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도자료

간호사 인력의 수급추계와 정책과제

  • 작성일 2007-01-24
  • 조회수 3,349
□ 급속한 노령화, 장기요양보험 및 가정간호제도의 도입, WTO 협상에 따른 의료인력 시장의 개방 등 간호인력과 관련된 대내외적 여건이 급속히 변화하고 있어 이를 감안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인력 수급 정책의 수립이 요구되고 있음.
□ 간호사 공급 현황과 의료이용량을 근거로 하여 간호사 인력의 수급을 추계한 결과 가용간호사를 기준으로 할 경우 간호인력 공급이 수요를 충족하고 남는 시기가 있으나, 취업간호사를 기준으로 할 경우 전반적으로 2018년을 전후한 시기까지는 인력공급이 부족할 것으로 추계됨.
□ 간호사 인력의 수급과 관련한 정책 제안은 다음과 같음.
○ 향후 보건의료인력의 수급과 관련하여서는 특정한 하나의 전문인력의 수급을 연구하는 것보다 전반적인 보건의료 시설이나 인력 등 총체적인 계획 하에서 연구되어야 할 것임.
○ 간호사 인력의 양적 측면 이외에 직적인 측면을 고려하기 위하여 관련 학제 및 교과과목 등 간호사 인력 양성에 대한 별도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 특히 현재 3년제와 4년제로 구분되어 있는 대학 교육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
○ 현재 취업중인 간호사의 이직을 방지하고 유휴 간호사 인력을 취업부분으로 유도해 내는 등 간호사 인력의 취업률을 제고하여야 함. 이를 위해 간호사의 근무조건을 개선하고 시간제 근무를 활성화시키며, 유휴인력의 재취업을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함.

첨부파일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 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금지, 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