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도 자료
신규 연구보고서 발간

『사회적투자 성과지표 개발 연구: 청년 학자금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 신규 연구보고서 발간
  • 엠비티아이(MBTI)로 알아보는 보사연
  • 신규 연구보고서 발간
  • KCI 등재지 『보건사회연구』발간
  • 10년 간 청소년 비만 늘고, 신체활동은 제자리…
  • 신규 연구보고서 발간

    신규 연구보고서 발간

  • 엠비티아이(MBTI)로 알아보는 보사연

    엠비티아이(MBTI)로 알아보는 보사연

  • 신규 연구보고서 발간

    신규 연구보고서 발간

  • KCI 등재지 『보건사회연구』발간

    KCI 등재지 『보건사회연구』발간

  • 10년 간 청소년 비만 늘고, 신체활동은 제자리…

    10년 간 청소년 비만 늘고, 신체활동은 제자리…

발간물

발간자료 바로 찾기 ▶

리서치 키하사 바로가기
보고서
1/2
연구보고서 2024-07 기업 특성별 복지제공 양상 및 복지태도에 관한 연구

연구책임자 고혜진

이 연구에서는 향후 공공사회보장 재원 분담에서 기업과 정부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기업의 특성에 따른 기업의 복지 제공 양상과 복지 태도를 분석한다. 이때, 기존 연구의 논의 범위를 넓혀 기업이 자체적으로 도입하는 법정 외 복지 이외에 공공 사회보장 운용을 위한 법정 복지 비용도 망라하여 검토한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기업의 특성에 따라서 기업 단위에서의 복지 제공과 수준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 특성에 따라 기업이 보이는 복지 태도는 무엇이 다른지 검토한다. 이때, 주요 특성으로는 기업의 규모와 산업 부문(업종), 고용 형태별 인력 구성과 노조 유무 등을 폭넓게 고려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세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 번째는, 기업 복지의 배제적 속성을 고려하여, 취약 근로자에 대한 공공복지 확대를 제안한다. 또한, 기업 단위의 부담 의사가 적은 전 사회적 차원의 문제인 돌봄 등의 지원에서 공공의 역할 및 책임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마지막으로, 기업 간 상생협력을 통해 소규모 기업 종사자의 복지 수준 제고를 도모해야 하겠다.

자세히 보기

정기간행물
1/3
  • 이주민과 사회통합에 대한 국민 인식
  • 노인 빈곤, 계속 낮아질 수 있을까?
  • 장애인 지원체계와 대상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