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66개 논문이 있습니다.

1 이슈분석 자살예방의 공중보건적 관점과 시사점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of a Public Health Approach to Suicide Prevention
최민재(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연구원) ; 신상수(멜버른대학교 보건대학원 연구원) ; 기명(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이요한(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교수)
Choi, Minjae(Korea University) ; Shin, Sangsoo(University of Melbourne) ; Ki, Myung(Korea University) ; Lee, Yo Han(Korea University)
2025년 가을호, 통권 34호, pp.103-117 https://doi.org/10.23063/2025.09.8
초록보기
Abstract

Suicid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ublic health issues worldwide, with causes that are multifaceted and complex. Suicide is more than an individual problem and is influenced by broader social and structural contexts. A public health approach has an important role in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For World Suicide Prevention Day 2024, The Lancet Public Health published a series titled ‘A Public Health Approach for Suicide Prevention’. This series presents suicide prevention from a public health perspective. In particular, the series highlights the role and importance of a public health approach and covers factors such as access to means of suicide, economic downturns and their effects, the spread of suicide risk through media, and other major societal-level risk factors. Lastly, the series presents public health actions for suicide prevention in its final section. This article summarizes the key messages from the six papers in the series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s for suicide prevention policy in South Korea.

초록

자살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공중보건 이슈 중 하나이며, 그 원인은 다층적이고 복합적이다. 자살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구조적 맥락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공중보건적 접근이 자살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2024년 세계자살예방의 날을 맞아 랜싯 퍼블릭 헬스(Lancet Public Health) 학술지에서는 ‘A Public Health Approach for Suicide Prevention’ 시리즈를 발표하였다. 이 시리즈는 자살예방을 공중보건적 관점에서 조명하며 지금까지 수행된 주요 연구와 그 결과를 정리함과 동시에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공중보건적 접근의 역할과 의의, 자살수단 접근성, 경기침체 및 경제적 영향, 미디어를 통한 자살위험 확산, 사회적 차원의 주요 위험 요인 등을 자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를 예방하기 위한 전략의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다룬 뒤 이에 대한 공중보건적 자살예방 실천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총 6편으로 구성된 이 시리즈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한국 자살예방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2 이슈분석 영국의 준자립 주거 기반 아동・청소년 보호와 시사점England’s Child Protective Services Based on Semi-Independent Living Arrangements
이상정(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서비스정책연구실 연구위원)
Lee, Sang Ju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5년 가을호, 통권 34호, pp.63-73 https://doi.org/10.23063/2025.09.5
초록보기
Abstract

England provides various out-of-home protection services to children and adolescents in need of protection. Particularly distinct among these services is the Semi-Independent Living Arrangement (SILA), administered systematically for adolescents aged 16 and older, a group at a critical stage in preparing for independent living. About 8 percent of children in the out-of-home care system are supported through SILA. In this article I examine SILA in detail—considering the legal framework, operational structure, case management, assessment of varying support needs, and local government practices—and discuss how such a scheme, not yet implemented in Korea, could enhance Korea’s out-of-home childcare system.

초록

영국은 보호가 필요한 아동・청소년에게 다양한 유형의 가정외보호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만 16세 이상 아동・청소년의 자립을 준비하는 중요한 단계로서 ‘준자립 주거(Semi-independent Living Arrangements)’를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전체 보호 대상 아동 중 8%가 해당 준자립 주거 기반 공적 보호를 받고 있다. 한국에는 없는 가정외보호 유형인 준자립 주거 기반 보호 서비스를 중심으로 영국의 법적 기반, 운영 구조, 사례관리 방식, 서비스 수준 구분, 지방정부 운영 사례 등을 살펴보고, 한국의 아동보호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3 기획 스코틀랜드의 아동학대 대응체계Child Abuse Response System in Scotland
백지선(세인트앤드루스대학 인문지리학 박사과정 수료)
Baek, Jiseon(University of St. Andrews PhD candidate)
2025년 가을호, 통권 34호, pp.16-28 https://doi.org/10.23063/2025.09.2
초록보기
Abstract

In this article, I give an account of the conceptual framework of child abuse and the procedural steps taken in dealing with maltreatment cases in Scotland, and explore the implications that Scotland’s child protective system holds for policymaking in Korea. In Scotland, child protection is structured as a collaborative effort that involves multiple stakeholders. Community members are directly engaged, taking on key roles at various stages in the process of child protection. The role played by healthcare institutions in multi-stakeholder collaboration is especially underscored with all healthcare professionals involved in child protection required to complete mandatory child protection training, with the result that interventions by healthcare institutions in child protection are carried out systematically and in a well-organized manner. Scotland’s system demonstrates that Korea could benefit from structured multi-agency collaboration and greater community participation.

초록

이 글은 스코틀랜드의 아동학대 대응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코틀랜드의 아동학대 개념과 구체적인 아동학대 대응 단계, 나아가 스코틀랜드의 아동학대 대응체계가 한국 사회에서 어떠한 정책적 의미를 갖는지 설명하였다. 스코틀랜드는 다기관 협력을 통한 아동보호가 구조화되어 있다.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아동보호의 특정 단계에 직접 관여하고,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특히 다기관 협력에서 의료기관은 핵심 기관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으며, 아동보호에 참여하는 모든 의료종사자들은 아동보호 의무 교육을 이수하는 등 의료기관의 조직적인 아동보호 개입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스코틀랜드의 아동보호 체계는 한국에도 구조화된 다기관 협력과 적극적인 지역사회 참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4 이슈분석 홈리스 여성 실태조사의 해외 사례 검토: 영국, 캐나다, 미국 로스앤젤레스A Review of International Surveys on Homeless Women UK, Canada, and Los Angeles (USA)
이채윤(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과정) ; 임덕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보장정책연구실 연구위원)
Lee, Chaeyoon(School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 Lim, Deokyou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5년 여름호, 통권 33호, pp.97-111 https://doi.org/10.23063/2025.06.8
초록보기
Abstract

In Korea,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in 2011 of the Act on Support for Welfare and Self-Reliance of the Homeless, regular surveys have been conducted to capture the living conditions of homeless people, but with concerns persisting about the under-sampling of women. This article reviews surveys conducted in the UK, Canada, and the US on homeless women and draws lessons for policymaking in Korea. The UK case involves a census aimed at measuring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women sleeping rough. The Canadian survey is of the state of women’s housing and homelessness. The example from the US is a survey of the needs of homeless women in Los Angeles. These surveys, while varying in approach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policy contexts of each country, share the common goal of bringing visibility to homeless women and informing policymakers of their needs. The emphasis throughout is on the need for linking policy interventions with more flexible approaches that go beyond traditional survey methods to reveal the realities faced by homeless women.

초록

한국에서는 2011년 노숙인복지법 제정 이후 노숙인 등의 실태조사가 시행되고 있으나, 홈리스 여성이 과소 집계되는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이 글은 영국과 캐나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홈리스 여성을 대상으로 시행한 실태조사를 검토하여 한국의 홈리스 여성 실태 파악에 참조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국에서는 거리 노숙 여성 규모를 파악하기 위한 센서스, 캐나다에서는 여성의 주거와 홈리스 상태에 대한 실태조사,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는 홈리스 여성의 욕구 사정 조사가 각각 시행되었다. 이들 조사는 각 국가의 특성과 정책 환경에 따라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면서도 홈리스 여성의 가시성을 높이고, 이들의 욕구를 반영한 정책을 마련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이는 기존 조사 방식을 넘어 여성들의 실제 삶에 다가가려는 유연한 접근과 조사와 정책 개입 간의 연계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5 기획 영국의 가정외 보호 아동·청소년 자립지원 정책System Support for Care Leavers in England
이상정(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서비스정책연구실 연구위원)
Lee, Sang Ju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겨울호, 통권 31호, pp.5-14 https://doi.org/10.23063/2024.12.1
초록보기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England’s support policies for children and youth transitioning out of out-of-home care and draw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s independent-living support system. The research particularly explores the target population and key components of England’s care leaver support, service delivery, and the workforce responsible for providing these services. Several lessons from England’s system offer policy insights for Korea. First,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unified system of protection and service delivery for at-risk children and adolescents. Second, the workforce, including personnel responsible for child protection and those delivering independent-living support services, needs to be expanded. Third, it is essential to design and implement measures that clearly assign the responsibility of maintaining contact with individuals aging out of out-of-home care.

초록

이 글은 잉글랜드(England)를 중심으로 가정외 보호 아동・청소년 자립준비청년 지원 정책에 대한 영국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자립지원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영국의 자립지원 정책 대상과 자립지 원서비스, 전달체계와 핵심 인력 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자립지원 정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우선, 위기 아동・청소년 보호 및 지원 관련 단일화된 전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아동 보호전담요원, 자립지원전담인력 등 자립지원 인력 확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18세 전후 보호종료 아동・청소년에 대한 연락 유지 책임을 명확히 하고, 연락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와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초록보기
Abstract

Switzerland is a country where assisted suicide is legal and practiced predominantly by such organizations as EXIT and Dignitas. Assisted suicide in Switzerland, administered mostly to terminal cancer patients, accounts for an estimated 2.1 percent of all deaths in the country. The UK presents a high quality-of-death index on the strength of a well-integrated system of palliative and hospice care. The UK government has enhanced the quality of end-of-life care through strategic support and an integrated approach, emphasizing the education of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community-based support. In contrast, Switzerland, while offering, through the legalization of assisted suicide, the freedom to determine the manner of death for terminally ill individuals, has room for improvements in the accessibility and quality of palliative care, as suggested by the fact that its health system remains segmented across subnational regions. Switzerland also needs increased effort in raising public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palliative care.

초록

스위스는 조력자살(AS)이 합법화된 국가로, 주로 EXIT와 Dignitas와 같은 단체가 이를 지원한다. 스위스에서의 조력자살은 전체 사망자의 2.1%를 차지하며, 말기 암환자가 주 대상이다. 반면 영국은 완화의료와 호스피스 서비스가 잘 통합되어 있어 높은 죽음의 질 지수를 기록하고 있다. 영국은 정부의 전략적 지원과 통합적 접근을 통해 말기 돌봄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의료진의 전문 교육과 지역사회 기반의 지원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 스위스는 조력자살의 합법화를 통해 임종 결정에 대한 개인적 자유를 보장하고 있으나 지역 간 불균형과 분절된 의료 시스템으로 인해 완화의료 서비스의 접근성과 질에서 개선된 접근이 요구되며 완화의료에 대한 공공의 인식과 이해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7 기획 주요국의 연명의료결정제도 동향: 미국, 대만, 영국을 중심으로Trends in Life 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in the United States, Taiwan and the United Kingdom
최소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연구원)
Choi, Soyou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가을호, 통권 30호, pp.5-16 https://doi.org/10.23063/2024.09.1
초록보기
Abstract

As attention grows around the notion of a ‘good death’, some countries have put in place policies to support a dignified end of life. Instituted as part of advance care planning, initiative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though varying by country in their methods, criteria, and procedures, share the common goal of respecting patients’ preference of death over specific treatments and ensuring their self-determination through the appointment of a health care agent. Korea adopted a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in February 2018, following the corresponding legislation enacted two years earlier. The practices from selected countries, as discussed here, offer a point of reference that Korea could look for guidance when seeking to enhance and ensure patients’ self-determination in end-of-life care.

초록

좋은 죽음(good death)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여러 국가는 존엄한 생애 말기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국가마다 사전돌봄계획(ACP: Advance Care Planning)의 일부로 연명의료결정제도를 도입한 방식과 이행 시기, 절차 등은 다양하지만, 사전연명의료의향서로 거부하는 치료 내용과 죽음에 대한 선호를 반영하고 대리인 지정 제도를 통해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한국은 2018년 2월 「연명의료결정법」을 시행하면서 ‘연명의료결정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주요국의 사례를 참고한다면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초록보기
Abstract

The UK, one of the countries where childcare costs are among the highest in the world, recently announced plans to gradually implement a comprehensive reform of its funded childcare system over the next two years. The reform aims to alleviate the financial burden of childcare on parents and to create more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mothers who, unable to afford childcare services, have largely remained out of the labor market. To this announcement, however, parents and frontline childcare providers alike, so far from welcoming it, responded with a voice of concern over the potential adverse impact of the reform. This article examines the policy backdrop behind the UK government’s plan to expand its funded care and then discusses some of the debated issues surrounding the proposed reform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s free childcare, especially as regards working women who are mothers.

초록

아동 보육 비용이 세계에서 가장 비싼 국가 중 하나인 영국이 최근 일하는 부모 대상 무상 보육(funded childcare)을 향후 2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전면 개혁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이러한 개혁 배경에는 첫째, 기존의 비싼 보육 비용으로 인한 부모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둘째, 비싼 보육 비용 탓에 그간 노동시장 참여가 어려웠던 여성(엄마)들의 고용 기회를 증진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이러한 개혁 발표를 두고 보육 현장을 비롯한 부모들의 반응은 무상 보육 확대 개혁안을 환영하기는커녕 정책의 부정적 효과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영국 정부가 무상 보육을 확대하고자 하는 정책 배경 요인을 살펴본 후, 그러한 개혁을 둘러싸고 논의되고 있는 몇 가지 논의와 쟁점들에 대해 짚어 보고자 한다. 더불어 그러한 논의들이 오늘날 한국의 무상 보육 정책 시행, 특히 일하는 여성(엄마)들에 대한 보육 정책 지원에 어떠한 정책적 함의를 갖는지에 대해 함께 논의해 보고자 한다.

9 이슈분석 미국, 호주, 영국의 자활역량평가제도 비교Comparison of Self-sufficiency Assessments in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the United Kingdom
이상아(한국자활복지개발원 선임연구원) ; 강명주(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구원)
Lee, Sang A(Korea Development Institute for Self-Sufficiency and Welfare) ; Kang, Myungjoo(Social Welfare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24년 봄호, 통권 28호, pp.95-107 https://doi.org/10.23063/2024.03.7
초록보기
Abstract

This article introduces the self-sufficiency assessments implemented in the US, Australia, and the UK and compares them in terms of what each consists of—aspects assessed, methods used, and processes involved. These assessments vary in the policy context in which they are conducted. When it comes to the capacity assessment of self-sufficiency project participants transitioning to work, however, the common focus is on competencies that should matter in work. Specifically, these assessments are conducted on factors that are likely to affect one’s work activities, such as one’s psychiatric and cognitive aspects, cognitive learning abilities (arithmetic ability, writing skills, ability to memorize, etc.), and job skills (computer skills, etc.). The various versions of self-sufficiency assessment indicators used in the three countries suggest that Korea’s self-sufficiency assessment needs to be designed in detail and with precision.

초록

이 글에서는 미국, 호주, 영국의 자활역량평가제도를 소개하고, 각국의 평가 내용, 평가 방식, 절차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미국, 호주, 영국의 자활역량평가제도의 맥락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자활사업 참여자에 대한 역량평가는 자활사업 참여자의 근로활동 이행 시 중요하게 다뤄져야 하는 역량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근로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심리적・인지적 측면과 산술능력이나 쓰기, 암기능력과 같은 인지・학습 능력부터 컴퓨터 능력과 같은 업무 기술 등이 중요한 기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각국의 자활역량 유사지표의 특징은 한국의 자활역량평가가 세밀하고 정교하게 설계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10 국제사회보장동향 영국 부모의 일・생활 균형 정책: 최근 변화와 쟁점Work Life Balance Policies for Parents in the UK: Recent Changes and Challenges
권소영(영국 바스대학교 정치・언어・국제학과 박사 후 연구원)
Kweon, Soyoung(University of Bath)
2023년 겨울호, 통권 27호, pp.102-109 https://doi.org/10.23063/2023.12.9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