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183개 논문이 있습니다.

21 기획 영국의 가정외 보호 아동·청소년 자립지원 정책System Support for Care Leavers in England
이상정(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서비스정책연구실 연구위원)
Lee, Sang Ju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겨울호, 통권 31호, pp.5-14 https://doi.org/10.23063/2024.12.1
초록보기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England’s support policies for children and youth transitioning out of out-of-home care and draw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s independent-living support system. The research particularly explores the target population and key components of England’s care leaver support, service delivery, and the workforce responsible for providing these services. Several lessons from England’s system offer policy insights for Korea. First,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unified system of protection and service delivery for at-risk children and adolescents. Second, the workforce, including personnel responsible for child protection and those delivering independent-living support services, needs to be expanded. Third, it is essential to design and implement measures that clearly assign the responsibility of maintaining contact with individuals aging out of out-of-home care.

초록

이 글은 잉글랜드(England)를 중심으로 가정외 보호 아동・청소년 자립준비청년 지원 정책에 대한 영국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자립지원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영국의 자립지원 정책 대상과 자립지 원서비스, 전달체계와 핵심 인력 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자립지원 정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우선, 위기 아동・청소년 보호 및 지원 관련 단일화된 전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아동 보호전담요원, 자립지원전담인력 등 자립지원 인력 확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18세 전후 보호종료 아동・청소년에 대한 연락 유지 책임을 명확히 하고, 연락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와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초록보기
Abstract

Switzerland is a country where assisted suicide is legal and practiced predominantly by such organizations as EXIT and Dignitas. Assisted suicide in Switzerland, administered mostly to terminal cancer patients, accounts for an estimated 2.1 percent of all deaths in the country. The UK presents a high quality-of-death index on the strength of a well-integrated system of palliative and hospice care. The UK government has enhanced the quality of end-of-life care through strategic support and an integrated approach, emphasizing the education of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community-based support. In contrast, Switzerland, while offering, through the legalization of assisted suicide, the freedom to determine the manner of death for terminally ill individuals, has room for improvements in the accessibility and quality of palliative care, as suggested by the fact that its health system remains segmented across subnational regions. Switzerland also needs increased effort in raising public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palliative care.

초록

스위스는 조력자살(AS)이 합법화된 국가로, 주로 EXIT와 Dignitas와 같은 단체가 이를 지원한다. 스위스에서의 조력자살은 전체 사망자의 2.1%를 차지하며, 말기 암환자가 주 대상이다. 반면 영국은 완화의료와 호스피스 서비스가 잘 통합되어 있어 높은 죽음의 질 지수를 기록하고 있다. 영국은 정부의 전략적 지원과 통합적 접근을 통해 말기 돌봄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의료진의 전문 교육과 지역사회 기반의 지원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 스위스는 조력자살의 합법화를 통해 임종 결정에 대한 개인적 자유를 보장하고 있으나 지역 간 불균형과 분절된 의료 시스템으로 인해 완화의료 서비스의 접근성과 질에서 개선된 접근이 요구되며 완화의료에 대한 공공의 인식과 이해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23 기획 생애말기 자기결정 관련 제도 동향: 유럽 4개국의 에이드 인 다잉(Aid in dying)End-of-Life Decisions and Aid in Dying: Current Situations in Four European Countries
신지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 ; 백주하(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
Shin, Jiyou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Baek, Juha(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가을호, 통권 30호, pp.17-27 https://doi.org/10.23063/2024.09.2
초록보기
Abstract

End-of-life decisions may include matters concerning a living will, hospice care, life-sustaining treatments, and preferred funeral arrangements. Another important end-of-life decision pertains to euthanasia, which, permitted in some European countries, is also called physician-assisted suicide or aid in dying, depending on the method used for ending life. These countries have legal provisions in place that authorize the practice of euthanasia. In this article, we explore the euthanasia systems implemented in selected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the Netherlands, Switzerland, Belgium, and Spain.

초록

생애말기 자기결정 관련 제도에는 호스피스 이용 여부, 연명의료 중단 여부, 장례의 진행 방식 및 유언 등 여러 가지 결정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그중 제한적인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또 다른 생애말기 결정 사항 중 하나는 바로 안락사(의사조력자살)에 대한 결정이다. 유럽의 일부 국가에서는 안락사를 허용하고 있는 경우가 있으며, 생을 마감하는 방식에 따라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죽음에 대한 도움 등의 표현으로 불리고 있다. 이러한 국가들은 안락사를 시행하는 행위를 비범죄화하는 문구를 법률에 포함하기도 한다. 이 글에서는 네덜란드, 스위스, 벨기에, 스페인을 포함한 일부 유럽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안락사 제도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4 기획 주요국의 연명의료결정제도 동향: 미국, 대만, 영국을 중심으로Trends in Life 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in the United States, Taiwan and the United Kingdom
최소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연구원)
Choi, Soyou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가을호, 통권 30호, pp.5-16 https://doi.org/10.23063/2024.09.1
초록보기
Abstract

As attention grows around the notion of a ‘good death’, some countries have put in place policies to support a dignified end of life. Instituted as part of advance care planning, initiative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though varying by country in their methods, criteria, and procedures, share the common goal of respecting patients’ preference of death over specific treatments and ensuring their self-determination through the appointment of a health care agent. Korea adopted a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in February 2018, following the corresponding legislation enacted two years earlier. The practices from selected countries, as discussed here, offer a point of reference that Korea could look for guidance when seeking to enhance and ensure patients’ self-determination in end-of-life care.

초록

좋은 죽음(good death)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여러 국가는 존엄한 생애 말기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국가마다 사전돌봄계획(ACP: Advance Care Planning)의 일부로 연명의료결정제도를 도입한 방식과 이행 시기, 절차 등은 다양하지만, 사전연명의료의향서로 거부하는 치료 내용과 죽음에 대한 선호를 반영하고 대리인 지정 제도를 통해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한국은 2018년 2월 「연명의료결정법」을 시행하면서 ‘연명의료결정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주요국의 사례를 참고한다면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25 국제사회보장동향 독일의 난민 지원 정책의 현황Trends in Refugee Assistance Policy in Germany
정다은(독일 레겐스부르크대학교 법학 박사과정)
Chong, Da-Eun(Universität Regensburg)
2024년 여름호, 통권 29호, pp.123-128 https://doi.org/10.23063/2024.06.10
26 기획 독일의 기후보호 정책과 녹색전환Germany’s Climate Protection Policy and Green Transformation
임운택(계명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Lim, Woontaek(Keimyung University)
2024년 여름호, 통권 29호, pp.55-66 https://doi.org/10.23063/2024.06.5
초록보기
Abstract

Ever since the ‘energy transition’ debate in the 1980s, Germany has consistently pursued government-led climate policies. With the enactment in 2023 of the Climate Protection Act, Germany has set out to become a ‘climate-neutral’ country by 2045, rolling out various policy measures in a bid to reduce carbon emissions. The German Climate Protection strategy not only aims to reduce carbon emissions but also seeks to drive a large-scale industrial shift by integrating energy schem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olicies. The German approach to ‘green transition’—innovating through government-led technological promotion, keeping social innovation ahead of the market, and promoting industrial support in one—offer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eco-sustainability and future market opportunities.

초록

독일은 1980년대 ‘에너지 전환’ 논쟁 이후 꾸준히 정부 주도로 기후정책을 추진해 왔다. 2023년 개정된 기후보호법은 2045년까지 독일이 기후중립국가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독일 정부는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한 다양한 정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기후보호법은 탄소배출 감축만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이 기회에 독일의 에너지 정책과 기술혁신 정책을 결합하여 대대적인 산업전환 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소위 녹색전환은 정부의 기술촉진을 통한 혁신과 시장에 앞서는 사회혁신, 산업지원 정책을 결합하여 산업사회의 위험을 낮추고, 생태친화적이면서도 미래시장 개척적인 함의를 가진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27 기획 프랑스의 탄소중립 정책 동향: 성과와 향후 과제France’s Net-Zero Policy: Ambitions and Challenges
이유현(아주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
Lee, Youhyun(Ajou University)
2024년 여름호, 통권 29호, pp.43-54 https://doi.org/10.23063/2024.06.4
초록보기
Abstract

France’s response to the climate crisis consists of well-structured carbon-neutral policies encompassing various legislative acts and strategic plans that pursue a well-balanced mix of nuclear power and renewables. These carbon-neutral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through various national low-carbon strategies, multi-year energy programs, eco-environmental plans, and climate and energy strategies, all underpinned by a series of legal frameworks such as the Energy and Climate Act, the Climate Recovery Act, the Green Industry Act, and the Fast-Tracking Renewable Energy Protection Act. Having met with success in reducing greenhouse gases, increasing its effort to increase the share of such renewables as solar and wind power in energy consumption, and citizen-led legislation, France is now at work to speed up its energy transition and advance the role of nuclear power as a carbon-free energy source.

초록

프랑스는 원자력과 재생에너지의 조화에 기반한 다양한 입법과 계획을 포함하는 체계적인 탄소중립 정책을 수립하여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있다. 저탄소 국가전략, 에너지 다년 프로그램, 생태계획, 기후에너지 전략 등의 계획을 수립하여 탄소중립 정책을 구체화하고 있으며, 이를 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에너지기후법, 기후회복법, 녹색산업법, 재생에너지 생산촉진법을 잇달아 제정하였다. 프랑스는 온실가스 감축과 태양광 및 육상풍력 중심의 재생에너지 비중 강화, 시민 주도 입법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나 에너지전환 속도의 개선, 무탄소 에너지원으로서의 원자력의 역할 재정립 등의 한계를 고민하고 있다.

28 기획 북유럽의 기후변화 대응 동향: 핀란드와 덴마크의 정의로운 전환 사례를 중심으로The Nordic Responses to Climate Change: The Just Transition in Finland and Denmark
황남희(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구정책기획단 연구위원)
Hwang, Namhui(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여름호, 통권 29호, pp.28-42 https://doi.org/10.23063/2024.06.3
초록보기
Abstract

In this article, I give an overview of the progress of the just transition in two Nordic countries, Finland and Denmark. Specifically, this article explores the significant role Finland’s labor unions have played in a just transition and the Danish government’s active support for green-transition technology. I look in particular at the social protection programs involved, as, for a successful just transition, it is essential to ensure that support is provided for workers who would take up roles in the decarbonized economy, for their occupational retraining as well as income support while they are on training. The case analys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efining distinct roles for various stakeholders, fostering collaboration among them, and establishing a society-wide response mechanism.

초록

이 글은 북유럽 국가 중 핀란드와 덴마크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 중인 정의로운 전환(Just Transition)과 관련한 동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핀란드는 정의로운 전환 추진 과정에서 노조의 적극적인 역할을, 덴마크는 녹색전환기술을 적극 지원하는 국가 차원의 추진 사례를 검토하였다. 성공적인 정의로운 전환을 위해서는 탈탄소 경제를 이끌 근로자 대상 대대적인 직업 재교육 지원과 교육 기간 중 근로자의 소득보장이 핵심이라는 점에서 관련 사회보장제도를 함께 살펴보았다. 이러한 사례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기후변화 대응 과정에서 다양한 주체의 역할 분담과 협력의 중요성, 사회 시스템의 전반적인 대응 필요성을 함의로 제시하였다.

29 국제사회보장동향 독일의 가정폭력 실태와 정책적 대응Domestic Violence in Germany: Current Situation and Policy Response
정다은(독일 레겐스부르크대학교 법학 박사과정)
Chong, Da-Eun(Universität Regensburg)
2024년 봄호, 통권 28호, pp.135-139 https://doi.org/10.23063/2024.03.11
30 국제사회보장동향 프랑스 이민 개혁 정책과 그 내용France’s Recent Immigration Reform: Key Content and Implications
김진리(토론토대학교 사회학과 박사과정)
Kim, Jinri(University of Toronto)
2024년 봄호, 통권 28호, pp.123-127 https://doi.org/10.23063/2024.03.9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