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지난호

제41권 제1호Vol.41, No.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 이후 한국 거주 중국인 유학생의 사회적 낙인 경험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s of Social Stigm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Abstract

Social stigma toward Chinese people has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due to the increasing fear of infection and overwhelmingly biased inform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20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living in Korea to understand their social stigma experienc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result of thematic analysis yielded 12 subthemes on social stigma experiences within overarching themes related to “indiscriminate blaming of China and Chinese people”, “vigilan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Chinese people in the community,” and “coping with social stigma due to COVID-19.” Participants experienced various forms of social stigma both online and in the community, including blame, vigilance, rejection, and alienation and practiced coping behaviors to avoid or change social stigma.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provide education targeted toward Korean students to ensure balanced opinions on Chinese students in connection with COVID-19 and reduce social stigma, enhance resources for emotional support, and provide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training in adaptive coping strategies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experience social stigma.

keyword
2019 Coronavirus Disease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Social StigmaCoping with Stigma

초록

코로나19의 대유행 이후 감염 위험에 대한 공포가 높아지고 코로나19에 대한 무분별한 정보가 쏟아지면서 중국인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중국인 유학생의 사회적 낙인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한국에 거주하는 20명의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주제 분석을 수행한 결과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무분별한 비난’, ‘지역사회에서 마주한 중국인에 대한 경계와 차별’,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낙인에 대한 대처 행동’과 관련한 1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온라인상 또는 지역사회에서 비난, 경계, 거부, 멀리함 등 다양한 형태의 낙인을 경험하였고, 낙인을 피하거나 변화시키기 위한 대처 전략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코로나19와 관련하여 중국인 유학생에 대한 균형적인 의견이 교환될 수 있도록 교육을 제공하고, 낙인을 경험한 중국인 유학생의 정서적 지지를 지원할 자원을 연결하며 심리상담 및 적응적인 대처 전략의 교육이 제공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주요 용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중국인 유학생사회적 낙인낙인 대처

Ⅰ. 연구의 필요성

2019년 12월 31일, 중국 우한시(武漢市)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가 최초로 보도된 이후 코로나19는 빠른 속도로 전 세계에 확산되었다(WHO, 2020a). 약 1년이 경과한 2021년 1월 현재까지 전 세계 누적 코로나19 확진자는 8,000만 명에 이르며 누적 사망자 수는 이미 180만 명을 넘어섰을 정도로(Johns Hopkins CSSE, 2021) 코로나19가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코로나19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으로 감염의 발원지, 감염 경로와 증상, 치명률 등과 관련하여 불확실성이 높아 대중들에게 공포와 편견을 심어주는 사회적 위험이 되고 있다.

코로나19에 대한 대중의 두려움이 증폭되면서 전 세계 언론에서는 코로나19가 발생국과 연관되도록 ‘중국 바이러스’ 또는 ‘중국인 바이러스’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Darling-Hammond et al., 2020). 이로 인해 코로나19 발생에 대한 중국의 책임 여론이 높아졌고, 여러 국가들에서 중국인을 포함한 아시아인들에 대한 비난, 모욕, 심지어 인종차별 및 혐오 범죄가 나타나는 등 사회적 낙인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Dhanani & Franz, 2020; He, He, Zhou, Nie, & He, 2020). 또한, 코로나19 이후 여러 국가에서 중국인에 대한 입국이 제한된 가운데, 해외에서 학업을 수행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은 주류 사회로부터 편견, 멀리함, 괴롭힘 등 낙인을 받았고(Ma & Zhan, 2020), 우울, 외상후스트레스, 불안 등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고되었다(Song, Zhao, & Zhu, 2021; Zhao, 2020).

사회적 낙인은 사회에서 “심각하게 평가 절하되는 특징”을 지닌 집단에게 부여되는 것으로(Goffman, 1963, p.3), 감염병은 낙인과 높은 관련이 있다. 사람들은 감염의 위험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감염 위험이 높은 개인 및 집단에 대한 혐오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행동 면역 체계(Behavioural Immune System)를 작동하여(Schaller, 2011) 코로나19의 감염 경로와 관련이 있는 인종 집단에게 낙인을 부여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더욱이 낙인은 위기 상황에서 주류 사회 내 권리를 가진 자가 아시아인들을 ‘타자(otherness)’로 인식하고 불평등의 대우를 하는 사회적 맥락에서 발생한다(Roberto, Johnson, & Rauhaus, 2020). 낙인은 대상자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전문적인 건강서비스의 이용을 막는 장애물이 되므로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Li & Galea, 2020).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한국 사회도 코로나19의 공포와 불안에서 예외는 아니며,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낙인이 확산되었다. 국내 언론 보도와 댓글에서는 중국과 관련한 단어가 코로나19와 연관하여 많이 나타났고(오미애, 전진아, 2020), 2020년 1월 코로나19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중국인 또는 중국인 유학생에 대한 입국금지를 요청하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국민청원, 2020). 더욱이 코로나19 유행 초기 중국에서 겨울 방학을 보낸 중국인 유학생들이 새 학기를 맞이하여 한국에 입국하고 있었기 때문에 중국인 유학생들을 잠재적 바이러스 보균자로 여긴 국민들의 공포와 두려움은 커졌고, 이들에 대한 비난과 차별이 만연하게 되었다(김우영, 김송이, 이은영, 2020).

국외에서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나타난 사회적 낙인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 프랑스 등에 거주하는 아시아인 또는 아시아계 후손이 경험하는 낙인 경험과 영향(Ha et al., 2020; Lee & Waters, 2021; Wang, Chen, Li, Luu, Yan, & Madrisotti, 2021)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중국인 유학생들이 코로나19 이후 겪는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어려움에 대한 연구도 보고되었으나(Ma & Zhan, 2020; Song et al., 2021; Zhao, 2020), 대부분이 서구 사회에서 경험하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어려움에 집중되어 있었다. 국내에서는 코로나19 확진자 및 고위험군에 대한 혐오 및 배제에 대한 우려(박한선, 2020)나 코로나19 상황에서 온라인 커뮤니티가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인 유학생들에게 갖는 역할(Jang & Choi, 2020)에 대해 연구되었지만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인 유학생들이 코로나19 이후 겪는 낙인과 이로 인한 어려움은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한국은 중국인 유학생이 많이 배출되는 국가 중 하나로, 2020년도 우리나라의 중국인 유학생은 67,030명이었고 전체 유학생 중 가장 높은 비중(43.6%)을 차지하고 있다(교육부, 2020). 더욱이 이들은 법적인 지위를 받고 오랜 기간 국내에서 생활터전을 구축한 중국인 이민자들에 비해 주로 가족 없이 혼자 거주하여 한국 내 친밀한 사회적지지 네트워크가 제한적인데다 학업 진로와 문화적응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중된다(정혜선, 2016). 더욱이 코로나19 이후 학교라는 유일한 사회적 활동 범위가 제한되었기 때문에 심리사회적 지원을 받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코로나19 발생 이후 중국인 유학생들이 한국 사회에서 어떠한 사회적 낙인을 경험하였고 이러한 낙인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중국인 유학생들의 사회적 낙인 경험은 어떠한가?’라는 연구 질문을 심도 깊게 탐색하였다.

Ⅱ. 선행연구 고찰

1. 감염병과 사회적 낙인

가. 감염병 관련 낙인화 과정

사회적 낙인은 결함이 있는 사람을 표시하기 위한 신체적 표식으로(Goffman, 1963),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힘에 의해 가치가 절하되는 사회적 정체성의 특성이나 특징을 갖는 사람들에게 부여되었다(Crocker, Major, & Stelle, 1998; Link & Phelan, 2001). 특히 특정한 질병을 갖고 있거나 부정적인 건강 상태에 있는 사람들은 거절, 비난 또는 평가 절하 등 사회적 낙인의 대상이 되기 쉽다(Pettit, 2008). 질병과 관련한 낙인은 주로 전염이 가능한 심각한 질병을 중심으로 낙인의 발생과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특히 사람과 동물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대중의 공포와 불안의 대상이 되는 감염병은 2003년에 대유행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과 2015년에 대유행한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에 뒤이어 코로나19까지 낙인을 가져오게 되었다.

그렇다면 감염병의 유행은 왜 사회적 낙인을 가져오는가? 샬러(Schaller, 2011)는 감염병이 유행하는 동안 사람들이 감염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여겨지는 특정 인구 집단을 고립시키고 멀리하는 이유를 병원균의 위협에 대한 무의식적 반응으로써 사람들이 ‘행동 면역 체계’를 작동시키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마치 몸속에 병균이 들어오면 싸우는 신체적 면역 체계와 같이 사람들은 지각적 단서를 이용하여 감염의 위험을 추론하고, 혐오적인 반응을 통해 이러한 단서에 반응하는 심리적 과정을 거치게 된다는 것이다(Schaller, 2011, p.3419). 감염의 위험을 발견하는 과정에서 이미 감염된 것으로 보이거나 다른 사람에게 감염을 확산시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이는 경우 혐오적인 감정뿐 아니라 인지적 반응이 나타나게 되어 감염을 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반응은 감염의 위험이 큰 질병일수록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Bishop, Alva, Cantu, & Rittiman, 1991), 위험을 탐지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감염 위험과 관련이 없는 개인 혹은 집단에게 반감이 생기고 낙인을 부여하게 된다(Schaller & Park, 2011). 이처럼 감염병에 대한 불안과 공포에 대한 반응으로써 특정 집단을 낙인화하는 과정이 무의식적인 것으로 설명되기도 하지만, 감염병에 부여되는 낙인은 보다 복잡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심도 깊은 고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나. 감염병으로 인한 사회적 낙인 대상

사회적 낙인은 개인뿐 아니라, 낙인의 대상이 되는 개인과 지리적 또는 사회적으로 연관된 사람들에게 부여될 수 있다(Link & Phelan, 2001). 즉, 질병에 걸린 또는 질병의 책임이 있는 당사자뿐 아니라, 감염 경로와 관련한 고위험군의 집단까지 사회적 낙인의 범위가 확산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인간에게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대유행되는 동안 사람들은 바이러스의 발생과 전파에 대한 책임을 특정 국가나 종교, 인종 집단에게 전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Muzzatti, 2005). 20세기에 가장 크게 유행했던 일명 ‘스페인 독감(Spanish Flu)’은 1918년부터 1920년에 걸쳐 전 세계적으로 수천 만 명의 사망자를 만들었는데, 실제로 스페인은 독감의 발생국이 아니지만 명칭으로 인해 감염병의 발생 및 확산의 책임을 특정 인종 집단과 연관하여 인과관계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낙인을 주었다(Hoppe, 2018).

이후 감염병의 위험이 있을 때마다 특정 인종 집단에 대해 낙인을 부여하며 외국인을 혐오하는 제노포비아(Xenophobia) 현상이 보고되었다(White, 2020). 특히 질병에 취약한 사람일수록 외국인 이민자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낮다는 연구 결과는 질병을 회피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외국인 혐오적 태도와 관련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Faulkner, Schaller, Park, & Duncan, 2004). Santana와 Dancy(2000)의 연구에서 미국에 거주하는 아이티(Haitian-American) 여성과 자녀들은 에이즈 보균자로 인식되어 학교, 직장, 교회 등의 지역사회에서 많은 편견과 낙인을 받았고, 이로 인해 자존감이 손상되고 친밀한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등 낮은 삶의 질을 갖게 되었다. 비슷하게 2003년 중국에서 SARS가 유행하였을 당시 뉴욕 차이나타운에는 SARS 확진자가 한 명도 없었지만 중국인들과 중국 문화를 SARS 발생과 관련지음으로써 차이나타운을 위험 지역으로 지목하여 기피하였다(Eichelberger, 2007). 또한, 홍콩 사회에서 SARS가 범유행한 시작점이 되었던 아파트 단지 거주자들은 본인이나 가족 중 누구도 확진자가 없었지만 지역 사회에서 낙인을 받았고 이로 인해 불면증, 가슴 통증, 분노 등의 어려움을 겪었다(Lee, Chan, Chau, Kwok, & Kleinman, 2005).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들은 감염병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이 권력이 없는 소수 집단이자 ‘타자’로서 해외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에게 비난과 배척을 가져옴으로써 사회적 낙인을 강화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

2. 코로나19 대유행과 사회적 낙인

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아시아인이 경험한 사회적 낙인

중국에 시작된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인해 서구 여러 국가들에서 아시아인 또는 아시아계 혈통을 가진 이들에 대한 낙인이 확산되었다(Liu, Finch, Brenneke, Thomas, & Le, 2020). 코로나19가 대유행하던 2020년 3월 1,141명의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Dhanani와 Franz(2020)의 연구 결과, 약 41.6%가 코로나19로 인해 아시아인에 대한 차별 행동을 한 적이 있었다고 나타났으며, 주로 아시아인의 옆자리나 아시아인이 있는 식당을 피하고, 공공장소에서 아시아인을 멀리하는 행동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코로나19와 관련하여 아시아인들이 경험하는 차별과 신체적 공격은 인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Ha et al.(2020)의 연구에서 미국에 거주하는 중국인, 한국인, 일본인, 베트남인, 아시아 태평양 섬주민들 모두 코로나19 이후 인종차별이 증가하였다고 인식하였으나, 그 중 중국인이 경험하는 차별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He 외(2020)의 연구에서 70개 국가에 거주하는 1,904명의 중국인 중 25%가 코로나19 이후 낙인을 경험하였고, 선진국에 거주하는 경우 더 많은 낙인을 경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프랑스에 거주하는 중국인 혹은 중국계 프랑스인 255명을 대상으로 한 Wang 외(2021)의 연구에서는 32.8%가 2020년 1월 이후 적어도 한 번 이상의 차별적 행동을 경험한 적이 있었는데, 주로 대중교통, 카페나 음식점 등의 폐쇄된 공간 또는 공개된 공간에서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의심, 멀리 함, 출입 거부, 언어적 또는 신체적 공격 등의 차별을 경험하였고 특히 절반 정도가 대중교통 내에서 좌석을 바꾸거나 공공장소에서 입을 가리는 것을 경험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이탈리아에서도 중국인들은 지역 내 바이러스 확산을 억제하는 데 기여하였지만, 코로나19의 발생국에서 온 사람으로서 많은 비난을 받았다(Adja, Golinelli, Lenzi, Fantini, & Wu, 2020).

코로나19로 인한 낙인 경험은 신체적, 심리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위험 요인이 된다. Lee와 Waters(2021)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아시아인과 아시아계 미국인 410명 중 약 29%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인종차별이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약 40% 이상이 불안, 우울, 수면 문제가 증가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인종차별 경험이 많고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건강 관련 문제가 많은 것으로 예측되어(Lee & Waters, 2021) 코로나19로 인한 차별을 인식하는 것은 정신적 스트레스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Liu et al., 2020).

나.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아시아인에 대한 낙인화 메커니즘

역사적으로 감염병은 특정한 인종 집단과 관련되어 왔다. 서구 사회에서 아시아인을 감염병의 전파자로 인식하고 아시아인에게 낙인을 부여한 경험은 1957년의 ‘아시아 독감(Asian Flu)’, 1968년의 ‘홍콩 독감(Hong Kong Flu)’으로 거슬러 올라가며(Hoppe, 2018), 이후 2003년 중국에서 SARS가 유행한 당시에도 감염병의 발생국으로서 아시아인에 대한 낙인이 지속되었다(Eichelberger, 2007; Person, Sy, Holton, Govert, & Liang, 2004). 감염병의 역사를 반복하듯 코로나19의 유행도 아시아인에 대한 낙인을 가져왔다. 무엇이 아시아인에 대한 낙인을 만드는 것일까? Cho, Li, Cannon, Lopez와 Song(2021)은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 나타난 아시아인에 대한 낙인화(stigmatization)를 위험에 대처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보는 대처 가설, 미디어로부터 사회적 정보를 학습한 반응이라는 미디어 가설, 소수 집단에 대한 인종차별적 믿음과 감정으로부터 이루어진다는 편견 가설로 설명하고 이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시도하였다. Cho 외(2021)가 제시한 3가지 이론적 설명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 아시아인에 대한 낙인화가 이루어지는 이유는 감염병이라는 위험과 불안에 대한 부적응적인 대처 전략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질병과 관련한 사회적 낙인은 사회구성원이 질병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그리고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지에 따라 달라지는데, 코로나19는 사람 간 밀접 접촉을 통해 전파되고 특이한 항바이러스제가 없으며, 잠복기가 길고 무증상 확진자들이 대거 발생하였기 때문에 감염 위험에 대한 공포가 커졌다(Bai et al., 2020; WHO, 2020b). 사람들은 이러한 두려움과 공포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코로나19와 관련 있는 개인과 집단을 피하는 행동 면역 체계를 가동하게 된다는 것이다(Schaller, 2011). 실제로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이 높고 바이러스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낮을수록 아시아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강한 것으로 보고되었다(Dhanani & Franz, 2020).

더욱이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아시아인에 대한 낙인화가 강화된 것은 코로나19와 관련된 미디어의 비과학적이고 편향적인 정보를 습득한 결과일 수 있다(Wen, Aston, Liu, & Ying, 2020). 감염병으로 인한 낙인을 줄이기 위해 세계보건기구(WHO, 2015)는 특정 인명이나 지명으로 바이러스를 명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는다고 권고하였으나, 많은 미디어에서 ‘중국인 바이러스’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코로나19를 특정 인종과 연결하였다(Zheng, Goh, & Wen, 2020). 최근 수행된 연구들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아시아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소셜미디어에 그대로 반영됨을 보여주고 있다. 2020년 3월 트위터에서 ‘중국 바이러스’ 또는 ‘중국인 바이러스’를 사용하는 트윗의 수는 10배 많아졌고, SNS를 통해 중국인에 대한 편견과 낙인이 확산되었다(Budhwani & Sun, 2020). Nguyen 외(2020)의 연구에서 다른 인종에 대한 부정적인 트윗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변화가 없는 데 비해, 아시아인에 대한 부정적인 트윗의 비중은 2019년 11월 9.8%에서 2020년 3월 16.5%로 68.4%가 증가하였다. 비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한 ‘암묵적 미국인다움 편견(Implicit Americanness Bias)’을 조사한 Darling-Hammond 외(2020)의 연구에 따르면, 아시아계 미국인은 유럽계 미국인에 비해서 미국인으로 인식되기 보다 더 ‘외국인’으로 인식되는 편견이 2020년까지는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보수적인 미디어를 통해 ‘중국인 바이러스’라는 낙인적 용어가 많이 사용된 2020년 3월의 3주간 이러한 편견이 다시 높아지는 경향이 보고되었다. 이처럼 비대면 의사소통이 주를 이루는 감염병 유행 상황에서 사회적 낙인과 관련한 소셜미디어의 역할을 검증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Tsai, Phua, Pan와 Yang(2020)의 연구에서 전통적인 뉴스미디어에 의존하고 소셜미디어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사람들은 아시아인에 대한 편견이 높았던 반면, 균형 잡힌 보도를 통해 코로나19와 관련한 뉴스를 접하는 사람들은 아시아인에 대한 편견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미디어를 통해 코로나19와 관련하여 학습하는 정보에 따라 아시아인에 대한 위험이나 불만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미디어가 아시아인에 대한 낙인적 태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확인해 준다.

마지막으로, 낙인화는 소수집단을 대상으로 지속되어 온 인종차별적인 편견에서 기인할 수 있다. 이는 Cho 외(2021)의 연구에서도 코로나19에 대한 낙인을 설명하는 강력한 요인으로 보고되었다. 전 세계가 코로나19의 발생이 중국으로부터 기인한다고 인식함으로써 아시아인에 대한 인종차별을 확산시켰고, 이는 역사 속 다른 감염병과 마찬가지로 외국인을 혐오하는 제노포비아를 가져와 ‘반아시아 혐오 범죄’가 증가하고 국가적 안보에 불안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Adja et al., 2020; DemirtaS-Madran, 2020; Gover, Harper, & Langton, 2020). 실제로 코로나19 이후 트위터를 차지하는 주된 내용은 중국 정부와 중국인에 대한 “비난”과 “인종주의”, 아시아인에 대한 인종차별을 반대하는 “반인종주의”, 코로나19가 가져온 “일상생활에서의 영향” 등에 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Nguyen et al., 2020),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와 관련한 인종차별적인 믿음이 표출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3.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중국인 유학생이 경험하는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어려움

학업을 수행하기 위해 해외에서 거주하고 있는 유학생들은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어려움뿐 아니라 소수 집단이자 이방인으로서 이중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유학생들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기숙사의 폐쇄, 해외여행 제한, 엄격한 비자 발급 정책 등으로 인해 본국으로 돌아가거나 현지에 머무르는 것 모두 어려움을 겪었고, 특히 중국인 유학생들은 코로나19 감염 고위험군으로 인식되면서 인종차별과 혐오 범죄들의 대상이 되는 등 주류 사회로부터 낙인을 받으며 매우 취약한 상황에 놓여있다(Hu, Xu, & Tu, 2020; Jiang, 2020). 실제로 방역 지침을 엄격히 준수할 경우 중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에서 코로나19 감염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낮다는 연구 결과도 있지만(Ryu, Ali, Lim, & Chun, 2020), 중국인 유학생들은 가족이나 친구를 만나기 위해 본국을 방문하는 것의 위험성을 낮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코로나19의 고위험군이라고 보고한 연구 결과도 있다(Ma, Heywood, & MacIntyre, 2020). 폴란드에서 중국인 유학생을 포함한 85명의 아시아인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Rzymski & Nowicki, 2020)에서 약 61.2%가 일상생활에서 코로나19와 관련한 편견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유학생들은 유학 중인 타국과 본국의 다른 문화로 인해 모순과 혼란을 느끼기도 하였다. 미국에 거주하는 30명의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한 Ma와 Zhan(2020)의 연구에 따르면, 이들은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모든 중국인에게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한 중국의 방역 지침과 확진자와 의료진이 아닌 경우는 마스크 착용이 불필요하다고 한 미국의 권고가 충돌하면서 혼란을 겪었고,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 공공장소와 학교에서 명백한 또는 미묘한 낙인을 경험하였다. 이는 위기 상황에서 주류 사회의 권력으로부터 형성된 낙인이 소수 집단에게 가해지는 폭력이라는 것을 잘 보여준다.

코로나19의 위기 속에서 유학생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타국에서 적절한 지원과 관심을 받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들은 타국에서 코로나19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해 중요한 건강정보를 습득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주로 자신의 민족 집단이 공유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의존하게 되는데, 중국인 유학생들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한국에서 경험하는 고통과 걱정, 스트레스 등을 온라인 중국인 커뮤니티에 호소하며 정서적 지지를 교류하였다(Jang & Choi, 2020). Hu 외(2020)의 연구에서 영국에 거주하는 중국인 유학생들은 코로나19와 관련하여 대학의 신속한 대응이 미비하였고, 본국에 있는 가족들의 도움을 받아 안전하게 머물 수 있는 국가로 체류지를 결정하여 이동을 진행하였다고 보고하였다. 한편, Nguyen와 Balakrishnan(2020)은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 호주에 거주하는 유학생들이 경제적 또는 정신건강의 어려움 등을 겪고 있으나 정부로부터 적절한 지원을 받고 있지 못한 점을 지적하며, 유학생들에 대한 연방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을 촉구하기도 하였다.

불안정한 환경에서 학업을 이어가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심리사회적 삶의 질은 심각하게 저해될 수밖에 없다. Song 외(2021)의 연구에서 미국 대학에 재학 중인 261명의 중국인 유학생의 약 37.5%가 코로나19 이후 중간 또는 심각한 수준의 외상후스트레스를 경험하였고 절반 정도가 불안을 경험하였으며, 심각한 수준의 경제적 압박을 받고 있거나 유학을 지속하기로 계획한 학생들 또는 건강 상태가 안 좋은 학생들이 높은 외상후스트레스, 불안, 우울 등을 보고하였다. 비슷하게 Zhao(2020)가 214명의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학교 4학년 학생들이 저학년보다 우울, 불안, 스트레스가 높았고, 코로나19 발생 이후 감염 위험, 재정적 스트레스, 여행 제한 등에 대해 가장 우려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코로나19 이후 중국 유학생들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여실히 보여준다.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인 유학생의 경험을 이해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20명의 의도적 표본(purposive sample)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 선정 기준은 첫째, 중국인 국적자로 대학에서 학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에 유학을 온 유학생 신분이어야 한다. 둘째,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삶의 변화를 잘 이해하기 위하여 한국에 유학 온 지 1년 이상 경과되었고,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2020년 2월부터 현재까지 한국에 거주하고 있어야 한다. 연구 대상자의 다양한 경험을 탐색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의 성별, 연령, 소속 학위과정, 전공, 재학 기간, 결혼 상태 등의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최대한 포함하고자 하였다. 다만,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 한국에 체류하지 않았거나 중국을 포함하여 국외로 출국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2. 자료 수집 절차

본 연구는 2020년 8월 동안 참여자 모집과 자료 수집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심층인터뷰를 수행한 제1저자와 연구 전반을 모니터링한 제2저자가 함께 심층 인터뷰에서 나타난 내용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의를 하며 연구 참여자의 경험이 이론적으로 포화가 이루어지는 시점을 결정하였고 이에 따라 최종 연구 참여자의 수를 결정하였다. 연구진은 모두 연구윤리교육을 이수하였고 질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충분한 훈련을 받았다. 특히, 제1저자는 현재 한국에서 사회복지 박사과정을 수료한 중국인 유학생으로, 중국어가 모국어이기 때문에 한국어가 능숙하지 않은 중국인 연구 참여자와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졌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중국인 유학생의 어려움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와 라포를 형성하고 이들의 경험을 자유롭고 솔직하게 표현하도록 독려할 수 있었다.

제1저자는 첫 번째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기 위해 국내에서 중국인 유학생이 가장 많은 서울에 위치한 5개 대학(교육통계서비스, 2020)을 중심으로 중국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SNS인 위쳇(WeChat)에 개설되어 있는 중국인 유학생 커뮤니티에 연구담당자의 연락처가 담긴 연구대상자 모집 공고문을 게시하였다. 연구 참여를 원하는 참여자는 연구진과 개별 연락을 통해 연구 기준에 적합한 대상자인지 확인하였고, 구두로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다시 설명 받은 뒤 서면 동의서를 작성하였다. 이후 연구 참여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를 결정하여 심층인터뷰를 시작하였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연구 참여자를 지속적으로 모집하는 한편, 인터뷰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들을 통해 새로운 연구 대상자들을 추천받았다.

심층인터뷰는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키며 대면으로 진행되었다. 제1저자는 연구 참여자에게 인터뷰 녹음에 대한 동의를 받고 인터뷰를 시작하였고, 간단한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을 시작으로 사전에 준비한 반구조화된 질문을 이용하여 코로나19 상황에서의 경험을 질문하였다. 모든 인터뷰는 중국어로 진행되었고, 핵심 질문인 ‘코로나19 이후 한국 사회에서 경험한 사회적 낙인은 무엇인가요?’에 대해 자유롭게 답변하도록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경험한 차별, 편견적 태도, 부정적인 시선 등은 무엇인가요?’, ‘그러한 경험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였나요?’ 등의 후속 질문을 이용하였다.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주로 집에 거주하며 고립된 생활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중국인 연구자에게 자신의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인터뷰는 최소 45분에서 최대 68분까지 소요되었고, 모든 연구 참여자들은 심층인터뷰가 종료된 이후 1만 원의 감사료를 받았다.

3.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성균관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에서 연구승인을 받은 이후 연구 참여자들의 서면 동의를 얻어 진행되었다(승인번호: SKKU-2020-07-023). 첫째, 자료 수집을 담당한 제1저자는 연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적혀 있는 서면 동의서를 연구 참여자에게 전달하였고, 구두로 다시 한 번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제공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연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고지 받은 상태에서 연구 참여를 자발적으로 결정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가 심층 인터뷰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불안이나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인터뷰 수행자와 연구 참여자 모두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하였다. 셋째, 심층 인터뷰가 시작되기 전 녹음에 대한 동의를 받았으며, 녹음된 인터뷰 내용은 연구진 이외에는 공유되지 않고 비밀이 보장될 것을 약속하였다. 넷째, 연구 결과물에는 연구 분석에 필요한 최소한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예: 성별, 연령, 학위과정, 전공분야 등)만 제시하여 연구 참여자의 신원을 식별할 수 없음을 설명하였다. 특히, 비교적 중국인 유학생이 많지 않아 신원이 드러나기 쉬운 특정 학교 및 학과 소속의 연구 참여자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공 대신 전공 분야를 제시하였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한국에서 경험한 낙인에 대한 질문을 받지만, 낙인으로 인해 생긴 트라우마와 같이 대답하고 싶지 않은 경험이나 감정은 이야기하지 않아도 어떠한 불이익이 없을 것이라고 알려주었다. 본 연구에서 참여자들이 연구를 중단하거나 질문에 대한 대답을 회피한 경우는 없었다.

4. 자료 분석

본 연구는 질적 자료의 의미 패턴을 파악하고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주제 분석(Braun & Clarke, 2006)을 실시하여 중국인 유학생들이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경험한 사회적 낙인과 대처와 관련한 주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질문과 관련하여 심층인터뷰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응답한 내용이 분석 자료가 되었다.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제1저자는 인터뷰 녹음파일을 연구 참여자들이 말한 그대로 중국어로 전사하였고, 녹음 과정에서 명확하지 않은 단어가 있을 경우는 인터뷰 당시 기록하였던 메모를 참고하여 맥락에 맞게 작성하였다. 수집된 질적 자료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질적 연구 분석 프로그램인 ATLAS.ti를 이용하여 두 명의 저자가 함께 자료 분석과정을 진행하였다.

먼저, 제1저자는 중국어로 이루어진 전사 자료를 프로그램에 입력한 후,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한 현상과 감정들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였다. 다음으로, 원자료를 중심으로 각 단어, 어절, 문장이 담고 있는 현상의 핵심 의미를 간결하지만 핵심적인 개방 코드로 만들어 엑셀로 정리하였고, 제2저자와 함께 비슷한 코드를 상위 그룹으로 묶어가며 사회적 낙인 경험과 대처에 대한 비슷한 코드들의 의미를 포괄할 수 있는 주제를 도출하는 과정을 지속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의 편견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국어가 모국어이면서 한국어에 능통한 제1저자(한국어능력시험(TOPIK) 6급 보유)는 중국어로 작성한 개방 코드 및 관련 인용문들을 한국어로 일차적으로 번역하였고, 번역본이 원문장의 의미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 작업을 거쳤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의 생생한 감정과 경험이 한국어로 번역될 수 있도록 연구 참여자가 이야기한 녹음 파일을 다시 들으면서 적절한 단어를 선택하였지 확인하였다. 이후 제2저자는 번역본에서 한국어로 의미가 잘 전달되지 않는 내용을 제1저자와 함께 다시 논의하며 원문장의 의미와 일치되는 표현으로 수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한국어로 번역된 최종 코드와 인용문을 바탕으로 각 주제들이 충분한 근거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하였고, 주제가 인용문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거나 인용문이 주제를 뒷받침할 수 없는 경우에 코드의 범주화와 주제 도출 과정을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종적으로 도출된 주제들에 대해 명확한 개념을 정의하였고, 주제의 내용을 잘 포괄할 수 있는 제목을 붙여 자료 분석 결과를 마무리하였다.

5. 연구의 엄격성

본 연구는 연구자 개인의 편견과 주관적 영향을 최소화하여 엄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고 진실된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Lincoln과 Guba(1985)가 제시한 신뢰성(credibility), 적용가능성(transferability), 의존가능성(dependability), 확인가능성(confirmability)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첫째, 연구자는 연구의 시작부터 끝까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자료 수집 단계에서는 연구 참여자와 일상생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충분한 라포를 형성하고 참여자의 솔직한 경험이 인터뷰에서 공유될 수 있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 단계에서는 인터뷰 전사 파일과 필드 노트에 근거하여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상세하게 정리하였고, 불명확한 부분은 연구 참여자에게 연락하여 정확한 의미를 확인받았다. 또한 최종적으로 도출된 연구 결과를 연구 참여자 1인에게 확인하여 연구 참여자의 관점이 사실적으로 반영되었는지 확인받았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면서 개인 영향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제2저자와 자료에 대한 많은 논의를 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 결과의 일반화가 아니기 때문에 비슷한 연구 대상들의 상황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는 않았다. 다만, 연구 참여자들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인 유학생들이 자신의 경험을 본 연구 결과와 연관지어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중국인 유학생 1명에게 본 연구의 결과를 공유하여 자신의 경험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의존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수행의 모든 절차를 기록으로 남기고 연구 방법에 자세히 기록함으로써 다른 연구자들이 비슷한 상황의 참여자들과 일관성 있는 연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자의 주관적 편견을 최소화함으로써 연구의 확인가능성을 확보하였다. 특히, 제1저자는 연구 참여자와 비슷한 상황에 있는 중국인 유학생이었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분석할 때 연구자의 주관적 관점이 개입되어 왜곡하거나 과대하게 해석하지 않도록 원자료에 근거하여 해석되었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제2저자와 논의를 통해 합의를 이끌어 내는 과정을 거쳤다.

Ⅳ. 연구결과

1. 연구 참여자의 특성

연구 참여자는 총 20명의 중국인 유학생으로, 14명의 여성과 6명의 남성으로 이루어졌다.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유학 관련 특성은 <표 1>에 제시되어 있다. 이들은 만 22세에서 만 41세까지의 다양한 연령 분포를 나타냈고, 1명의 기혼 여성을 제외하고는 19명 모두 미혼 상태로 보고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 서울에 위치한 5개의 대학에서 학부과정(6명)이나 석사과정(석사수료생 1명 포함 8명) 및 박사과정(6명)에 재학 중이었다. 이들의 전공은 사회과학 분야(사회복지학, 소비자학, 신문방송학, 경제학 등)가 9명으로 가장 많았고, 인문학 분야(국어국문학, 중국학, 문헌정보학 등)가 7명이었으며 공학 분야(산업공학, 인공지능학, 신소재공학 등)가 4명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은 모두 중국 본토 출신이었고, 이 중 1명(참여자 19)이 조선족이었다. 이들의 한국 체류기간은 모두 1년 이상으로 최소 16개월에서 최대 72개월이었고, 평균 체류기간은 40.6개월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현재 소속되어 있는 대학에서의 재학 기간은 최소 1학기에서 최대 8학기로 보고되었다. 이들은 모두 가족과 떨어져 한국에 거주하고 있었는데, 9명은 혼자 거주하고 있었고 11명은 룸메이트와 함께 거주하고 있었다.

새창으로 보기
표 1.
연구 참여자들의 개별적 특성(N=20)
연번 연령 성별 결혼상태 소속대학 현재 학위과정 전공분야 한국 체류 기간 현 대학 재학 기간 거주 형태
1 41세 미혼 A 대학 석사과정 사회과학 48개월 3학기 혼자 거주
2 25세 미혼 A 대학 박사과정 사회과학 36개월 2학기 룸메이트 동거
3 23세 미혼 A 대학 석사과정 사회과학 42개월 2학기 룸메이트 동거
4 30세 미혼 A 대학 박사과정 인문학 48개월 3학기 룸메이트 동거
5 22세 미혼 A 대학 학부과정 공학 30개월 1학기 혼자 거주(기숙사)
6 27세 미혼 A 대학 박사과정 인문학 54개월 3학기 룸메이트 동거
7 23세 미혼 B 대학 학부과정 인문학 54개월 5학기 룸메이트 동거
8 25세 미혼 B 대학 석사과정 사회과학 36개월 4학기 혼자 거주
9 26세 미혼 B 대학 석사과정 사회과학 36개월 4학기 룸메이트(기숙사) 동거
10 25세 미혼 C 대학 학부과정 인문학 60개월 4학기 룸메이트 동거
11 25세 미혼 D 대학 학부과정 인문학 72개월 8학기 혼자 거주
12 26세 미혼 B 대학 석사과정 인문학 24개월 4학기 혼자 거주
13 29세 미혼 B 대학 박사과정 공학 16개월 2학기 룸메이트(기숙사) 동거
14 24세 미혼 B 대학 박사과정 공학 36개월 1학기 혼자 거주
15 26세 미혼 B 대학 석사과정 공학 16개월 2학기 혼자 거주
16 30세 미혼 E 대학 학부과정 사회과학 48개월 6학기 혼자 거주
17 31세 기혼 E 대학 박사과정 사회과학 48개월 4학기 룸메이트 동거
18 23세 미혼 E 대학 학부과정 사회과학 30개월 4학기 혼자 거주
19 24세 미혼 B 대학 석사과정 사회과학 30개월 1학기 룸메이트 동거
20 26세 미혼 B 대학 석사수료 인문학 48개월 6학기 룸메이트 동거

2.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한국 거주 중국인 유학생의 사회적 낙인 경험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한국 거주 중국인 유학생의 사회적 낙인 경험은 3가지 주제(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무분별한 비난, 지역사회에서 마주한 중국인에 대한 경계와 차별,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낙인에 대한 대처 행동)와 관련하였고 총 1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가.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무분별한 비난

1) 중국 정부의 오명에 대한 분노와 억울함을 느낌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코로나19의 발생국으로 알려진 중국에 대한 무분별한 비난 및 욕설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빈번하게 경험하였다고 하였다. 특히, 연구 참여자들은 중국 정부가 코로나19의 발생국이라는 오명을 갖게 되면서 코로나19가 ‘중국 바이러스’, 또는 ‘중국인 바이러스’ 라고 불리게 되었고, 코로나19에 대한 중국 정부의 초기 방역 대응이 미흡했던 것에 대해 도를 넘는 비난을 받게 되었으며 중국과 관련한 기사에는 수많은 악플 공격이 올라오는 것을 목격하였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 참여자들은 ‘중국인들은 그렇게 당해도 마땅하다’, ‘중국은 (코로나19로) 업보를 받았다’라는 등의 원색적인 비난을 받았고, 일부 참여자들은 중국 정부에 대한 한국인들의 비난이 마치 자신을 비하하는 듯 느껴졌다고 하였다. 중국에 대한 오명은 중국인들에 대한 비난으로 이어졌고, 이로 인해 중국인의 한국 입국을 금지하도록 요청하는 국민청원과 편의점이나 음식점 등에서 중국인의 출입을 금지하는 대응이 이루어진 것에 대해 분노와 억울함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이들은 코로나19와 관련하여 중국인에 대한 두려움으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는 것은 이해할 수 있지만, 사회적 차별을 가져올 수 있는 악의적인 언어의 사용으로 중국인을 무분별하게 비난하는 것을 자제하여 주기를 바랐다. 또한, 코로나19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중국 정부와 중국인이 엄격한 방역과 격리 조치를 취한 노력이 인정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중국 바이러스’, ‘중국인 바이러스’라는 말을 요새 자주 들었잖아요. 너무 불편해요. 사람들은 이런 악의적인 단어를 사용하고 중국 사람을 공격하는 것은 너무 우호적이지 않아요. 개인의 안전을 위해서 (중국인과) 거리두기를 할 수 있지만 악의적인 낙인은 부여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참여자5)

제 생각에 많은 외국인들이 우리가 (코로나19 발생 초기) 두 달 동안 무엇을 겪었는지 이해하지 못하고 있어요. 중국에서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나타났지만 바이러스를 막기 위해 우리가 얼마나 엄격한 격리 절차를 수행했는지 외국인들은 모르잖아요. 우리의 많은 노력과 희생에 대한 인정을 못 받았다는 것에 대해 억울하고 분노해요. (중략) 한국 사람들은 중국 사람들을 바이러스 보균자로 생각하고 있잖아요. 사실 우리의 격리 절차를 겪으면 감염될 확률이 정말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거예요. (참여자1)

2) 인종차별과 정치적 대립으로 이어질 것에 대한 우려가 있음

일부 참여자들은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해 전 세계가 협력하여 대응을 해야 하지만, 코로나19 발생 책임 소재에 대한 비난에 집중되어 정작 코로나19의 해결보다는 갈등과 대립이 고조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즉, 코로나19로 생긴 중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인터넷 환경 안에서 끊임없이 재생산되어 인종차별이나 정치적 대립과 같은 사회적 문제가 야기될 것을 우려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 대유행이 종식된 이후 다양한 사회적 재난이 발생할 경우, 중국인과 같이 특정 집단에 대한 차별과 낙인의 담론으로 확대될 수 있고, 이는 국가 간의 대립과 갈등으로 이어져 전 세계적인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코로나19 이후 드는 생각은 나중에 재난이 발생할 빈도가 높을 수 있어요. 새로운 바이러스가 아무 예고 없이 다시 등장할 수 있어요. 옛날부터 ‘지구촌’이라는 개념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공공 사건을 대비할 때 우리가 ‘지구촌’이라는 개념을 잊어버렸어요. 국가 간, 민족 간 서로 비난하고 무시하는 것이 진짜 문제예요. (참여자4)

인터넷의 일부 주장에 대해 매우 불쾌해요. 그런 말을 통해서 국가 간, 민족 간, 심지어 인종 간의 대립만 야기한 것 같아요. (참여자13)

3) 중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대응하지 못하여 무력함

연구 참여자들은 중국의 코로나19 발생 책임과 대응 정책에 대한 다양한 논쟁들이 미디어를 통해 사회적으로 양산되기도 하고, 개인적으로 지인들 사이에서 거론되고 있지만, 정확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이들도 코로나19의 발생 시기, 전염 경로, 전파 속도에 대해 충분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코로나19 발생 책임에 대한 낙인을 해명할 수 없는 무력감을 느꼈다고 하였다. 특히 중국인에게 책임을 묻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개인적으로 한국인 친구들과 만난 자리에서 관련 이야기가 나오면 도망가고 싶을 정도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고 토로하였다. 예를 들어, 한 연구 참여자는 한국 언론에서는 중국이 코로나19의 발생국이기 때문에 코로나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중국인의 입국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보도되는 한편, 중국 언론에서는 다른 국가와 비교하여 중국의 방역 시스템이 최선이라는 주장이 보도되고 있어 두 나라의 미디어로부터 정보를 받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으로서 코로나19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판단하기 힘들고, 이는 결국 중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 쉽게 대응하기 어렵게 만들었다고 하였다.

코로나19가 처음 발생한 곳은 중국이잖아요. 그 전에 다른 나라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있었는지 없었는지 학계에서 계속 논쟁하고 있지만, 일반 사람의 생각에서 중국은 코로나19의 발생국이에요. 저도 ‘중국 바이러스’라는 말이 싫지만 학계에서 정확한 답이 없으면 우리도 설명할 수 없어요. (참여자2)

사회 분위기 때문에 한국 친구들과 만나면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요. 관련한 문제가 나오면 제가 생각하는 게 맞는지가 모르고 설명하기 어려워서 도망치고 싶거든요. (참여자6)

코로나19 전에는 낙인을 경험하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제 능력 안에서 반격하거나 설명하는 편이에요. 근데 코로나19는 확실하지 않잖아요. 발생지가 확실하지 않고 전파 경로가 확실하지 않아서 제가 다른 사람한테 설명하고 싶어도 설명할 수 없으니까 답답해요. (참여자17)

4) 중국인에 대한 비난보다는 응원과 관심에 집중함

일부 연구 참여자들은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무분별한 비난과 부정적인 인식에 심리적인 상처를 받기도 하였지만, 이것이 자신의 개인적인 삶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들은 인터넷에서의 악플 공격은 오랫동안 있어 왔던 사회의 문제이고,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나타난 중국인 유학생에 대한 악플 또한 대부분이 중국에 대한 오해나 사실 확인이 되지 않은 소문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일부 악의적인 발언에 대해서 신경을 쓰지 않는다고 하였다.

어떤 뉴스의 댓글에는 꼭 악의적인 댓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거든요. 저는 일부러 외면하지 않아요. 가끔씩 화날 때도 있지만, 이런 댓글을 남긴 사람들이 중국을 참 모르구나 라는 생각이 가장 많이 들어요. 그래서 악플러의 말에 대해 신경을 쓰지 않아요. (참여자11)

인터넷에서 어떤 발언을 보고 마음이 불편했던 적이 있죠. 이런 상황에 익숙해요. (중략) 그런데 삶에 대한 큰 영향은 없어요. 한국은 댓글 관리를 많이 노력하니까 우리도 댓글을 골라서 봐야죠. (참여자17)

일부 연구 참여자들은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비난 기사나 악플 못지않게 한국 내에 거주하는 중국인, 특히 중국인 유학생에 대한 응원의 목소리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비난을 극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한 참여자는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중국인 유학생의 입국 금지에 대한 여론이 높았음에도 한국 정부는 후베이성(湖北省)을 방문한 경우만 입국을 금지하는 제한적 조치를 취하는 등 유학생의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여 학업, 일상생활 적응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을 알고 있다고 하였다. 이처럼 한국 정부뿐 아니라 한국인들이 어려운 환경 속에 있는 중국인 유학생에 대해 따뜻한 관심과 응원을 보내주고 있기 때문에 부정적인 경험 보다는 긍정적인 시선에 집중한다고 하였다.

제가 중국 사람이라는 이유 때문에 한국 사람들이 저를 피하거나 비방하는 것을 네 번 경험했어요. 이에 비해 저에게 관심 갖고 다가온 사람들이 더 많아요. 코로나19 이후에 한국 사회에서 중국 사람에게 나쁜 소리가 많아졌지만, 따뜻하고 좋은 소리 덕분에 나쁜 경험을 무시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참여자19)

나. 지역사회에서 마주한 중국인에 대한 경계와 차별

1) 중국인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당하고 유학생으로서의 권리를 갖지 못함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 한국에서 유학생으로 생활하고 있었는데,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한국 사회가 자신을 유학생이 아닌 중국인이라는 신분에 주목하면서 상점 출입금지, 택시 승차 거부 등의 차별을 경험하였고 소외감과 고립감을 느꼈다고 하였다. 이들은 주로 학교 안에서 친구들이나 또래 유학생들과 상호작용을 하는 등 사회적 관계가 넓지 않기 때문에 서로에 대한 경계를 하는 경우가 많지 않았지만, 학교 밖에서는 학생이 아닌 중국인으로서 자신에 대한 차별과 편견적 태도를 언제든지 경험할 수 있다는 생각에 불안함이 가중된다고 하였다. 특히, 일부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중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의 의료 자원을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인식을 경험하였고, 이후 유학 생활에 대한 회의감을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중국인 친구와 함께 택시를 탔는데요. 둘이서 계속 대화를 하니까 택시기사가 우리가 중국인이라는 걸 알게 되더라고요. 우리한테 빨리 내리라고 얘기했어요. (참여자5)

한국 사람들은 유학생이 한국에 와서 한국의 자원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너무 열 받아 하는 것 같아요. 근데 우리는 유학생이잖아요. 우리가 등록금도 내고 있고 보험도 가입하고 있고 세금도 내고 있잖아요. 우리가 왜 한국의 자원을 사용할 수 없는가에 대해 늘 고민하고 있어요. (참여자8)

2) 친밀한 학교 환경에서 경계를 받는 것이 서운함

연구 참여자들은 평소 가장 많은 시간을 보냈던 캠퍼스에서 교직원이나 근처 식당 직원들로부터 자신에 대한 경계심을 느꼈다고 하였다. 특히 평소 친밀한 관계를 갖고 있던 사람들이 코로나19 발생 이후 자신에게 달라진 태도를 보이거나 멀리하는 것이 느껴질 때 서운함을 느꼈다고 하였다. 한 연구 참여자는 기숙사 입주 시 자신의 체온을 재는 선생님이 이전과 달리 긴장한 모습을 보이는 것을 느꼈고, 다른 참여자는 학교에서 중국인 유학생에게만 추가적인 격리 절차를 적용한 것이 지나친 경계심을 보이는 것 같아 불편한 마음이 들었음을 토로하였다. 또한, 당시 해외에서 입국한 학생들은 14일 동안 자가 격리를 한 이후 학교의 건강검진을 거쳐 격리 확인서를 발급받아야만 강의실 입실이 가능하였는데, 일부 참여자들은 이러한 격리 절차를 중국인에게만 적용한 것이 서운했다고 하였다.

제가 기숙사에 가서 1층에서 입주 정보를 쓸 때 기숙사 선생님은 너무 긴장해 보였어요. 체온을 5번 쟀어요. 이마에도, 손목에도 다 쟀어요. 너무 긴장하는 것 같았어요. 제가 반년 전에 한국에 왔고, 최근에 들어온 게 아니라고 설명 드렸더니 선생님이 긴장을 푼 것 같았어요. 그 때 코로나19로 인해 한국인들이 중국인한테 이렇게 경계하구나 라는 걸 느꼈어요. (참여자13)

자주 가던 식당에 ‘중국인 출입금지’라는 종이가 입구에 붙었어요. 그 종이를 보고 상처를 받은 느낌이 들었어요. 그 식당은 학교 근처에 있어서 유학생들이 자주 갔어요. 근데 코로나19가 발생한 후 바로 이런 행동을 하니 중국인 학생으로서 너무 불편하고 쌓였던 정이 없어지는 것 같았어요. (참여자10)

다른 국가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나타났는데도 학교 안에서 중국 유학생만 대상으로 격리 절차를 규정한 것에 대해 불만이 있었어요. (참여자4)

3) 중국인에 대한 경계와 거리두기를 중립적인 관점에서 이해함

일부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 발생국으로서의 비판과 중국인에 대한 거리두기에 대해 다소 불편한 마음이 있지만 중립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이들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중국인을 멀리하고 중국인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은 코로나19의 위험과 두려움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행동이기 때문에 이해할 수 있다고 하였다. 한 연구 참여자는 자신도 코로나19가 우한(武漢) 지역에서 발생하기 시작한 초기에는 우한 사람들을 멀리하고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인식이 있었던 것을 이야기하며, 위험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누구나 갖게 되는 “본능적인” 행동이라고 이해한다고 하였다. 또한, 지역사회에서 중국인 유학생을 마주치는 경우, 언제 중국에서 입국하였는지, 격리 기간은 종결되었는지 등의 정보를 제대로 알 수 없기 때문에 불특정하게 만나게 되는 중국인들에 대한 경계와 물리적 거리두기는 어쩔 수 없는 반응이라고 이해하였다.

코로나19 초기 우리도 이런 생각이 있었어요. 그 때는 우리가 (코로나19의 발원지인) 우한 사람들을 그렇게 미워했는데요. 이건 그냥 본능적인 반응이에요. 그 때 왜 우리의 동포를 미워했는지 설명할 수 없는 것처럼 한국 사람들이 왜 우리를 미워하는지도 설명할 수 없어요. (참여자7)

지금 전 세계는 이번 코로나19가 중국에 발생하고 피해를 입힌 뒤 전 세계로 확산하였다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요. 그리고 한국 사람들은 중국인 유학생이 언제 중국에서 왔는지 격리를 잘 했는지에 대한 판단할 수 없으니까 거리두기를 취하는 걸 이해할 만해요. (참여자5)

4) 개인의 노력으로 해결될 수 없는 낙인에 답답함과 무력감을 느낌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중국인으로서 한국에서 겪는 낙인은 한 개인이 노력하여 해결할 수 없는 사회적 문제이므로 답답함과 무력감을 느꼈다고 하였다. 이들은 코로나19 발생 이전에도 유학생으로서 금전적, 학업적, 또는 생활적 어려움이나 중국인에 대한 편견을 경험한 적이 있었지만, 코로나19로 인한 낙인은 지금까지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또 다른 차원의 어려움이라고 하였다. 예를 들어,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에는 ‘중국인은 위생 습관이 좋지 않다’, ‘중국 학생은 공부를 열심히 안 한다’는 편견적 태도를 경험하였지만, 성실한 태도를 보이거나 인간으로서 신뢰를 쌓는 등 자신의 노력으로 대부분의 편견을 해소하고 극복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받는 사회적 낙인과 편견은 자신의 잘못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단지 중국인이라는 이유 때문에 야기된 것이기 때문에 과연 해결이 될 수 있는 문제인지 답답함을 느꼈고,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문제가 발생할 지 예측할 수 없어 두려움과 무력감을 느낀다고 하였다.

옛날에 제가 한국어를 하면 (한국인들이) 같이 중국 음식에 대해 이야기하고 중국 여행지도 추천해 달라고 했어요. 근데 코로나19 이후 고객에게 고소를 한 번 당했어요. 제가 중국인이라는 이유로요. 이건 제가 어떻게 노력해서 해결될 수 있는 일이 아니잖아요. (참여자7)

코로나19 전에도 한국에서 어려움을 많이 겪었지만 그것은 다른 사람들이 저한테 주는 스트레스가 아니에요. 예를 들어, 등록금 문제나 생활비 문제, 공부 스트레스 이런 문제들은 제가 스스로 원인을 찾아서 스스로 해결책을 만들면 되는 거였어요. 근데 코로나19 이후에 받는 스트레스는 제가 해결할 수 없는 스트레스예요. 저의 실수나 잘못 때문에 야기된 문제가 아니고 그냥 제가 한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사회적 낙인을 당하게 됐어요. 그래서 제가 할 수 있는 일이 없어요. (참여자9)

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낙인에 대한 대처 행동

1) 중국인이라는 신분이 드러나지 않도록 함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중국인이라는 이유로 사회적 차별이나 편견을 경험하였거나, 인터넷이나 미디어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중국인들의 사회적 낙인 경험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공공장소에서 자신이 중국인이라는 것이 알려지는 것에 대해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코로나19가 확산됨에 따라 한국 사회에서 중국인을 코로나바이러스 보균자로 여기거나 공격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을 피하고, 불필요한 분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신이 중국인이라는 신분이 최대한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고 하였다. 특히 코로나19의 대유행이 심각했던 초기에는 자신이 중국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 주변에 있던 한국인이 자신을 두려워하는 눈빛과 거부하는 행동을 자주 목격하였기 때문에 자신을 지키기 위해 중국인이라는 신분을 드러낼 수 없었다고 하였다. 신분을 숨기기 위해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중국어를 사용하지 않거나 아예 말을 하지 않게 되었다고 하였다. 한 연구 참여자는 이를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이자 자신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있는 타인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이라고 표현하였다. 즉, 지하철이나 버스 안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자신이 중국인이라는 것이 드러났을 때 차별과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일 뿐 아니라, 자신으로 인해 두려움을 갖고 공황상태를 겪을 수 있는 한국인을 위한 행동이라고 이야기하였다.

저는 지하철에서 중국어를 안 해요. (중국어를 하면) 다른 사람들의 눈빛을 느낄 수 있어요. 악의적이고 불친절한 눈빛이에요. 그래서 친구와 같이 지하철을 타도 문자로 대화해요. 말하지 않아요. (참여자7)

만약 제가 중국인이라는 것을 주변 사람들이 알게 되면 바이러스 보균자라고 생각할 수 있고 저한테 공격할 수 있으니까 밖에 나가면 중국어를 안 해요. 부정적인 목소리가 너무 많아서 저를 보호할 수밖에 없어요. (참여자12)

제가 중국인이라는 것을 알리고 싶지 않은 경우가 있어요. 제가 우리나라를 사랑하지 않는다거나 부끄럽다는 말이 아니고요. 그냥 이 세상이 색안경을 끼고 우리나라를 보고 있거든요. 이런 상황에서 한국 사람들이 중국 사람에 대해 예민할 수 있고 미워할 수도 있어요. 이 와중에 제가 중국어를 하면 주변 사람들은 이상한 눈빛으로 저를 쳐다보겠죠. 그래서 여러 가지 일을 경험해보고 자기보호하기 위해 저의 신분을 숨길 수밖에 없어요. (참여자18)

2) 한국인과 사회적 관계를 거리두기 함

많은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수개월간 사회적 관계를 최소화하였고, 특히 중국인에 대한 낙인을 갖는 한국인들과 대면 접촉을 거의 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이들은 코로나19의 감염 예방을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기도 하였지만, 중국인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사람들과의 사회적 관계를 단절하기도 하였다. 한 연구 참여자는 중국인을 만나는 것에 대한 한국인들의 부정적인 정서를 충분히 이해하기 때문에 사람들과의 관계를 최소화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이야기하며, 자신의 존재가 한국인 친구들이나 교수님에게 민폐를 끼치거나 이들을 불안하게 할 수 있다는 우려로 대면 만남을 아예 포기하기도 하였다.

코로나19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최상의 방법은 거리두기예요. 그리고 중국 사람으로서 한국 사회의 낙인을 피하기 위해서는 밖에 안 나가는 게 최선의 방법이 아닐까요? 코로나19로 인해 중국 사람들에게 불친절하고 중국 사람들을 거부하는 사람들을 만나고 싶지 않아요. (참여자 5)

친한 사람도 아마 우리를 피하고 싶은데 얘기하지 못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제가 눈치껏 지인들을 찾아가지 않고 집에 있기로 했어요. 그리고 이번 학기에 교수님을 찾아뵙지 않았어요. 제가 불편해서 그냥 찾아뵙지 않았어요. (참여자 1)

한국인 생각에는 중국인이 제일 (코로나19 감염에) 위험해요. 중국인은 다 바이러스를 갖고 다니고 있다고 생각해요. (중략) 제가 할 수 있는 것은 그냥 밖에 안 나가고 사람들과 만나지 않는 것뿐이에요. (참여자 7)

3) 사회적 낙인을 경험할 수 있는 장소나 사람을 피함

일부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에는 한국과 중국의 문화적 차이로부터 생기는 다양한 어려움에 대해 적극적으로 상대방과 소통하거나 교류함으로써 해결하였지만, 코로나19와 관련한 낙인은 쉽게 바뀌기 어려운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적극적인 해결책을 찾는 대신 다소 소극적인 대처를 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들은 중국인에 대한 낙인 경험이 반복되지 않도록 이전에 낙인을 경험하였던 장소나 사람을 피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한 연구 참여자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낙인을 경험할 수 있는 특정 장소나 사람을 즉각적으로 피할 수 있도록 자전거를 구입하여 교통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하였고, 다른 연구 참여자는 중국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 식당을 다시 이용하지 않거나 중국인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악플이 있는 뉴스를 차단하였다고 하였다.

제가 감정적인 사람이에요. 그래서 낙인을 느낄 수 있는 장소나 사람을 판단하고 일부러 피해 다녀요. 코로나19 이후 제가 자전거를 산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에요.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을 찾았고, 피하고 싶은 장소나 사람을 피할 수 있거든요. 초기에 어떤 식당의 사장님은 (저에게) 음식 포장을 권고했어요. 이런 일을 겪고 싶지 않아서 제가 거리두기를 선택했어요. (참여자18)

제가 식당에서 치아교정기를 잊어버린 적이 있어요. 다음 날 찾아갈 때 사장님은 너무 불쾌한 말투로 이미 버렸다고 말했어요. (중략) 나중에 생각하면 그 사장님은 제가 중국인이라는 걸 알고 제 구강에서 쓰는 물건에서 바이러스가 있을 수 있어서 그냥 버린 것 같아요. 근데 사과도 없고 심지어 너무 안 좋은 말투로 저한테 말을 하니까 제가 한국어도 잘 못해서 당황했어요. (중략) 유일한 대처 방법으로 나중에 그 식당을 가지 않을 거예요. (참여자19)

4) 사회적 낙인을 변화시키기 위해 올바르게 행동함

일부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와 관련하여 중국인에게 부여되는 낙인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구성원 개인의 올바른 행동과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들은 코로나19로 인한 낙인은 개인이 아닌 중국인 전체 집단에 대한 것이지만, 타국에 거주하는 중국인 대표로서 책임감을 갖고 중국인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행동을 수행해야 한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마스크 착용과 같은 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엄격히 수행하는 등 코로나19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모범적인 행동을 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한 연구 참여자는 당장의 사회적 낙인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낙인적 상황(예: 자신이 중국인이라는 것)을 숨기면 이 낙인이 ‘영영 사라지지 않는다’는 믿음을 갖고 있었기에 자신이 중국인이라는 사실을 숨기지 않고 오히려 중국인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더욱 노력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제가 잘해야 사회적 낙인을 경험하지 않는다는 생각이 많아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낙인은 개인에 대한 것이 아니라 집단에 대한 낙인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한 집단의 소속된 사람으로서 책임을 지고 행동해야 돼요. 만약 밖에 나갈 때 마스크를 안 쓰면 한국인의 시선에서 ‘중국인이 이런 짓을 하니까 병에 걸리는 거야.’ 라고 생각할 수도 있어요. 그래서 우리 스스로 잘해야 낙인을 경험하지 않을 거예요. (참여자2)

저는 (중국인에 대한) 인터넷 악플로 공공장소에 갈 때 더 조심스럽게 행동하게 되었고, 경각심을 가지고 행동하게 되었어요. (참여자17)

V.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사회적 낙인과 대처 경험을 심도 깊게 파악함으로써 코로나19 시대에 새로운 형태의 낙인을 경험하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심리사회적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가장 빈번하게 경험한 낙인 경험은 온라인과 같은 비대면 상황에서 나타났다. 한국의 언론 보도 및 댓글에서 코로나19와 관련된 연관어로 중국 혹은 중국인이 매우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오미애, 전진아, 2020), 연구 참여자들은 온라인상에서 간접적으로 중국인에 대한 비난과 욕설 등의 낙인적 태도를 경험하였다. 이들은 코로나19의 발생국이라는 중국의 오명에 대해 분노와 억울함을 느꼈고, 이러한 대립이 인종차별과 정치적 갈등으로 이어질 것에 대해 우려하였다. 이는 서구 사회에서 SNS를 통해 아시아인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과 낙인적 태도가 확산되는 경향과 일치한다(Budhwani & Sun, 2020; Nguyen et al., 2020). 소셜미디어에서 접하는 편견적 정보들은 장기간 저장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사라지지 않는 사회적 낙인을 부여할 수 있다(Budhwani & Sun, 2020). 특히, 복잡한 역사적 관계를 유지하여 온 한국과 중국은 디지털 공간에서 다양한 사회문제들에 대하여 상대국에 대한 혐오나 배타적 감정을 표출하는 방식으로 민족주의를 발현해 왔으며 이러한 담론은 매우 응집적이고 빠르게 확산되는 특징을 갖는다(류석진, 2020). 코로나19의 대유행도 디지털 공간에서 중국인에 대한 혐오적 태도를 확산시켰지만,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에 대한 정확한 정보나 지식의 부재로 인해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좌절감을 표현하였고, 오히려 중국인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한국인들과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실제로 SNS에서 코로나19와 관련한 인종차별과 낙인을 반대하는 글도 상당 부분을 차지하였다는 선행연구도 보고된 바 있어(Nguyen et al., 2020) 긍정적인 담론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이러한 결과는 문제의 원인이 되는 온라인상에서의 거대한 담론을 변화시키는 것에 한계를 느끼고, 무분별한 비난에 대한 자신의 부정적인 정서를 변화시키는 정서중심적 대처를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Lazarus & Folkman, 1984).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친밀하였거나 낯선 관계 모두에서 경계와 멀리함, 거절 등의 차별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서구 사회에서 보고된 중국인들의 낙인 경험과 일치하며(He et al., 2020; Wang et al., 2021), 한국 내에서도 중국인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존재함을 확인해 주었다. 특히, 유학생으로서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유학 국가에서 환영받지 못한 존재라고 인식되는 것도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Hu et al., 2020). 중국인 유학생들이 받는 경계와 차별의 가장 큰 이유는 코로나19의 감염 위험이 높을 것이라는 인식 때문이었는데, 이러한 낙인은 학교 내 친밀한 관계의 사람들에게 받았을 때 큰 상처가 되었다. 이들은 감염의 두려움과 공포를 탐지한 경우 관련한 개인과 집단을 피하는 것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무의식적인 행동이기 때문에(Schaller, 2011) 한국 사회에서 받는 경계와 차별을 중립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였지만, 사회구조적으로 만들어진 낙인 앞에 무력감을 느꼈다. 이는 대상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부족할 때 일부 특성을 관련지어 범주화하고 고정관념과 편견을 부여함으로써 낙인이 이루어지므로(Roberto et al., 2020) 보다 구조적이고 사회적인 차원에서 낙인에 대한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낙인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대처를 하였다. 사회적 낙인이 초래할 결과가 두려워 중국인이라는 사실을 숨기려고 하였고, 낙인적 태도가 예상되는 한국인과의 사회적 관계를 최소화하였으며, 낙인을 경험할 수 있는 장소나 사람을 피하는 행동을 취하였다. 이는 낙인의 결과를 피하기 위해서 낙인적 상황이나 조건을 비밀로 하거나 낙인이 초래될 수 있는 사회적 관계를 철회한다는 Link, Cullen, Struening, Shrout와 Dohrenwend(1989)의 이론을 뒷받침한다. 마스크를 착용한 유학생들에게 부여하는 낙인을 피하기 위해 학교 안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는 비밀 전략을 사용하거나, 교실 내에서 마스크를 착용을 암묵적으로 금지하는 동료들의 낙인을 피하기 위해 수업을 나가지 않는 사회적 철회 전략을 사용한 선행연구 결과와도 일치하였다(Ma & Zhan, 2020). 또한, 본 연구에서 일부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와 관련 사회적 낙인을 변화시키기 위해 방역지침을 올바르게 준수하는 등의 대처 전략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대처는 본국에서 영향을 받은 문화에 동화되기 보다는 현재 속해 있는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기 위한 과정으로 볼 수도 있고, 낙인을 부여하는 대상에게 낙인적 상황, 즉 중국인을 코로나19의 발생 및 확산과 연관시키는 것이 잘못되었음을 교육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 선정과 자료 수집의 과정에서 한계점을 갖기 때문에 다음의 사항을 고려하여 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의 비중이 높은 국내 5개 대학들을 중심으로 참여자를 모집하였기 때문에 서울에 거주하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경험에 집중되었고, 지방에 위치한 대학에 소속된 유학생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코로나19 대유행은 지역에 따라 심각도와 영향에 차이가 있었으므로 코로나19 유행 초기 많은 사회적 변화가 있었던 대구광역시 등 서울 이외 타 지역에서의 낙인 경험을 포함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갖는다. 후속연구에서는 지역별로 다양한 낙인 경험과 삶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2020년 1월부터 자료수집이 이루어지는 시점까지 한국에 계속 거주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중도에 중국이나 해외 국가에 체류하다 입국한 경우 연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해외에서 코로나19에 대한 대중들의 태도를 경험한 유학생들이 인식하는 사회적 낙인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중국인 유학생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 이들이 본국 또는 타국에서 경험한 낙인과 비교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다양한 낙인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연령이나 학위과정 등을 한정하지 않았고, 20대부터 4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참여자가 포함되었다. 그러나 주로 학부생인 20대와 대학원생인 30대 이상의 유학생들은 낙인으로 인해 받는 심리사회적 영향이나 낙인에 대한 대처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연령이나 학업과정 등에 따른 낙인 경험을 연구에서 밝혀볼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의 대상인 유학생들은 평소 대학 내에서의 상호작용이 중심을 이루었지만, 코로나19의 대유행이 시작된 2020년도 1학기부터 대학들이 전면 비대면 수업을 실시하였고 학교 시설의 이용을 금지하면서 학교 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매우 제한되었다. 이로 인해 대학 캠퍼스 혹은 기숙사 내에서의 낙인 경험이 제한적으로 보고되었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캠퍼스 내에서의 활동을 지속하였던 유학생들의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들은 낙인을 줄일 수 있다고 믿는 적극적 또는 소극적 대처행동을 하였지만, 이로 인한 결과를 파악하는 것은 본 연구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았다.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대표성이 있는 표본을 이용하여 중국 유학생들의 대처행동에 따른 지각된 낙인의 변화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코로나19 대유행이 장기화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중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사회적 낙인을 완화하고 이들의 심리사회적 삶의 질을 도모하기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중국인 또는 중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미디어의 불균형적인 정보 및 의견을 보다 균형적인 시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중국인 유학생들이 자주 접하는 소셜미디어 및 대학 내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학생들 간 인종차별 및 언어적 폭력을 없애고 중국인 유학생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강화시키는 편향된 정보들이 자정될 수 있도록 학생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두려움과 중국인과의 연결을 분리할 수 있는 정확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코로나19 유행 이후 물리적, 정서적으로 고립되어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정서적 지원이 필요하다. 유학생들은 유학 국가에서의 사회적 지지망이 제한적인데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및 해외여행 제한이 이루어지면서 본국에 돌아가지도 못하고 기존의 사회적 지지체계와도 단절된 채 폐쇄된 환경에 놓여있다. 사회적 지지는 코로나19로 인한 차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자원이 되며(Lee & Waters, 2021), 비슷한 상황에 있는 동일 민족의 온라인 커뮤니티는 비대면 상황에서 이러한 지지를 교환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은 중국인 유학생들이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고립되지 않고 정서적 지지를 받을 수 있는 대학 내 온라인 공동체를 형성하도록 지원하거나 기존의 지지모임을 연결해 주는 허브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코로나19와 관련하여 낙인을 경험하는 고위험군의 중국인 유학생들의 정신건강을 도모하기 위해 전문적인 심리상담을 제공해야 한다. 이들은 유학생으로서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어려움에 더하여 낙인의 어려움으로 정서적 고통을 겪고 있다. 이들은 낙인이 생기는 이유를 이해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낙인에 대한 분노와 억울함을 느끼기 때문에 이들의 양가감정을 확인하고 문화적 특성을 민감하게 고려하면서 심리적 외상을 치유할 수 있는 전문적 개입이 필요하다. 넷째, 중국인 유학생들이 친밀한 지역사회나 학교에서 느끼는 차별은 자신의 생활영역 밖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낙인보다 이들의 정신건강에 더욱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캠퍼스 내 또는 대학 주변 지역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중국인 유학생들이 겪는 낙인과 이로 인한 어려움에 대해 알리고 중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집단적인 차별과 편견을 해소하도록 적극적인 협력을 요청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낙인을 경험한 중국인 유학생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낙인에 대처하고 있었지만 이러한 대처행동의 적절성과 심리사회적 영향에 대해 알지 못하였다. 이들의 정신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건강한 대처 전략을 교육함으로써 코로나19 관련 낙인에 대한 자신의 인지적 평가와 이용 가능한 자원을 고려하여 문제 상황과 정서적 어려움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심리사회적으로 취약할 수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사회적 낙인 경험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한국 사회에서 중국인 유학생은 코로나19 감염 경로와 관련이 있는 타자로서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존재로 여겨지며, 주류 사회는 사회의 안전을 명분으로 이들에게 낙인을 부여한다. 그러나 지역사회 및 대학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이들이 경험하는 낙인은 심리적 외상이 된다. 코로나19의 위기 속에서 고립되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낙인을 완화하기 위해 학교, 지역사회, 정부 차원에서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보다 포용적인 사회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References

1 

교육부. (2020. 8.). 2020년 교육기본통계 결과 발표. https://www.moe.go.kr에서 2020. 12. 10. 인출.

2 

교육통계서비스. (2020). 국가별 학교별 외국인 유학생 현황(2013~2020). https://kess.kedi.re.kr/index에서 2020. 12. 10. 인출.

3 

국민청원. (2020). 코로나19에 대비해 일시적 중국인 유학생 입국금지해주세요.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585237에서 2020. 7. 30. 인출.

4 

김우영, 김송이, 이은영. (2020. 1. 29.). “中친구들 속속 귀국하는데 휴학해야 하나„… 대학가 덮친 우한폐렴 공포.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1/29/2020012902589.html에서 2020. 7. 30. 인출.

5 

류석진. (2020). 디지털 기억공간에서 민족주의가 발현되는 방식에 대한 연구-한중일 네티즌의 갈등사례와 정체성을 중심으로. 민족연구, 75, 76-107.

6 

박한선. (2020). 감염병 대응의 그림자. FUTURE HORIZON. pp. 34-41.

7 

오미애, 전진아. (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소셜 빅데이터 기반 주요 이슈 분석. 보건·복지 Issue & Focus, 376, 1-12.

8 

정혜선. (2016). 중국인 유학생의 우울 영향요인: 문화적응 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 및 진로스트레스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7), 63-72.

9 

Adja K. Y. C., Golinelli D., Lenzi J., Fantini M. P., Wu E.. (2020). Pandemics and social stigma: Who’s next? Italy's experience with COVID-19. Public Health, 185, 39-41.

10 

Bai Y., Yao L., Wei T., Tian F., Jin D. Y., Chen L., et al.. (2020). Presumed asymptomatic carrier transmission of COVID-19. JAMA, 323(14), 1406-1407.

11 

Bishop G. D., Alva A. L., Cantu L., Rittiman T. K.. (1991). Responses to persons with AIDS: Fear of contagion or stigma?.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1(23), 1877-1888.

12 

Braun V., Clarke V.. (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13 

Budhwani H., Sun R.. (2020). Creating COVID-19 stigma by referencing the novel coronavirus as the “Chinese virus” on Twitter: Quantitative analysis of social media data.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2(5), e19301.

14 

Cho H., Li W., Cannon J., Lopez R., Song C.. (2021). Testing three explanations for stigmatization of people of Asian descent during COVID-19: Maladaptive coping, biased media use, or racial prejudice?. Ethnicity & Health, 26(1), 94-109.

15 

Crocker J, Major B, Steele C.. (1998).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Boston: McGraw-Hill. FiskeSusan T., GilbertDaniel T., LindzeyGardner, Eds., pp. 504-553, Social stigma.

16 

Darling-Hammond S., Michaels E. K., Allen A. M., Chae D. H., Thomas M. D., Nguyen T. T., et al.. (2020). After “The China Virus” went viral: Racially charged coronavirus coverage and trends in bias against Asian Americans. Health Education & Behavior, 47(6), 870-879.

17 

DemirtaS-Madran H. A.. (2020). Exploring the motivation behind discrimination and stigmatization related to COVID-19: A social psychological discussion based on the main theoretical explanations. Frontiers in Psychology, 11, 569528.

18 

Dhanani L. Y., Franz B.. (2020). Unexpected public health consequences of the COVID-19 pandemic: A national survey examining anti-Asian attitudes in the USA.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65(6), 747-754.

19 

Eichelberger L.. (2007). SARS and New York’s Chinatown: The politics of risk and blame during an epidemic of fear. Social Science & Medicine, 65(6), 1284-1295.

20 

Faulkner J., Schaller M., Park J. H., Duncan L. A.. (2004). Evolved disease-avoidance mechanisms and contemporary xenophobic attitudes. Group Processes & Intergroup Relations, 7(4), 333-353.

21 

Goffman. E.. (1963). Stigma: Notes on the management of spoiled identit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2 

Gover A. R., Harper S. B., Langton L.. (2020). Anti-Asian hate crim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xploring the reproduction of inequality. American Journal of Criminal Justice, 45(4), 647-667.

23 

Ha S. K., Nguyen A. T., Sales C., Chang R. S., Ta H., Srinivasan M., et al.. (2020). Increased self-reported discrimination and concern for physical assaul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Chinese, Vietnamese, Korean, Japanese, and Filipino Americans. medRxiv. .

24 

He J., He L., Zhou W., Nie X., He M.. (2020). Discrimination and social exclusion in the outbreak of COVID-19.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8), 2933.

25 

Hoppe T.. (2018). “Spanish Flu”: When infectious disease names blur origins and stigmatize those infected.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8(11), 1462-1464.

26 

Hu Y., Xu C. L., Tu M.. (2020). Family-mediated migration infrastructur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nd parents navigating (im) mobil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hinese Sociological Review.

27 

Jang I. C., Choi L. J.. (2020). Staying connected during COVID-19: The social and communicative role of an ethnic online community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Multilingua, 39(5), 541-552.

28 

Jiang S.. (2020). Asian and Asian American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and career dilemmas during COVID-19. pp. 1-9.

29 
30 

Lazarus R. S.,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31 

Lee S., Waters S. F.. (2021). Asians and Asian Americans’ experiences of racial discrimin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mpacts on health outcomes and the buffering role of social support. Stigma and Health, 6(1), 70-78.

32 

Lee S., Chan L. Y., Chau A. M., Kwok K. P., Kleinman A.. (2005). The experience of SARS-related stigma at Amoy Gardens. Social Science & Medicine, 61(9), 2038-2046.

33 

Li Y., Galea S.. (2020). Racism and the COVID-19 epidemic: Recommendations for health care worker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10(7), 956-957.

34 

Lincoln Y. S.,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CA: Sage Publications Inc..

35 

Link B. G., Phelan J. C.. (2001). Conceptualizing stigma. Annual Review of Sociology, 27(1), 363-385.

36 

Link B. G., Cullen F. T., Struening E., Shrout P. E., Dohrenwend B. P.. (1989). A modified labeling theory approach to mental disorders: An empirical assess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4(3), 400-423.

37 

Liu Y., Finch B. K., Brenneke S. G., Thomas K., Le P. D.. (2020).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mental distress amid the COVID-19 pandemic: Evidence from the understanding America study.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59(4), 481-492.

38 

Ma T., Heywood A., MacIntyre C. R.. (2020). Travel health risk perception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Australia–implications for COVID-19. Infection, Disease & Health, 25, 197-204.

39 

Ma Y., Zhan N.. (2020). To mask or not to mask amid the COVID-19 pandemic: How Chinese students in America experience and cope with stigma. Chinese Sociological Review, 1-26.

40 

Muzzatti S. L.. (2005). Bits of falling sky and global pandemics: Moral panic and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Illness, Crisis & Loss, 13(2), 117-128.

41 

Nguyen O. O. T. K., Balakrishnan V. D.. (2020). International students in Australia–during and after COVID-19. Higher Education Research & Development, 39(7), 1372-1376.

42 

Nguyen T. T., Criss S., Dwivedi P., Huang D., Keralis J., Hsu E., et al.. (2020). Exploring US shifts in Anti-Asian sentiment with the emergence of COVID-19.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19), 7032.

43 

Person B., Sy F., Holton K., Govert B., Liang A.. (2004). Fear and stigma: The epidemic within the SARS outbreak.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10(2), 358-363.

44 

Pettit M. L.. (2008). Disease and stigma: A review of literature. Health Educator, 40(2), 70-76.

45 

Roberto K. J., Johnson A. F., Rauhaus B. M.. (2020). Stigmatization and prejudi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dministrative Theory & Praxis, 42(3), 364-378.

46 

Ryu S., Ali S. T., Lim J. S., Chun B. C.. (2020). Estimation of the excess COVID-19 cases in Seoul, South Korea by the students arriving from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9), 3113.

47 

Rzymski P., Nowicki M.. (2020). COVID-19-related prejudice towards Asian medical students: A consequence of SARS-CoV-2 fears in Poland. Journal of Infection and Public Health, 13(6), 873-876.

48 

Santana M. A., Dancy B. L.. (2000). The stigma of being named “AIDS carriers” on Haitian-American women.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21(3), 161-171.

49 

Schaller M.. (2011). The behavioural immune system and the psychology of human sociality.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66(1583), 3418-3426.

50 

Schaller M., Park J. H.. (2011). The behavioral immune system (and why it matter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20(2), 99-103.

51 

Song B., Zhao Y., Zhu J.. (2021). COVID-19-related traumatic effects and psychological reactions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Global Health, 11(1), 117-123.

52 

Tsai J. Y., Phua J., Pan S., Yang C. C.. (2020). Intergroup contact, COVID-19 news consumpt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digital media trust on prejudice toward Asians in the United States: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2(9), e22767.

53 

Wang S., Chen X., Li Y., Luu C., Yan R., Madrisotti F.. (2021). ‘I'm more afraid of racism than of the virus!’: Racism awareness and resistance among Chinese migrants and their descendants in Fra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uropean Societies, 23, S721-S742.

54 

Wen J., Aston J., Liu X., Ying T.. (2020). Effects of misleading media coverage on public health crisis: A case of the 2019 novel coronavirus outbreak in China. Anatolia, 31(2), 331-336.

55 

White A. I.. (2020). Historical linkages: Epidemic threat, economic risk, and xenophobia. The Lancet, 395(10232), 1250-1251.

5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World Health Organization best practices for the naming of new human infectious diseases. https://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163636/WHO_HSE_FOS_15.1_eng.pdf에서 2020. 11. 20. 인출.

5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a).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https://www.who.int/emergencies/diseases/ novel-coronavirus-2019에서 2020. 7. 30. 인출.

5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b). Social stigma associated with COVID-19. https://www.who.int/docs/default-source/epi-win/stigma/covid19-stigma-guide.pdf?sfvrsn=48f6ac1_2&download=true에서 2020. 11. 20. 인출.

59 

Zhao Y.. (2020). Psychological impacts of the COVID-19 outbreak o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Examining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World, 7(3), 45-58.

60 

Zheng Y., Goh E., Wen J.. (2020). The effects of misleading media reports about COVID-19 on Chinese tourists’ mental health: A perspective article. Anatolia, 31(2), 337-340.

Acknowledgement

IRB No. SKKU 2020-07-023, 성균관대학교


투고일Submission Date
2021-01-05
수정일Revised Date
2021-02-24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1-02-26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