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3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해외이주 가정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런던과 근교에 거주하는 13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심리사회적 특성으로 설정한 문화적응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라 가족기능에 차이가 있었다.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우울정도가 낮은 집단,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큰 집단의 가족기능이 높게 나타났다. 해외이주 가정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가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해외이주자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가족의 해외생활 적응과 가족기능을 향상을 위하여 해외이주 가정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 요인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문화적 전환으로 인해 심각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가족에게 사회적 지지 체계로서 스트레스 완화와 가족기능 지원 방안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The present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al factors and psychosocial factors on family function of immigrant family. The sample consisted of 130 Korean women living in the UK.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no group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al factors for family func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which were categorized as psychosocial factors, there were meaning differences in family function. The group which had low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showed high family functioning. The group had high level of social supports also showed high family function. Regression analyses determined that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predictive effects on family function of Korean immigrant family.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cerns and interventions about women’s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to improve family function and family adaptation to host culture.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 social support system that emphasizes decreasing stress and facilitating family function for immigrant families undergoing cultural transitions.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각 연령대별로 나타나는 사회적 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과 함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전국 15개의 시도를 중심으로 연령, 성별로 층화하여 표본 할당 및 조사 대상을 추출하였다. 표본은 20~44세 406명, 45~64세와 65세 이상에 대해 각각 405명씩 할당 표집하였고, 총 1,216명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삶의 만족도 평균은 각 연령집단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노인층의 삶의 만족도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 변인들로는 인구사회학적 변인들과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들로 나타났는데 연령대별로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자본은 각 연령별로 영향을 미친 하위요인이 다르게 나타나 각 연령대별로 고려해야 할 점이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자본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연령별로 찾아보았다.;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life-satisfaction by three different age groups. Sampling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by quota sampling considering residential district, age, and gender of the respondents. A total of 1,216 people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 the following three different age groups: aged 20 to 44, aged 45 to 64, and aged 65 and over. Result showed that the elderly group had lower level of life-satisfaction than any other groups. Economic status appeared as a common variable to predict life satisfaction for all age groups. Life satisfaction was explained by different sub-dimensions of social capital in each age group. On the basis of results,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related to social capital and life-satisfaction were discussed.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진단 및 치료 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진단 및 치료 지연의 장애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암 예방 및 개입 방안에 새로운 틀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진단 및 치료 지연에 현황 및 원인을 분석하고 인구사회학적, 의학적 요인, 유방암 진단 및 치료 지연 인식 여부, 그리고 사회적 지지체계 등이 진단 및 치료 지연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287명의 성인 여성으로, 서울 · 경기 지역의 8곳, 지방 1곳의 종합병원을 택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 환자들이 유방 이상 징후를 경험한 이후 유방암 진단을 받기까지의 평균 기간은 약 2.8개월(SD: 8.4), 유방암 진단을 받은 후 치료 기간까지 걸린 평균 기간은 약 2.4개월(SD: 9.7)로, 진단 및 치료지연 모두 경제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이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동안 지연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평균보다 낮은 환자는 진단 지연이 더 긴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치료지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진단지연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진단 지연 인식 여부였으며, 치료 지연은 정서 정보적 지지가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들의 진단 및 치료지연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연구함으로써 향후 유방암 환자의 진단 및 치료지연의 장애요인을 예방하고 개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The identification of barriers to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for breast cancer patients can provide a new framework for cancer prevention and control. This study aims to 1) explore current status and causes of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and 2) investigate how sociodemographic and medical characteristics, perception of delays, and social support influence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for Korean breast cancer patients. A total of 287 adult women were recruited from nine hosptials in Korea.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an time taken from the discovery of an abnormality to obtaining medical care(diagnositic delay) was 2.8 months (SD=8.4), and the mean time taken from obtaining a diagnosis to cancer treatment (therapeutic delay) was 2.4 months (SD=9.7). Patients with financial difficulties were more likely to report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In terms of social support, the low social support group was more likely than the high social support group to delay in obtaining medical care; however, the therapeutic dela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level of social suppor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diagnostic delay was perception of diagnositic delay, while emotional and information suppor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therapeutic delay.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reducing barriers to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for breast cancer patient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