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23개 논문이 있습니다.

1 국제사회보장동향 APEC 회원경제와 저출생・고령화 현황 및 논의 동향Trends and Dissussions on Low-fertilty and Population Aging In APEC
김은정B(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구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
Kim, Eun Ju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5년 가을호, 통권 34호, pp.133-139 https://doi.org/10.23063/2025.09.11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funeral policies and systems in Japan, the US, and France, and identifies lessons applicable to Korea.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se countries distinguish the roles of local governments from those of the central government, allowing local authorities to implement effective funeral administration tailored to regional needs. Second, while the United States favors private-run, profit-oriented operations, Japan and France prioritize public-interest, non-profit approaches. Third, the common threads throughout are integrated “one-stop” funeral facilities that combine funeral halls and cremation services. This suggests the potential value of adopting such a system for Korea. Fourth, in the US and France, funeral facilities are often designed as park-like spaces, so that they can serve as community-friendly welfare amenities—a model worth considering in policymaking in Korea. Incorporating these insights into policymaking can enhance the efficiency, effectiveness, and long-term sustainability of Korea’s funeral policies and systems.

초록

이 글은 일본, 미국, 프랑스의 장사 정책 및 제도를 비교・분석하여 국내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요 내용은 첫째, 이들 국가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며, 지방정부가 지역 특성에 맞고 실효성 있는 장사 행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둘째, 미국은 민간 중심의 영리적 운영을, 일본과 프랑스는 공공성과 비영리성을 강조하는 운영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셋째, 장례식장과 화장시설을 통합 운영하는 원스톱 장사시설이 일반적이다. 국내에서도 유사한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넷째, 미국과 프랑스는 장사시설을 공원화하여 지역 친화적 복지시설로 활용하고 있는데, 국내에서도 이를 고려한 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이러한 시사점을 반영하면 국내 장사 정책 및 제도의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 국제사회보장동향 프랑스 가족돌봄휴가 정책의 현황과 쟁점Current Status and Issues of Family Care Leave Policy in France
임밝네(파리7대학 사회학 박사)
Im, Bakne(Universitty Paris 7)
2025년 여름호, 통권 33호, pp.121-127 https://doi.org/10.23063/2025.06.10
5 국제사회보장동향 일본의 연금재정 검증 동향Trends in Japan’s Pension Financial Review
배준섭(메이지학원대학교 국제학부 국제학과 전임강사)
Bae, Junsub(Meiji Gakuin University)
2024년 겨울호, 통권 31호, pp.137-144 https://doi.org/10.23063/2024.12.12
6 국제사회보장동향 일본 노인의 지속 거주(Aging in Place) 사례와 과제Cases and Challenges of Aging in Place for the Elderly in Japan
최희정(㈜웰에이징연구소 대표)
Choi, Hee-jeoung(WELL-AGING LAB Co., Ltd.)
2025년 봄호, 통권 32호, pp.131-136 https://doi.org/10.23063/2025.03.10
7 이슈분석 미국 메디케어의 치매 환자 및 가족 지원 사업 사례: GUIDE 모델을 중심으로US Medicare’s Dementia Support Program for Patient and Caregivers
김수진(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정책연구실 연구위원)
Kim, Sujin(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겨울호, 통권 31호, pp.49-60 https://doi.org/10.23063/2024.12.4
초록보기
Abstract

As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continues to rise, the absence of a long-term care system and support scheme has long added considerably to the physical, mental, and financial burdens not only on patients themselves but also on their families and caregivers. Medicare, a public health insurance program for people aged 65 and older, as well as people with disabilities, launched its Guiding an Improved Dementia Experience (GUIDE) model in July 2024, aiming to reduce the care burden on families and help people with dementia continue living in their communities. The GUIDE model offers coordinated care, care management services, and ad-hoc nursing care for patients, along with support and education for family caregivers. Participating entities must have physicians and care navigators capable of managing dementia patients. Whether the GUIDE model will continue will be determined based on assessments following its 8-year pilot phase.

초록

치매 환자의 증가와 함께, 다른 한편으로 장기요양서비스 및 포괄적 관리와 지원 체계의 부재는 치매 환자뿐 아니라 가족과 돌봄제공자에게 상당한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부담을 야기해 왔다. 미국의 65세 이상 노인과 장애인 대상 공보험인 메디케어는 치치매 환자의 지역사회 거주 기간을 늘리고 가족 돌봄제공자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2024년 7월 GUIDE(Guiding an Improved Dementia Experience) 사업을 시작했다. 사업은 케어 조정 및 관리, 가족돌봄자 지원 및 교육, 치매 환자에 대한 임시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며 참여기관은 이를 위해 치매 관리 역량이 있는 의사와 케어 내비게이터(care navigator)를 필수적으로 두어야 한다. 8년 시행 후 평가를 통해 사업의 지속성이 결정될 예정으로 향후 관찰이 필요하다.

8 국제사회보장동향 일본의 헬스케어 리츠(Health Care REITs) 시장 동향Healthcare REITs Market Trends in Japan
최희정(㈜웰에이징연구소 대표)
Choi, Hee-jeoung(WELL-AGING LAB Co., Ltd.)
2024년 가을호, 통권 30호, pp.138-144 https://doi.org/10.23063/2024.09.12
9 이슈분석 일본 치매기본법 내용과 제정 의의The Establishment of the Dementia Basic Act in Japan: Key Contents and Implications
임덕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빈곤불평등연구실 연구위원)
Lim, Deokyou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가을호, 통권 30호, pp.57-70 https://doi.org/10.23063/2024.09.5
초록보기
Abstract

As Japan has become a “super-aged society” earlier than the rest of the world, it has been ahead of the curve in addressing the problem of dementia at the national and societal levels. Japan’s Basic Act on Dementia to Promote an Inclusive Society, enacted in 2023 and composed of a total of four sections and 37 articles, is a mainstay legal framework that broadly defines policy norms and values concerning dementia.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tent and significance of Japan’s Dementia Act, focusing on its composition, objectives, underlying principles, related policies, timeframes, and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responsibilitie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The Act is significant for its integrated approach that combines medical treatment and caregiving, for ensuring that the perspectives and rights of individuals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ies are reflected and protected, and for the emphasis it places on the importance of communal efforts that engage various stakeholder groups.

초록

일본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초고령사회를 먼저 맞이하여 한발 앞서 국가와 사회 차원에서 치매 문제에 대응해 오고 있으며, 2023년에는 “공생사회의 실현을 추진하기 위한 치매기본법”이 제정되었다. 치매기본법은 치매에 대한 정책규범과 가치를 포괄적으로 규정하는 모법으로서 총 4장 37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글에서는 치매기본법의 상세 내용과 의의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치매기본법의 장구성, 목적과 기본이념, 국가 및 지자체의 책무와 추진계획 수립, 기본적 정책, 추진 일정을 소개하였다. 끝으로 치매기본법의 의의로서 의학과 돌봄의 통합적 관점 제시, 당사자 관점의 반영과 권리 보장, 주체별 공동체적 대응의 강조를 제시하였다.

10 기획 지역사회 기반 생애말기 돌봄: 미국 정책 동향과 시사점Community-Based End-of-life Care in the United States: Trends and Implication
백세현(미국 뉴욕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과정) ; 신어진(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Baek, Sehyun(New York University) ; Shin, oejin(Illinois State University)
2024년 가을호, 통권 30호, pp.28-42 https://doi.org/10.23063/2024.09.3
초록보기
Abstract

In Korea, end-of-life care is limited to individuals diagnosed with certain diseases and is primarily provided in inpatient settings, as outlined in the Act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remaining mostly unavailable in community settings. In contrast, end-of-life care in the US is not restricted to certain diseases and is commonly delivered in community-based settings, including individuals’ homes. This article examines the US end-of-life care policy in detail and explores its implications for policymaking in Korea.

초록

한국의 생애말기 돌봄은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따라 특정 질환의 진단을 요구하며, 입원형 서비스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 내에서 제한적으로 생애말기 돌봄이 제공되고 있다. 반면에 미국의 생애말기 돌봄의 경우 특정 질환의 진단 여부에 따라 이용 대상이 제한되지 않고 있으며, 가정형 서비스가 가장 많이 제공하면서 생애말기 돌봄이 지역사회 재가 서비스의 일환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미국의 생애말기 돌봄 정책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의 생애말기 돌봄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 한다.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