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30개 논문이 있습니다.

1 국제사회보장동향 독일의 임신갈등 상담 제도Germany’s System for Pregnancy Conflict Counseling
정다은(독일 레겐스부르크대학교 법학 박사과정)
Chong, Da-Eun(Universität Regensburg)
2024년 겨울호, 통권 31호, pp.124-129 https://doi.org/10.23063/2024.12.10
2 기획 독일의 장애인 지원체계와 대상자 선정 방법Germany's Disability Support System and Benefit Eligibility Criteria
이주화(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연구교수)
Lee, Ju Hwa(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25년 봄호, 통권 32호, pp.20-38 https://doi.org/10.23063/2025.03.2
초록보기
Abstract

Germany’s disability support can be classified generally into three types based on recipient selection criteria. The first type targets individuals registered as disabled. The second type, also based on disability registration, extends support to individuals at risk of developing a disability. For the third category, beneficiaries are selected based on the objectives each service aims to achieve. Such flexibility in the selection criteria has helped close gaps in support and enhance the stability of the support system. The German disability registration system, underpinned by an inclusive disability determination approach, plays a crucial role in ensuring that those in need of disability benefits are not left unsupported. The German case demonstrates that it is possible to put into practice a disability registration system with a balance of administrative efficiency, social inclusiveness, and fairness. In this study, I examine how Germany’s disability support system is administered based on disability registration and in accordance with recipients’ needs for income support, employment benefits, and care. I also discuss it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초록

독일의 장애인 지원제도는 수급자 선정 방식을 기준으로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 장애인등록제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 둘째, 등록제를 기본으로 하되 장애 위험이 있는 사람까지 포함하는 방식, 셋째, 개별 급여의 목적에 따라 수급자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이처럼 유연한 수급자 선정 구조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지원체계의 안정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특히 독일의 장애인등록제는 포괄적인 장애 인정 방식에 기초하여, 실질적으로 급여가 필요한 사람이 배제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독일의 사례는 장애인등록제 운영에 있어 행정적 효율성, 복지의 포괄성, 공정성 간의 균형을 고려한 제도 설계가 가능함을 보여 준다. 이 글에서는 독일의 장애인등록기준과 소득, 고용, 돌봄제도의 대상자 선정 기준을 살펴보고, 이러한 체계가 한국의 장애인등록제에 주는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3 기획 독일 아동보호 및 자립지원서비스 정책 현황 및 쟁점Child Protection and Self-reliance Services in Germany: Policies and Issues
홍문기(완주군청 교육정책과 주무관)
Hong, Moonki(Wanju County Office)
2024년 겨울호, 통권 31호, pp.15-31 https://doi.org/10.23063/2024.12.2
초록보기
Abstract

Germany aims, through its universal social policies, to achieve an adequate quality of life—not merely a minimum standard of living—for children, adolescents, youth, and their families. These policies have established a system of support measures to address the various needs of children and their families, reducing the burden of child care on families and helping families restore their functions. For children and youth of an age range that requires protection but whose families are unable to give them sufficient support, federal youth welfare offices step in to offer strong assistance until these individuals can live independently. Germany’s youth independent living support system, designed to help children and young people in its care develop into healthy, contributing members of society, places special emphasis on education and job preparation.

초록

독일은 모든 아동과 청소년, 청년과 가족에게 최소한의 보장이 아닌 적절한 삶의 질을 보장하는 보편적 정책을 추진한다. 이러한 정책은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아동, 가족 문제에 대한 다양한 지원체계를 마련함으로써 양육 부담을 경감하고, 가정이 자생적으로 기능을 회복하도록 돕는다. 가정의 고유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 아동 보호가 필요한 시점부터 보호가 종료되는 자립준비청년까지 청소년청을 중심으로 강력한 지원체계를 갖추어 지원한다. 독일은 보호아동과 자립준비청년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며 온전한 자립이 가능하도록 교육과 직업에 중점을 둔 정책을 펼치고 있다.

4 국제사회보장동향 독일의 난민 지원 정책의 현황Trends in Refugee Assistance Policy in Germany
정다은(독일 레겐스부르크대학교 법학 박사과정)
Chong, Da-Eun(Universität Regensburg)
2024년 여름호, 통권 29호, pp.123-128 https://doi.org/10.23063/2024.06.10
5 기획 독일의 기후보호 정책과 녹색전환Germany’s Climate Protection Policy and Green Transformation
임운택(계명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Lim, Woontaek(Keimyung University)
2024년 여름호, 통권 29호, pp.55-66 https://doi.org/10.23063/2024.06.5
초록보기
Abstract

Ever since the ‘energy transition’ debate in the 1980s, Germany has consistently pursued government-led climate policies. With the enactment in 2023 of the Climate Protection Act, Germany has set out to become a ‘climate-neutral’ country by 2045, rolling out various policy measures in a bid to reduce carbon emissions. The German Climate Protection strategy not only aims to reduce carbon emissions but also seeks to drive a large-scale industrial shift by integrating energy schem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olicies. The German approach to ‘green transition’—innovating through government-led technological promotion, keeping social innovation ahead of the market, and promoting industrial support in one—offer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eco-sustainability and future market opportunities.

초록

독일은 1980년대 ‘에너지 전환’ 논쟁 이후 꾸준히 정부 주도로 기후정책을 추진해 왔다. 2023년 개정된 기후보호법은 2045년까지 독일이 기후중립국가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독일 정부는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한 다양한 정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기후보호법은 탄소배출 감축만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이 기회에 독일의 에너지 정책과 기술혁신 정책을 결합하여 대대적인 산업전환 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소위 녹색전환은 정부의 기술촉진을 통한 혁신과 시장에 앞서는 사회혁신, 산업지원 정책을 결합하여 산업사회의 위험을 낮추고, 생태친화적이면서도 미래시장 개척적인 함의를 가진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6 국제사회보장동향 독일의 가정폭력 실태와 정책적 대응Domestic Violence in Germany: Current Situation and Policy Response
정다은(독일 레겐스부르크대학교 법학 박사과정)
Chong, Da-Eun(Universität Regensburg)
2024년 봄호, 통권 28호, pp.135-139 https://doi.org/10.23063/2024.03.11
7 기획 독일 연방정부의 외로움 대응 전략The German Federal Government’s Strategy for Tackling Loneliness
정다은(독일 레겐스부르크대학교 법학 박사과정)
Chong, Da-Eun(Universität Regensburg)
2023년 겨울호, 통권 27호, pp.17-28 https://doi.org/10.23063/2023.12.2
초록보기
Abstract

As social awareness grows of loneliness and its adverse and grave impact, some countries have recognized it as a social risk and have taken actions from various angles to address it. Germany, in particular, has drawn attention with its Federal Ministry of Family Affairs, Senior Citizens, Women, and Youth recently initiating efforts to implement its “Strategy against Loneliness.” This article explores the current state of loneliness in Germany, as well as the features and components of the Strategy against Loneliness.

초록

외로움의 부정적 영향 및 심각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증가하면서 일부 국가들은 외로움을 사회적 위험으로 인정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독일 연방정부 또한 ‘외로움 대응 전략(Strategie gegen Einsamkeit)’을 통해 적극적 대응에 나서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이 글에서는 독일 사회의 외로움 실태에 대해 알아보고 독일 연방 가족・노인・여성・청소년부가 추진 중인 외로움 대응 전략의 구체적 내용 및 특징을 파악한다.

8 국제사회보장동향 존엄한 죽음을 위한 독일의 사회보장제도The Social Security System in Germany for Patients’ Autonomy at the End of Life
김예지(독일 에를랑겐-뉘른베르크대학교 노년학 박사후보)
Kim-Knauss, Yaeji(Friedrich-Alexander-Universität Erlangen-Nürnberg)
2023년 가을호, 통권 26호, pp.131-136 https://doi.org/10.23063/2023.09.11
9 기획 독일의 출산 추이와 가족정책의 연관성에 대하여Fertility Trends and Family Policy in Germany: How are they related?
노버트 F. 슈나이더(연방인구연구소 선임연구원) ; 마리아 M. 벨린저(연방 외무부 컨설팅 부서장)
Schneider, Norbert F.(Federal Institute for Population Research) ; Bellinger, Maria M.(Federal Foreign Office)
2023년 가을호, 통권 26호, pp.16-24 https://doi.org/10.23063/2023.09.2
초록보기
Abstract

Germany has been one of the “lowest low fertility countries” for almost fifty years. For several decades, Germany has also been one of the countries worldwide that spend the most on family policy services, measured in terms of gross domestic product (ca. 3%). During the years 2011 to 2021 Germany has been able to record a moderate increase in its birth rate from 1,39 to 1,58. In 2022, however, the birth rate fell again significantly. Against this background, the article addresses two questions: What are the reasons for the moderate recovery of the birth rate in the last years? What role do family policy measures play in this?

초록

독일은 50년 가까이 출산율이 낮은 나라 중 하나이다. 동시에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장 많은 자원(약 3%)을 수십 년 동안 가족정책에 투입한 국가군에 속한다. 2011년부터 2021년까지 독일은 출산율을 1.39에서 1.58로 소폭 끌어올릴 수 있었지만 2022년 다시 큰 폭의 출산율 하락을 겪었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미미하기는 해도 독일의 출산율이 회복세로 돌아설 수 있었던 원인은 무엇인가?’, ‘그 과정에서 가족정책은 어떤 역할을 했는가?’라는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모색한다.

10 국제사회보장동향 독일 아동·청소년지원법 개정 동향Trends in Revision of the Child and Youth Support Law in Germany
홍문기(완주군청)
Moonki, Hong(County of Wanju)
2022년 겨울호, 통권 23호, pp.141-145 https://doi.org/10.23063/2022.12.13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