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3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노인의 성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현재 광주광역시와 전남·전북 지역에 소재한 3등급 이상의 6개 요양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와 요양보호사로 연구의 취지를 이해하고 의사소통에 장애가 없으며,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를 동의한 간호사 150명과 요양보호사 156명의 총 306명을 편의 표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사에 비해 요양보호사의 노인 성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인 간호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우선적으로 요양보호사의 개별적 특성과 교육수준에 초점을 맞춘 교육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대상자들이 인지하는 노인 성에 대한 태도는 허용적으로 나타났으나 실질적으로 실무에서도 허용적인 태도를 보이는지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대상자들이 설문에서 얻을 수 없었던 성에 대해 갖고 있는 좀 더 깊은 생각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s sexuality of the elderly among nurses and caregive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subjects were total 306 including 150 nurses and 156 caregivers in six long-term care hospitals. It used the Aging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s Scale (ASKAS) developed by White (1982) and translated by Moon (2004) in order to measure the knowledge. The attitudes were measured by the instrument developed by Kim and Lee (2000) and revised by Jeong (2010).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2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in SPSS 18.0.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s sexuality of the elderly between nurses and caregive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Nurses and caregive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 the sexuality of the elderly. As the caregive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showed lower level of knowledge on the sexuality of the elderly than the nurses, they should be given a proper educational program.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는 현재 하루 12시간 종일제 기준으로 보육료가 지원되고 있음에도 많은 영아가구가 보육서비스를 종일제보다 짧게 이용하고 있음에 주목하여, 영아가 있는 맞벌이 가구의 단시간 기관 이용 이유와 이러한 단시간 기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영아가 있는 맞벌이 가구가 기관을 반일제 이하로 단시간 이용할 경우 평균 하루 4시간 미만이나 한 주에 평균 약 5일에 걸쳐 꾸준한 형태로 이용하며,‘양육자의 양육부담 경감’과 ‘아이의 다양한 경험과 교육’이 영아의 단시간 기관 이용 시의 주요 이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양육자가 비혈연인력인지 여부, 어머니의 근로시간, 기관 이용 시기에 대한 가치관, 아동의 연령이 영아가 있는 맞벌이 가구의 단시간 기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정 내 양육을 주된 양육형태로 하는 맞벌이 가구에서 주양육자가 비혈연 인력이 아닌 경우, 어머니의 근로시간이 짧을수록,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기관 이용 시기가 빠를수록, 대상 영아의 연령이 많을수록 기관을 단시간 병행 이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수요자의 보육 욕구를 고려한 다양한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며, 그 일환으로 일률적인 종일제 형태를 탈피한 다양한 이용 시간별 보육서비스를 개발해야 함을 제안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son why dual-income families with infants make more use of short-time child-care services (than use of full-day services) in spite that the child-care subsidy is provided based on 12-hour full-day service and what are the determining factors of short-time service using. Findings indicate that in case that dual-income family with infants uses both short-time child-care services and in-home care, using center-based child-care service is likely to be made 4 hours a day, 5 days a week steadily. And, ‘relieving child-rearing burden of primary caregiver’ and ‘pursuing various experience and education for children’ are turned out to be the reasons for using short-time center-based child-care service. Findings also prove that determinants of dual-income families’ using short-time child-care services are the type of primary caregiver, mothers’ working hour, the age they consider appropriate for infants to use the service, and the age of infants. In other words, dual-income families who especially care their infants primarily in home show tendency to use short-time center-based child-care services in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determinants proven abov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relation to center-based child care service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in-home care service and develop various kinds of child care service that suits parent’s need.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현재 우리 사회에서 낮은 소득과 고용불안 등 경제적 이유와 함께 과도한 주거 및 결혼비용은 청년층의 만혼화 및 결혼기피를 야기하는 주범이다. 본 연구는 향후 결혼의향이 있는 미혼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비욕구 수준과 기대하는 결혼비용 및 결혼연령의 경향을 살펴보고, 소비욕구 수준이 기대결혼비용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이들 변인이 기대결혼연령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울시 소재 4년제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유목적적 표집을 실시하여 미혼이면서 향후 결혼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384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소비욕구 수준이 높은 편이며, 자신의 결혼비용을 평균 8천3백68만원으로 기대하였다. 특히 본인부담 결혼비용은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하여 약 5천만원 정도 더 많은 비용을 기대했으며(남 1억814만원, 여 5천9백74만원), 과시적 소비욕구는 기대결혼비용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기대결혼연령은 평균 29.76세(남 30.63세, 여 28.90세)로 만혼화 경향을 나타냈으며, 기대하는 본인부담 결혼비용이 많을수록 기대결혼연령은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우리 사회의 예비결혼세대인 대학생들에게 결혼준비교육을 통한 인식개선과 함께 합리적인 혼례문화 조성이 필요하고 시급함을 시사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sumption wants and expected wedding expenses on expected marriage age among 384 unmarried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privat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he respondents were requested to complete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for analyzing the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showed high levels of consumption wants on the whole. The mean expected wedding expenses was 83,680,000 won, while the mean expected marriage age was 29.76 years.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levels of exhibitionistic wants were positively related to students’ expected wedding expenses in the future. This study also found that students’ expected wedding expens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expected marriage age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needed to provide the undergraduate students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rational way of marriage preparation and consumpt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re discussed.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