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2개 논문이 있습니다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재혼가족의 관계형성을 위한 요인들을 중심으로 청소년기 자녀를 둔 재혼가족 관계향상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완성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그 효과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참여대상은 재혼한지 1년이 넘었고 청소년 자녀가 있는 18인의 재혼부부를 9인은 실험집단으로, 9인은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2015년 9월 첫 주부터 6주간 동안, 주 1회 총 6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재혼가족 결속, 부부만족도, 역할긴장, 의사사통 및 문제해결 변인 등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재혼가족 관계향상 프로그램은 재혼가족의 역할긴장과 결속도를 높이고 의사소통과 문제해결 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기 자녀가 있는 재혼가족이 그들의 가족관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역할갈등 등 가족 간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는 재혼가족에게 재이혼에 따른 가족해체를 방지하여 성공적인 재혼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for stepfamilies with adolescent children. A total of 18 peopl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f whom 9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9 as a 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were those who had been remarried for more than a year with children. Consisting of 6 sessions, each with a distinct goal, the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6 weeks from the first week of September, 2015. The program was found to have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hesion, role strain, marital satisfaction,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in stepfamilies. This program can be used to help stepfamily members deal with and solve their interfamilial problems and conflicts and enhance their family relationship. Also, this program can help to prevent stepfamily breakups and contribute to successful remarriage life.

초록보기
Abstract

초록

이 연구는 다문화가족에 대한 차별이 존재하는 한국사회에서 다문화청소년이 경험하는 차별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차별의 부정적인 영향을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각 유형이 어떻게 조절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과 어머니 227쌍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만10-15세 초기청소년 211명을 분석하였다. 다문화청소년의 생활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이들이 경험한 차별의 강도를 독립변수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각 유형을 점수화하여 조절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이 경험하는 차별의 강도는 생활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적극적 문제해결은 다문화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나, 심한 차별의 상황에서는 적극적 문제해결이 오히려 생활만족도를 더 낮추었다. 셋째, 소극적 문제해결은 차별의 부정적인 영향을 더욱 증폭시켰다. 넷째, 차별이 심한 상황에서는 회피가 오히려 더 적응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지지추구는 차별의 부정적인 효과를 완화시키는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차별의 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와 결과를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차별과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질에 관한 예방적이고 실천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life satisfaction of Korean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discrimination experiences. We also attempted to figure out how each coping strategy function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discrimination. To accomplish this goal, we recruited 227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ir foreign mothers in pairs, and the sample included 211 early adolescents aged 10-15. We performed hierarchical regression on life satisfaction by entering discrimination scor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each coping strategy type as a moderat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intensity of discrimina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lthough the use of active problem-solving strategies was posi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it was associated with lower life satisfaction when the intensity of discrimination was high. The use of passive problem-solving strategies intensified the adverse effects of discrimination, while support seeking strategies buffered the negative effects of discrimination on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use of avoidance strategies brought better outcomes when adolescents perceived that they were severely discriminated against. This study provided preventive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discrimination, coping strategies and life satisfaction and by identifying different meanings of coping strategies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discrimination experienced.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