusive Society, enacted in 2023 and composed of a total of four sections and 37 articles, is a mainstay legal framework that broadly defines policy norms and values concerning dementia.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tent and significance of Japan’s Dementia Act, focusing on its composition, objectives, underlying principles, related policies, timeframes, and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responsibilitie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The Act is significant for its integrated approach that combines medical treatment and caregiving, for ensuring that the perspectives and rights of individuals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ies are reflected and protected, and for the emphasis it places on the importance of communal efforts that engage various stakeholder groups.

초록

일본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초고령사회를 먼저 맞이하여 한발 앞서 국가와 사회 차원에서 치매 문제에 대응해 오고 있으며, 2023년에는 “공생사회의 실현을 추진하기 위한 치매기본법”이 제정되었다. 치매기본법은 치매에 대한 정책규범과 가치를 포괄적으로 규정하는 모법으로서 총 4장 37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글에서는 치매기본법의 상세 내용과 의의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치매기본법의 장구성, 목적과 기본이념, 국가 및 지자체의 책무와 추진계획 수립, 기본적 정책, 추진 일정을 소개하였다. 끝으로 치매기본법의 의의로서 의학과 돌봄의 통합적 관점 제시, 당사자 관점의 반영과 권리 보장, 주체별 공동체적 대응의 강조를 제시하였다.

19 기획 주요국의 연명의료결정제도 동향: 미국, 대만, 영국을 중심으로Trends in Life 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in the United States, Taiwan and the United Kingdom
최소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연구원)
Choi, Soyou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가을호, 통권 30호, pp.5-16 https://doi.org/10.23063/2024.09.1
초록보기
Abstract

As attention grows around the notion of a ‘good death’, some countries have put in place policies to support a dignified end of life. Instituted as part of advance care planning, initiative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though varying by country in their methods, criteria, and procedures, share the common goal of respecting patients’ preference of death over specific treatments and ensuring their self-determination through the appointment of a health care agent. Korea adopted a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in February 2018, following the corresponding legislation enacted two years earlier. The practices from selected countries, as discussed here, offer a point of reference that Korea could look for guidance when seeking to enhance and ensure patients’ self-determination in end-of-life care.

초록

좋은 죽음(good death)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여러 국가는 존엄한 생애 말기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국가마다 사전돌봄계획(ACP: Advance Care Planning)의 일부로 연명의료결정제도를 도입한 방식과 이행 시기, 절차 등은 다양하지만, 사전연명의료의향서로 거부하는 치료 내용과 죽음에 대한 선호를 반영하고 대리인 지정 제도를 통해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한국은 2018년 2월 「연명의료결정법」을 시행하면서 ‘연명의료결정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주요국의 사례를 참고한다면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20 이슈분석 다사(多死) 사회에 대한 일본의 정책적 대응Japan’s Policy Response to the Upcoming ‘Numerous Deaths’ Era
최희정((주)웰에이징연구소 대표)
Choi, Hee-jeoung(WELL-AGING LAB Co., Ltd.)
2024년 여름호, 통권 29호, pp.109-120 https://doi.org/10.23063/2024.06.9
초록보기
Abstract

Having become a super-aged society and now on track to see both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deaths among the elderly reach their peaks in 2040, Japan is making national efforts from various angles in preparation for the upcoming era of ‘numerous deaths.’ The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has launched Advance Care Planning to help individuals prepare for their deaths in advance. Japan’s long-term care system and health insurance are supplemented with end-of-life care programs to ensure that individuals nearing the end of life are cared for both at home and in institutional settings. Additionally, the Japanese government has expanded its hospice housing, which combines the features of home and medical care facilities, to offer individuals more choices regarding where and how they would die with dignity. These initiatives may offer valuable insights for Korean policymakers, particularly in shaping end-of-life care programs.

초록

초고령사회인 일본은 2040년 고령 인구가 정점을 찍음과 동시에 사망 노인 수도 최고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면서 다사(多死) 사회를 준비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다양한 대응을 시도하고 있다. 후생노동성은 사전에 자신의 죽음을 준비할 수 있도록 인생회의(ACP: Advance Care Planning)1)캠페인을 벌이고 있으며, 개호보험과 의료보험 제도를 통해 자택과 시설에서의 말기 케어를 위한 지원책으로 말기 케어 가산 제도를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인이 희망하는 죽음의 장소에 대한 고민과 존엄한 죽음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으로 병원과 집의 중간 형태인 호스피스 주택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향후 한국 사회에도 적용할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