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2개 논문이 있습니다
1

제38권 제2호

한국 전공의들의 직장 내 차별 경험과 심리적 스트레스, 우울감, 자살 생각과의 연관성
Workplace Discrimina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Psychological Distress,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Medical Residents in South Korea
최보경(고려대학교) ; 김지환(고려대학교) ; 김승섭(고려대학교)
Choi, Bokyoung(Korea University) ; Kim, Ji-Hwan(Korea University) ; Kim, Seung-Sup(Korea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38, No.2, pp.394-416 https://dx.doi.org/10.15709/hswr.2018.38.2.394
초록보기
Abstract

Few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workplace discrimination and mental health outcomes among medical residents. This study sought to 1) assess the prevalence of workplace discrimination; and 2)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workplace discrimination and mental health outcomes (i.e. psychological distress, depressive symptoms, suicidal ideation) among medical residents, using a cross-sectional dataset of 1,155 Korean medical residents in 2014. Experience of workplace discrimination over the past year and its reason (i.e.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ge, appearance, grade, and others) were assessed. Our analysis found that 27.1% (N=216) of male and 42.9% (N=153) of female medical residents experienced workplace discrimination over the past year. Among medical residents who experienced discrimination at work, the most common reasons for discrimination was educational background (32.4%) for male, whereas it was gender (69.3%) for female medical residents. Experience of workplace discrimin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psychological distress (PR: 2.27, 95% CI: 1.65-3.12), depressive symptoms (PR: 1.56, 95% CI: 1.32-1.83), and suicidal ideation (PR: 1.61, 95% CI: 1.04-2.49) among male where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only in the analysis of depressive symptoms (PR: 1.22, 95% CI: 1.00-1.48) among female residents. This study found that workplace discrimination was prevalent among Korean medical residents, and it was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problems.

초록

본 연구는 2014년에 전국 25개 전문과목 전공의 1,155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단면연구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의 연구목표를 달성하고자 했다. 첫째, 전공의들의 1년 동안 직장 내 차별 경험과 차별 경험의 요인은 무엇인지 확인한다. 둘째, 이와 같은 직장 내 차별 경험이 전공의들의 정신건강(심리적 스트레스, 우울감, 자살 생각)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남녀로 나누어 검토한다. 분석 결과, 남성 전공의 798명 중 216명(27.1%), 여성 전공의 357명 중 153명(42.9%)이 지난 1년 동안 직장 내 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차별을 경험한 전공의 중 남성 전공의는 출신학교(32.4%)와 나이(27.3%), 여성 전공의는 성별(69.3%)과 출신학교(30.7%)를 차별 경험의 주된 요인으로 보고하였다. 성별을 나누어 검토한 결과, 남성 전공의에서는 직장 내 차별 경험과 심리적 스트레스(PR: 2.27, 95% CI: 1.65-3.12), 우울감(PR: 1.56, 95% CI: 1.32-1.83), 자살 생각(PR: 1.61, 95% CI:1.04-2.49)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반면 여성 전공의에서는 직장 내 차별 경험과 우울감(PR: 1.22, 95% CI: 1.00-1.48)과의 연관성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공의들이 경험하는 직장 내 차별이 정신 건강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첫 연구로, 병원 내 차별 문제와 전공의의 정신건강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정책 수립의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2

제38권 제3호

고용불안정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용상태 변화 유형과 우울의 인과관계 추정
The Impact of Employment Instability on Mental Health: The Case of South Korea
변금선(한국노인인력개발원) ; 이혜원(서울대학교)
Byun, Geumsun(Korea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the aged) ; Lee, Hyewon(Seoul National University) 보건사회연구 , Vol.38, No.3, pp.129-160 https://dx.doi.org/10.15709/hswr.2018.38.3.129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employment instability on depression among wage earners aged 18 to 65 years using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KOWEP) data. Employment instability is becoming more common with the increase in irregular workers and the diversification of employment type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not full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mployment instability.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 of changes in employment status between 2010 and 2011 on the level of depression (CES-D) in 2011. We controlled for the endogeneity due to reverse causation and selection bias by applying instrumental variable estimation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As a result, employment instability has an significant effect on increased level of the depressive symptom. In particular, the unemployed and those who moved from regular to irregular jobs had a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those in regular employment. This result shows the social causation between employment instability and depression. Active policy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deal with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precarious workers.

초록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자료의 18세 이상 65세 미만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고용불안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비정규직 규모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고용유형의 다변화로 고용불안정이 일상화되고 있지만 고용불안정의 영향, 특히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자료 6차(2010년)와 7차 자료(2011년)의 근로연령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2개 연도 사이의 고용상태 및 고용상태 변화가 우울수준(CES-D)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도구변수추정과 성향점수매칭(PSM)을 적용해 고용불안정과 우울간의 역인과관계로 인한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분석결과, 고용불안정은 우울수준을 증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현재 고용상태보다는 고용상태의 변화가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이었으며, 고용불안정의 유형별 분석에 있어서는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이동 혹은 실직 집단이 정규직 유지 집단에 비해 우울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내생성을 제거하였을 때, 기존 연구에서 제한적으로 확인된 고용불안정과 우울의 인과관계가 더욱 명확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고용불안정으로 인한 정신건강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적극적 정책 개입이 필요하다.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