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88개 논문이 있습니다.

1 이슈분석 자살예방의 공중보건적 관점과 시사점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of a Public Health Approach to Suicide Prevention
최민재(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연구원) ; 신상수(멜버른대학교 보건대학원 연구원) ; 기명(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이요한(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교수)
Choi, Minjae(Korea University) ; Shin, Sangsoo(University of Melbourne) ; Ki, Myung(Korea University) ; Lee, Yo Han(Korea University)
2025년 가을호, 통권 34호, pp.103-117 https://doi.org/10.23063/2025.09.8
초록보기
Abstract

Suicid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ublic health issues worldwide, with causes that are multifaceted and complex. Suicide is more than an individual problem and is influenced by broader social and structural contexts. A public health approach has an important role in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For World Suicide Prevention Day 2024, The Lancet Public Health published a series titled ‘A Public Health Approach for Suicide Prevention’. This series presents suicide prevention from a public health perspective. In particular, the series highlights the role and importance of a public health approach and covers factors such as access to means of suicide, economic downturns and their effects, the spread of suicide risk through media, and other major societal-level risk factors. Lastly, the series presents public health actions for suicide prevention in its final section. This article summarizes the key messages from the six papers in the series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s for suicide prevention policy in South Korea.

초록

자살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공중보건 이슈 중 하나이며, 그 원인은 다층적이고 복합적이다. 자살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구조적 맥락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공중보건적 접근이 자살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2024년 세계자살예방의 날을 맞아 랜싯 퍼블릭 헬스(Lancet Public Health) 학술지에서는 ‘A Public Health Approach for Suicide Prevention’ 시리즈를 발표하였다. 이 시리즈는 자살예방을 공중보건적 관점에서 조명하며 지금까지 수행된 주요 연구와 그 결과를 정리함과 동시에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공중보건적 접근의 역할과 의의, 자살수단 접근성, 경기침체 및 경제적 영향, 미디어를 통한 자살위험 확산, 사회적 차원의 주요 위험 요인 등을 자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를 예방하기 위한 전략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다룬 뒤 이에 대한 공중보건적 자살예방 실천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총 6편으로 구성된 이 시리즈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한국 자살예방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2 국제사회보장동향 유럽연합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 전략의 최근 동향Critical Medicines Initiative of European Union
박실비아(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의료정책연구실 연구위원)
Park, Sylvia(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5년 여름호, 통권 33호, pp.115-120 https://doi.org/10.23063/2025.06.9
3 국제사회보장동향 대만의 국민정신건강 회복력 계획 (2025∼2030년)(全民心理健康韌性計畫)Whole-of-Society Mental Health Resilience in Taiwan
박주현(한국보건사회연구원 건강보장정책연구실 연구원)
Park, Ju Hyun(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5년 봄호, 통권 32호, pp.124-130 https://doi.org/10.23063/2025.03.9
4 이슈분석 미국의 건강보장제도 확대에 대한 논의Recent Trends and Issues in Universal Health Coverage in the US Can Medicare for All Become a Reality?
정소윤(뉴욕주립대학교 정책학과 박사과정)
Jeong, Soyun(University at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2024년 겨울호, 통권 31호, pp.72-84 https://doi.org/10.23063/2024.12.6
초록보기
Abstract

The US Medicare program, managed by the federal government, was introduced in 1965 for older adults. Medicare is considered a general program, as it is available to anyone aged 65 or older, regardless of income level, employment status, or health status. However, Medicare has a rather complicated structure, with private insurers involved and coverage divided into Parts A, B, C, and D. Recently, as health service use has grown with the aging population, leading to a rise in health care spending, concerns have arisen about the financial sustainability of Medicare. Adding to these concerns, Medicare enrollees are facing growing difficulties in accessing health services due to rising claim denials and increasing pre-authorization requirements. The current situation warrants an examination of Medicare’s status and the options underway to improve its sustainability and expand its benefit coverage. “Medicare for All” is one of the reform directions aimed at transforming the health insurance program from the current multi-insurer system to a single-insurer model, with a view to providing a more comprehensive range of health services to all. Numerous attempts to make Medicare a single-insurer scheme have been unsuccessful. Achieving this goal requires, above all, financial sustainability and political consensus. Such a shift seems unlikely to occur any time soon at the federal level, though state-based reforms may be more feasible. The US government is likely to pursue gradual reforms, instead of enacting drastic changes, to expand Medicare benefits.

초록

미국의 메디케어는 1965년에 처음 제정된 노령 인구를 위한 건강보험 제도로, 연방정부에서 운영을 맡고 있다. 메디케어는 만 65세 이상이 되는 시점에 소득과 직업, 건강 상태 등과 상관없이 누구나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보편적 성격의 사회보장제도로 여겨진다. 그러나 민간 보험사도 프로그램 운영에 참여하고, 메디케어 혜택이 파트 A, B, C, D로 나뉘어 구성되는 등 다소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최근 인구 고령화에 따른 의료서비스 이용률 및 의료비 증가를 이유로 정책의 재정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메디케어 보험 청구 거절 및 의료서비스 사전 승인 절차가 늘어나면서 수혜자들이 의료서비스 접근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메디케어의 현황을 점검하고, 정책 지속성과 보장 혜택 확대를 위한 개혁 방안을 논의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모두를 위한 메디케어(Medicare for All)는 메디케어 개혁 방안 중 하나로, 기존의 파편화된 메디케어 시스템을 단일 보험자 체계로 전환하여 모든 국민에게 보다 포괄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동안 단일 보험자 체계로의 전환을 위한 많은 노력이 있었지만 성공적이지는 못했다. 무엇보다 지속 가능한 재원 확보와 정치적 합의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방정부 차원의 단일 보험자 체계 전환은 단기간 내에 이루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주정부 중심의 개편이 보다 현실적인 방안으로 여겨진다. 미국 정부는 급진적인 정책 변화보다 점진적인 개혁을 통해 메디케어 혜택을 확장하기 위한 전략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5 이슈분석 미국 메디케어의 치매 환자 및 가족 지원 사업 사례: GUIDE 모델을 중심으로US Medicare’s Dementia Support Program for Patient and Caregivers
김수진(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연구위원)
Kim, Sujin(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겨울호, 통권 31호, pp.49-60 https://doi.org/10.23063/2024.12.4
초록보기
Abstract

As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continues to rise, the absence of a long-term care system and support scheme has long added considerably to the physical, mental, and financial burdens not only on patients themselves but also on their families and caregivers. Medicare, a public health insurance program for people aged 65 and older, as well as people with disabilities, launched its Guiding an Improved Dementia Experience (GUIDE) model in July 2024, aiming to reduce the care burden on families and help people with dementia continue living in their communities. The GUIDE model offers coordinated care, care management services, and ad-hoc nursing care for patients, along with support and education for family caregivers. Participating entities must have physicians and care navigators capable of managing dementia patients. Whether the GUIDE model will continue will be determined based on assessments following its 8-year pilot phase.

초록

치매 환자의 증가와 함께, 다른 한편으로 장기요양서비스 및 포괄적 관리와 지원 체계의 부재는 치매 환자뿐 아니라 가족과 돌봄제공자에게 상당한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부담을 야기해 왔다. 미국의 65세 이상 노인과 장애인 대상 공보험인 메디케어는 치치매 환자의 지역사회 거주 기간을 늘리고 가족 돌봄제공자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2024년 7월 GUIDE(Guiding an Improved Dementia Experience) 사업을 시작했다. 사업은 케어 조정 및 관리, 가족돌봄자 지원 및 교육, 치매 환자에 대한 임시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며 참여기관은 이를 위해 치매 관리 역량이 있는 의사와 케어 내비게이터(care navigator)를 필수적으로 두어야 한다. 8년 시행 후 평가를 통해 사업의 지속성이 결정될 예정으로 향후 관찰이 필요하다.

6 국제사회보장동향 미국의 2024 국가자살예방전략The 2024 National Strategy for Suicide Prevention in the United States
최소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연구원)
Choi, Soyou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가을호, 통권 30호, pp.133-137 https://doi.org/10.23063/2024.09.11
7 국제사회보장동향 미국의 코로나19 이후 메디케이드 행정 감소 방안에 대한 고찰Reducing Administrative Burdens in Medicaid After the COVID-19 Pandemic
정소윤(뉴욕주립대학교 정책학과 박사과정)
Jeong, Soyun(University at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2024년 가을호, 통권 30호, pp.127-132 https://doi.org/10.23063/2024.09.10
8 이슈분석 유럽과 일본의 온라인 의약품 처방 정보 활용과 시사점The Use of Online Prescription Information in Europe and Japan and Its Implications
박은자(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연구위원)
Park, Eunja(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가을호, 통권 30호, pp.115-124 https://doi.org/10.23063/2024.09.9
초록보기
Abstract

With the growing utilization of e-prescriptions, the use of online prescription information as part of personal health records has gained increasing attention. The EU has built an international system of e-prescription and e-dispensation that enables users to overcome geographic and linguistic barriers. Japan last year adopted the use of e-prescriptions and, by linking online prescription information with the patient’s “electronic medication notebooks,” allowed physicians and pharmacists to keep track of all the medication intakes. The EU and Japan exemplify how online prescription information can enhance the quality of health care services and make medication intake safer and more effective.

초록

온라인 의약품 처방 정보는 개인건강기록(PHR)의 한 종류로 전자처방전의 사용이 늘면서 정보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유럽연합(EU)에서는 국제 전자처방전 및 전자 조제시스템을 구축하여 EU 회원국 사이에 의약품 처방 및 조제에 관한 지리적 제약과 언어적 한계를 극복하였다. 일본은 지난해 전자처방전을 도입하였고 온라인 의약품 처방 정보와 환자의 전자 약 수첩을 연계하여 환자가 복용하는 모든 의약품을 의료진과 약사가 검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유럽과 일본의 사례는 온라인 의약품 처방 정보가 의료서비스의 질 제고와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약품 복용에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고 하겠다.

9 이슈분석 임신 전 건강관리 지원에 대한 국제 동향과 함의: 중국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International Trends in Preconception Care Support Policies: A Focus on China and Japan
이나경(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전문연구원) ; 정연(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연구위원) ; 이재은(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전문연구원)
Lee, Nagyeo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Jung, Youn(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Lee, Jae-eun(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가을호, 통권 30호, pp.102-114 https://doi.org/10.23063/2024.09.8
초록보기
Abstract

To ensure healthy pregnancies and childbirths, it is important that interventions are made early on, building on an understanding of risk factors that may start having effects on pregnancy even before conception. As the importance of preconceptual health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at the international level, many countries have developed guidelines and policies for preconception care. China and Japan are examples of countries where preconception care services are provided at both national and local levels in a comprehensive range, encompassing education, health checkups, and consultations. This article examines these preconception care services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s for policymaking in Korea.

초록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해서는 임신 전부터 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인지하고 개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제적으로 임신 전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여러 국가들에서 임신 전 건강관리를 위한 지침이나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중국과 일본은 국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제공하는 임신 전 건강관리 서비스를 통해 임신 전 건강관리에 대한 교육과 건강검진, 상담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중국과 일본의 임신 전 건강관리 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 동향을 살펴보고, 한국의 임신 전 건강관리 지원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10 이슈분석 일본 인구 과소지역의 의료 확보 대책 사례와 시사점How Japan Has Improved Healthcare Accessibility in Depopulated Areas
김동진(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연구위원)
Kim, Dongjin(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가을호, 통권 30호, pp.86-101 https://doi.org/10.23063/2024.09.7
초록보기
Abstract

For many subnational regions, population outflows and the declining number of health care establishments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in a vicious cycle. Securing health care provision and access at local levels is not only crucial for the protection of health for the populations that remain in these areas; it is also a significant part of the response to local depopulation. Japan’s health care support measures for sparsely populated regions differ in program and delivery method from their counterparts in Korea. Japan’s efforts on this front offer valuable lessons for Korea as it strives to: improve the role division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develop mechanisms to address localities’ specific needs while maintaining local governments’ autonomy; attain the needed health care workforce, facilities, and equipment; strengthen the governance of local health care; and secure financial resources for necessary projects and activities.

초록

지방의 인구 유출과 의료기관 감소는 악순환의 고리로 연결되어 있으며, 지방에서 의료서비스 제공 체계를 확보하고 의료접근성을 유지하는 것은 지역에 남아 있는 주민의 건강 보호뿐 아니라 지방 인구감소 대응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일본 과소지역2) 의료 지원 대책은 한국의 인구감소지역 관련 정책과 비교하여 사업 내용과 추진 과정에서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 분담, 지자체 특수성과 지역 자율성이 반영되는 통로 마련, 의료 인력 및 시설・장비 확보, 지역 의료 거너번스 확대, 사업 추진을 위한 다양한 재원 확보 등의 측면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