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 결과

검색결과 2개 논문이 있습니다
1

제42권 제1호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중 경험과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xperiences During Out-of-Home Care on Resilience of Youth: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김지민(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상정(한국보건사회연구원)
Kim, Ji Min(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Lee, Sang Ju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보건사회연구 , Vol.42, No.1, pp.183-199 https://dx.doi.org/10.15709/hswr.2022.42.1.183
초록보기
Abstract

For out-of-home care children who experience multiple and subsequent crises, resilience can be an important internal resource to appropriately cope with and overcome crises and difficulties during transition to adultho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to improve resilience in the process of protecting children. Based on the cognitive behavioral model,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effects of protection and self-reliance preparation support services and program experiences on resilience through self-efficacy as a medium to examine whether the support in the protection process can act as a turning point in the life of a protected child. The outcomes from the Hayes mediation analysis found that academic achievement, social support, and experience of obtaining certificatio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silience through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suggested to improve services and programs to support protection and self-reliance preparation.

초록

회복탄력성은 가정외보호 아동이 보호종료와 이후 자립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주요 내적 자원이다. 성장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에 따라 회복탄력성 수준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보호과정에서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인지행동모델에 기초하여 보호 및 자립준비 지원 서비스와 프로그램 경험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보호과정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프로그램 등의 지원이 보호아동의 인생에 전환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Hayes의 매개효과 검증 분석 결과, 학업 성취, 사회적 지지, 자격증 취득 경험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회복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호와 자립준비 지원을 위한 서비스와 프로그램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초록보기
Abstract

본 연구는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2016-2017)를 활용하여 미충족 치과진료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전체 16,277명의 대상자 중 9,294명의 참여자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충 족 치과진료는 자가설문으로 조사되었으며, 카이제곱검정과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미충족치과진료가 존재하는 사람의 스트레스 인지도는 미충족치 과진료가 존재하지 않는 사람과 비교하여 1.56배(OR: 1.56, 95% CI: 1.282-1.893, p<0.001) 더 높았고, 자살생각의 위험은 2.11배(OR: 2.11, 95% CI: 1.296-3.430 p=0) 더 높았다. 본 연구는 미충족치과진료와 정신건강과의 밀접한 관련성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인지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미충족치과진료의 감소 방안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초록

This study utilizes the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from 2016-2017)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unmet dental care needs and mental health to suggest policies to reduce proportions of unmet dental care needs, stress, and suicide rate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9,294 respondents from a total of 16,277 respondents. Unmet dental care needs were survey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on requiring, but failing to receive, dental ca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survey. Individuals who had unmet dental care needs had 1.56 times higher perceived stress (OR: 1.56, CI: 1.282-1.893, p<0.001) and 2.11 times higher risk of suicidal ideation (OR: 2.11, CI: 1.296-3.431, p=0.003)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have unmet dental care needs. Because it was implemented through secondary data analysis, it was not possible to add correction variables other than those presented in the raw data.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unmet dental care needs and mental health. Therefore, to reduce perceived stress and risk of suicidal ideation, policy measures that reduce unmet dental care needs are necessar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