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171개 논문이 있습니다.

1 이슈분석 최근 북유럽의 출산율 동향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Recent Fertility Trends in Nordic Countri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김우성(스톡홀름대학교 사회학과 인구학 유닛)
Kim, Wooseong(Stockholm University Demography Unit and Department of Sociology)
2025년 봄호, 통권 32호, pp.104-115 https://doi.org/10.23063/2025.03.7
초록보기
Abstract

Northern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Sweden, with their Nordic welfare models, have maintained higher fertility rates than other high-income countries. After 2010, however, these Nordic countries had noticeable declines in fertility rates. This trend, which no existing social science theories could predict or explain and which portends the possibility of a long-term decline in birthrates beyond mere delayed childbirths, has prompted researchers in many social-science fields, including demography, to embark on studying the factors driving it. One of the most promising explanations proposed to date is what is known as the “narrative of the future framework,” which suggests that delaying or forgoing childbirth is closely related to the growing uncertainty perceived by individuals. Research on uncertainty narratives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Korea’s low-fertility issues, as it not only addresses objective factors—such as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conditions—but also sheds light on the effect of individuals’ perceptions of the future on their fertility behavior. In addition, recent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suggests that improved life satisfaction and better mental health can lead to higher birth rates.

초록

스웨덴을 비롯한 북유럽 국가들은 북유럽 복지국가 모델을 기반으로 다른 고소득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출산율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2010년 이후 북유럽 국가들은 뚜렷한 출산율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기존 사회과학 이론으로는 예측하거나 설명하기 어려운 변화였으며, 단순한 출산 지연을 넘어 장기적인 출산율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인구학을 포함한 여러 사회과학 연구자들이 이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논의된 가장 유력한 설명 중 하나는 개인이 체감하는 주관적 불확실성의 증가가 출산 지연 및 포기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미래 내러티브 분석틀(Narratives of the future framework)”이다. 불확실성 내러티브를 강조하는 연구는 객관적인 경제적, 사회적, 정책적 조건뿐만 아니라 미래에 대한 기대가 개인의 출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명한다는 점에서 대한민국의 저출산 문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최근 발표된 정신건강과 출산 간의 상관관계 연구는 청년층의 삶의 만족도와 정신건강의 개선이 출산율 제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2 이슈분석 프랑스 초등교육 제도와 방과 후 돌봄 체계French Primary Education System and After-School Care
임밝네(파리7대학 사회학 박사)
IM, Bak-Ne(University Paris 7)
2025년 봄호, 통권 32호, pp.90-103 https://doi.org/10.23063/2025.03.6
초록보기
Abstract

French children begin their compulsory education when they start preschool at the age of three. Preschools and elementary schools make up primary education in France. These schools generally deliver a regular, curriculum-based education from eight in the morning till four-thirty in the afternoon. They also offer after-school programs, allowing children to stay until dismissal at six or six-thirty, the usual time when parents arrive from work to pick them up. On average, most children in the French primary education system spend over 9 hours daily at school. This article examines, through historical, social, and policy factors, how long school hours have become a structured norm in France and explores implications for Korea’s policies on child education and child care.

초록

프랑스에서는 만 3세부터 유아학교 의무교육이 시작되며, 유아학교와 초등학교는 초등교육 단계에 포함되어 대체로 유사한 일과로 운영된다. 정규수업은 일반적으로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진행되며, 이후 방과 후 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아동이 부모의 퇴근 시간에 맞춰 오후 6시∼6시 30분쯤에 하교한다. 이로 인해 프랑스의 아동들은 3세 유아부터 초등학생에 이르기까지 하루 평균 9시간 이상을 교육기관에서 보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글은 프랑스 아동의 장시간 학교생활이 구조화된 이유를 역사・사회적 및 정책적 요인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아동 교육 및 돌봄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3 기획 스웨덴의 장애인 지원체계와 대상자 선정 방법Sweden's Disability Support System and Benefit Eligibility Criteria
홍세영(안양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조교수)
Hong, SaeYoung(Anyang University)
2025년 봄호, 통권 32호, pp.39-55 https://doi.org/10.23063/2025.03.3
초록보기
Abstract

In Sweden,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obtain social security entitlements based on their employment and residential status. The Swedish disability support system consists mainly of social insurance, employmentrelated assistance, and social services. Disability determination is carried out in a comprehensive manner from the bio-psycho-social perspective, in line with the WHO’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In Sweden, where no disability registration system is in place, individuals who wish to receive disability support have to first go through a needs assessment or an eligibility evaluation for the applied service. Social insurance benefits and employment-related disability benefits are determined based on insurance and medical assessments. Anyone medically determined as disabled should go through an additional evaluation to become eligible for such benefits. The decisive factor here is a “reduced work capability.” Social services for disabled persons, including law-regulated support and services (LSS), are the responsibilities of local governments, which may, to a point, exercise autonomy in delivering these services. Far from being monolithic and rigidly standardized, Swedish disability policies and the disability determination system, committed instead to the principle of tailored services, focus on providing support to each disabled person, with their needs evaluated through an interdisciplinary and professionalized approach involving various experts and stakeholders.

초록

스웨덴에서 장애인은 근로와 거주를 근거로 사회보장 수급권자가 될 수 있다. 스웨덴의 장애인 지원은 크게 사회보험, 고용, 사회서비스로 구분된다. 판정체계는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의 생심리사회적 관점(bio-psychosocio perspective)에 입각하여 통합적 조사가 수행되고 있다. 장애인 등록제가 없는 스웨덴에서 필요한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지원별 판정이나 욕구 조사를 받아야 한다. 사회보험 급여와 고용의 경우 보험의학적 조사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개인이 의학적 장애로 판정을 받으면 추가적인 평가를 통해 지원 여부가 결정된다. 판정 기준은 “감소된 근로 능력”이다. 전문장애인서비스(LSS)를 포함한 사회서비스는 지방정부인 코뮨(Kommun)의 책임으로 서비스 제공을 평가하는 데 다소 자율성이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스웨덴에서 장애인 정책과 판정체계는 획일적이고 표준적인 체계에서 벗어나 욕구 중심의 개별화 원칙이 강하고 한 명의 장애인에게 필요한 지원을 하기 위해 다양한 전문가의 참여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다학제적이면서도 전문적 조사의 성격을 내포한다고 볼 수 있다.

4 국제사회보장동향 핀란드의 하우징 퍼스트(Housing First)에 기반한 노숙인 지원 정책Finnish Housing First and Homelessness Policy
박영선(헬싱키대학교 사회정책학 박사과정)
Park, Youngsun(Doctoral researcher, Faculty of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Helsinki)
2024년 겨울호, 통권 31호, pp.130-136 https://doi.org/10.23063/2024.12.11
5 국제사회보장동향 독일의 임신갈등 상담 제도Germany’s System for Pregnancy Conflict Counseling
정다은(독일 레겐스부르크대학교 법학 박사과정)
Chong, Da-Eun(Universität Regensburg)
2024년 겨울호, 통권 31호, pp.124-129 https://doi.org/10.23063/2024.12.10
6 이슈분석 최근 프랑스의 가족정책 동향과 시사점Recent Family Policy Responses in France and Their Implications
임밝네(파리7대학 사회학 박사)
Im, Bakne(University Paris 7)
2024년 겨울호, 통권 31호, pp.85-100 https://doi.org/10.23063/2024.12.7
초록보기
Abstract

France’s natalist family policies have a remarkable track record, having for many years kept the total fertility rate (TFR) near replacement level by focusing on improving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for young children and supporting women in balancing work and family. Currently at 1.68, France’s TFR, though still the highest among European countries, has continuously declined since 2011. In response, French President Macron announced in early 2024 the launch of a new childbirth leave policy to replace the existing parental leave, along with other measures to address the falling birthrates. This article explores the background of France’s introduction of the new childbirth leave policy and public service reforms for young children and draw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초록

프랑스는 출산주의 가족정책을 통해 장기간 적정 수준의 출산율을 유지하였다. 프랑스의 가족정책은 영유아 보육 서비스의 질 향상과 여성의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어 상당한 발전을 거듭해 왔다. 프랑스는 여전히 유럽에서 가장 높은 합계출산율(1.68)을 보이고 있지만, 2011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24년 초,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국가의 저출산 대응 정책으로 기존 육아휴직제도를 대체할 출생 휴가 신설을 발표하고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제도를 추진하고 있다. 이 글은 최근 프랑스의 영유아 공공서비스 개혁과 출생 휴가 도입의 배경을 분석하고, 한국의 저출산 대응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7 기획 독일의 장애인 지원체계와 대상자 선정 방법Germany's Disability Support System and Benefit Eligibility Criteria
이주화(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연구교수)
Lee, Ju Hwa(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25년 봄호, 통권 32호, pp.20-38 https://doi.org/10.23063/2025.03.2
초록보기
Abstract

Germany’s disability support can be classified generally into three types based on recipient selection criteria. The first type targets individuals registered as disabled. The second type, also based on disability registration, extends support to individuals at risk of developing a disability. For the third category, beneficiaries are selected based on the objectives each service aims to achieve. Such flexibility in the selection criteria has helped close gaps in support and enhance the stability of the support system. The German disability registration system, underpinned by an inclusive disability determination approach, plays a crucial role in ensuring that those in need of disability benefits are not left unsupported. The German case demonstrates that it is possible to put into practice a disability registration system with a balance of administrative efficiency, social inclusiveness, and fairness. In this study, I examine how Germany’s disability support system is administered based on disability registration and in accordance with recipients’ needs for income support, employment benefits, and care. I also discuss it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초록

독일의 장애인 지원제도는 수급자 선정 방식을 기준으로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 장애인등록제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 둘째, 등록제를 기본으로 하되 장애 위험이 있는 사람까지 포함하는 방식, 셋째, 개별 급여의 목적에 따라 수급자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이처럼 유연한 수급자 선정 구조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지원체계의 안정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특히 독일의 장애인등록제는 포괄적인 장애 인정 방식에 기초하여, 실질적으로 급여가 필요한 사람이 배제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독일의 사례는 장애인등록제 운영에 있어 행정적 효율성, 복지의 포괄성, 공정성 간의 균형을 고려한 제도 설계가 가능함을 보여 준다. 이 글에서는 독일의 장애인등록기준과 소득, 고용, 돌봄제도의 대상자 선정 기준을 살펴보고, 이러한 체계가 한국의 장애인등록제에 주는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8 기획 독일 아동보호 및 자립지원서비스 정책 현황 및 쟁점Child Protection and Self-reliance Services in Germany: Policies and Issues
홍문기(완주군청 교육정책과 주무관)
Hong, Moonki(Wanju County Office)
2024년 겨울호, 통권 31호, pp.15-31 https://doi.org/10.23063/2024.12.2
초록보기
Abstract

Germany aims, through its universal social policies, to achieve an adequate quality of life—not merely a minimum standard of living—for children, adolescents, youth, and their families. These policies have established a system of support measures to address the various needs of children and their families, reducing the burden of child care on families and helping families restore their functions. For children and youth of an age range that requires protection but whose families are unable to give them sufficient support, federal youth welfare offices step in to offer strong assistance until these individuals can live independently. Germany’s youth independent living support system, designed to help children and young people in its care develop into healthy, contributing members of society, places special emphasis on education and job preparation.

초록

독일은 모든 아동과 청소년, 청년과 가족에게 최소한의 보장이 아닌 적절한 삶의 질을 보장하는 보편적 정책을 추진한다. 이러한 정책은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아동, 가족 문제에 대한 다양한 지원체계를 마련함으로써 양육 부담을 경감하고, 가정이 자생적으로 기능을 회복하도록 돕는다. 가정의 고유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 아동 보호가 필요한 시점부터 보호가 종료되는 자립준비청년까지 청소년청을 중심으로 강력한 지원체계를 갖추어 지원한다. 독일은 보호아동과 자립준비청년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며 온전한 자립이 가능하도록 교육과 직업에 중점을 둔 정책을 펼치고 있다.

9 기획 영국의 가정외 보호 아동·청소년 자립지원 정책System Support for Care Leavers in England
이상정(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서비스정책연구실 연구위원)
Lee, Sang Ju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4년 겨울호, 통권 31호, pp.5-14 https://doi.org/10.23063/2024.12.1
초록보기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England’s support policies for children and youth transitioning out of out-of-home care and draw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s independent-living support system. The research particularly explores the target population and key components of England’s care leaver support, service delivery, and the workforce responsible for providing these services. Several lessons from England’s system offer policy insights for Korea. First,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unified system of protection and service delivery for at-risk children and adolescents. Second, the workforce, including personnel responsible for child protection and those delivering independent-living support services, needs to be expanded. Third, it is essential to design and implement measures that clearly assign the responsibility of maintaining contact with individuals aging out of out-of-home care.

초록

이 글은 잉글랜드(England)를 중심으로 가정외 보호 아동・청소년 자립준비청년 지원 정책에 대한 영국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자립지원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영국의 자립지원 정책 대상과 자립지 원서비스, 전달체계와 핵심 인력 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자립지원 정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우선, 위기 아동・청소년 보호 및 지원 관련 단일화된 전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아동 보호전담요원, 자립지원전담인력 등 자립지원 인력 확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18세 전후 보호종료 아동・청소년에 대한 연락 유지 책임을 명확히 하고, 연락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와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초록보기
Abstract

Switzerland is a country where assisted suicide is legal and practiced predominantly by such organizations as EXIT and Dignitas. Assisted suicide in Switzerland, administered mostly to terminal cancer patients, accounts for an estimated 2.1 percent of all deaths in the country. The UK presents a high quality-of-death index on the strength of a well-integrated system of palliative and hospice care. The UK government has enhanced the quality of end-of-life care through strategic support and an integrated approach, emphasizing the education of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community-based support. In contrast, Switzerland, while offering, through the legalization of assisted suicide, the freedom to determine the manner of death for terminally ill individuals, has room for improvements in the accessibility and quality of palliative care, as suggested by the fact that its health system remains segmented across subnational regions. Switzerland also needs increased effort in raising public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palliative care.

초록

스위스는 조력자살(AS)이 합법화된 국가로, 주로 EXIT와 Dignitas와 같은 단체가 이를 지원한다. 스위스에서의 조력자살은 전체 사망자의 2.1%를 차지하며, 말기 암환자가 주 대상이다. 반면 영국은 완화의료와 호스피스 서비스가 잘 통합되어 있어 높은 죽음의 질 지수를 기록하고 있다. 영국은 정부의 전략적 지원과 통합적 접근을 통해 말기 돌봄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의료진의 전문 교육과 지역사회 기반의 지원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 스위스는 조력자살의 합법화를 통해 임종 결정에 대한 개인적 자유를 보장하고 있으나 지역 간 불균형과 분절된 의료 시스템으로 인해 완화의료 서비스의 접근성과 질에서 개선된 접근이 요구되며 완화의료에 대한 공공의 인식과 이해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