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회복지조직에 가장 많이 형성되어 있는 ‘집단문화’와 ‘조직시민행동’사이에서 ‘정서적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경북·부산지역에 소재한 사회복지조직 구성원 394명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중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이 지각한 ‘집단문화’ 수준은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집단문화 → 정서적 조직몰입 → 조직시민행동’, ‘집단문화 → 직무만족 →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집단문화 → 정서적 조직몰입 → 직무만족 → 조직시민행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은 ‘집단문화’와 ‘조직시민행동’ 사이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적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집단문화’와 ‘조직시민행동’을 연결해 주는 가교(架橋)역할을 하고 있음을 말해 주고 있다. ‘집단문화’와 ‘조직시민행동’ 사이에서 ‘정서적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매개 효과를 비교해 보면 ‘정서적 조직몰입’이 ‘직무만족’ 보다 매개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level of employees on group culture prevailed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OCB.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4 employees working at 79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Young-nam area. The four variables: group culture,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OCB were measu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In addition, this study adop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roup culture’s level perceived by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employees has not direct effected on OCB. Second, this study found the three significant paths impacting on OCB. They were ‘group culture →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 OCB’, ‘group culture →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 job satisfaction → OCB’, and ‘group culture → job satisfaction → OCB’. Finally,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culture and OCB have played a full mediating role. Based on these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some implications for enhancing OCB of employees.
본 연구는 그동안 정신보건 영역에서 심리사회적 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과되어온 물리적 환경 측면에 주목한다. 따라서 인간의 건강한 삶을 지원하는 치유환경의 개념에 기초하여 디자인된 지역사회정신건강증진센터 두 곳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센터 공간의 건축환경 변화가 회원과 직원 등 이용자들의 공간 인식과 생활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사례분석의 대상이 된 정신건강증진센터의 건축환경 자료를 수집하고 이용자들의 초점집단인터뷰를 시행하여 그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치유환경을 조성하려는 건축디자인의 의도가 실제 이용자들의 공간 인식과 삶의 변화를 통해 구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기존에 물리적 환경에 의해 발생했던 스트레스 요인들이 개선되었고 정서적으로도 이용자들이 이전보다 더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끼며 이용자들 간 건전한 상호작용이 증진되는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이러한 센터의 환경변화는 지역사회 내에서 센터와 이용자들에 대한 이미지와 자기인식의 개선 효과를 가져옴으로써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비롯한 정신보건 영역의 건축환경 조성을 위한 실질적 방향들을 제언하였다.;This study takes note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 aspect that has been overlooked relatively in comparison with the psycho-social environment all this while, especially in the mental health field. Accordingly, this study looked into what influence of the change in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of the center space has on space awareness and life in general of users, such as members and employees, through the case study of two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CMHC) which were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healing environment which supports humans’ healthy liv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data on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of the CMHC which became the object for case analysis, and conducted the focus group interview of the users as well as analyzed the contents thereof qualitatively;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the intention of architectural design to create a healing environment was being realized through actual users’ space awareness and change of life. In other words,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 stress factors which occurred from the existing physical environment have been improved, and even emotionally, there was a change such as enhancement of healthy interaction between users while feeling more comfortable and stable than ever before. In addition, the environment change of such a center showed the possibility of making a contribution to social integration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bringing improvement of images the centers and their users, as well as self-awareness. Based on such a research result, this study suggested a practical direction for creating architectural environments in the mental health field including CMH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